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분석-주제 개념의 새로운 전개
저자 : 임홍빈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07
ISBN : 9788952108395
책소개
그 동안 우리말의 주제에 대해 크고 작은 많은 가설이 제시되어 왔지만, 주제 개념이 명확히 정의되지 않아 주제 문제는 큰 혼란을 겪어 왔다. 주제가 무엇인지 분명해지기 위해서는 우성 통사 분석의 방법이 확고히 정립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동안은 통사 분석이 확고한 토대 위에 서 있지 못했다.
이 책은 우리말의 주제와 관련된 소중한 관찰과 가설을 제시하고 있으며, 통사 분석에 대하여 '가변 중간 투사론'에 입각해 있다. 이는 어휘부의 논항 정보를 통사 구조에 반영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에 의하여 어휘부 정보와 통사 구조가 긴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된다. 여기에 담화 화용적 주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도입함으로써 주제를 새롭게 정의하는 걔기를 마련하였다.
목차
머리말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문장 구조 분석의 방법
1.3. 논의의 구성
2. 담화 중심 주제론 비판
2.1. 도입
2.2. 사용 층위를 중시한 주제론
2.3. 담화 층위를 중시한 주제론
2.3.1. 성기철 (1985)의 주제와 담화 개념
2.3.2. 박승윤 (1986)의 담화의 기능과 주제
2.3.3. 이인영 (1996)의 “주제” 개념과 담화 층위
2.3.4. 최규수 (1999)의 중심 주제어와 도입 주제어
2.4. 주제 구조 분석의 일례
2.5. 서구어 중심의 담화적 접근
2.5.1. 도입
2.5.2. Sgall et al. (1973)의 문맥 의존성
2.5.3. Reinhart (1982)의 문장 주제
2.5.4. Lambrecht (1994)의 주제 개념
2.6. 담화 중심적 접근의 결함 (1)
2.7. 담화 중심적 접근의 결함 (2)
2.8. 마무리
3. 특정 성분 주제론 비판
3.1. 도입
3.2. 주제 개념의 이질성 문제
3.2.1. Mathesius (1928)의 주제 개념
3.2.2. Jespersen (1924)의 직관
3.2.3. Firbas (1966, 1971, 1974)의 통보력에 의한 주제 개념
3.2.4. Halliday (1967a, 1967b, 1968, 1970, 1985)의 주제 개념
3.2.5. Li & Thompson (1976)의 언어 유형론과 Chafe (1976)의 주제
3.3. 마무리
4. 담화 화용적 주제와 통사적 주제
4.1. 도입
4.2. 문제의 출발점
4.3. 문장 분석의 잉여 성분에 대한 제안
4.4. 문장 성분에 대한 확인의 문제
4.5. 주제 검증법과 환언 관계의 문제
4.6. 단일 주제론의 문제
4.7. 담화 화용적 주제와 언급 부분 정보
4.8. 잉여 성분과 통사적 주제
4.8.1. 잉여 성분의 통사적 지위
4.8.2. 잉여 성분 주제론에 대한 반론 가능성
4.8.2.1. 잉여 성분을 주어로 보는 견해의 문제점
4.8.2.2. 잉여 성분을 조건으로 보는 견해의 문제점
4.8.3. 주제에 대한 부가어 해석
4.9. 마무리
5. 보조사구 일반과 유표적 주제
5.1. 도입
5.2. 보조사와 유표적 주제
5.3. 보조사구의 통사적 지위
5.3.1. 보조사구 주제와 재구조화
5.3.2. ‘-기’ 명사절을 보어로 가지는 보조사구
5.3.3. 동일 용언 중첩 구성의 구조
5.3.4. 대용언 중첩 구성의 구조
5.4. 주제인가 초점인가
5.5. 보조사 중첩 구성
5.6. 마무리
6. ‘은/는’과 대조적 제시
6.1. 도입
6.2. 통사 분석의 잉여 성분과 ‘은/는’-주제
6.2.1. 잉여 성분과 주어
6.2.2. 잉여 성분과 대격어 및 여격어
6.2.3. 잉여 성분과 보어 혹은 보충어
6.2.4. 부가어와 ‘은/는’
6.2.5. 보조 용언 구성의 ‘은/는’
6.2.6. 작은 마무리
6.3. 문두 ‘은/는’ 성분 주제론에 대한 비판
6.4. 주제의 ‘은/는’과 대조의 ‘은/는’은 다른 것인가
6.4.1. 도입
6.4.2. 담화 도입문의 ‘은/는’ 성분 제약
6.4.3. 비한정 대상에 대한 ‘은/는’ 성분 제약
6.4.4. 관계절 속의 ‘은/는’ 성분 제약
6.4.5. 내포절 속의 ‘은/는’ 성분 제약
6.4.6. 문두의 ‘은/는’과 선후행절의 대립
6.4.7. 현장 발화문의 ‘은/는’ 성분 제약
6.4.8. 주제와 대조의 상보적 분포 문제
6.4.9. 작은 마무리
6.5. 대조의 ‘은/는’에 대한 초점 논의의 문제
6.6. 이른바 주제의 ‘은/는’과 대조성의 약화
6.7. ‘은/는’의 의미 특성: 대조인가 유일 관련성인가
6.8. 마무리
7. ‘이/가’ 주제와 배타적 제시
7.1. 도입
7.2. 잉여 성분과 주어설
7.2.1. 들어가며
7.2.2. 서술절 논의와 임동훈 (1997)
7.2.3. 박병수 (1982)의 문장 서술어
7.2.4. 성기철 (1985)의 상위 주어
7.2.5. 안명철 (2001)의 구동사 (句動詞)
7.3. 잉여 성분의 주제 접근성
7.3.1. 이른바 이중 주어문의 제1 성분과 주어
7.3.2. 소유 표현 성분과 ‘이/가’ 주제
7.3.3. ‘이/가’ 주제 구성의 구조
7.3.4. 유형-표시 구성과 ‘이/가’ 주제
7.3.5. 문장 주제와 성분 주제
7.3.6. 소재 표현 성분과 ‘이/가’ 주제
7.3.7. 부사격 관련 성분과 ‘이/가’ 주제
7.3.8. 심리 형용사 구성과 ‘이/가’ 주제
7.3.9. 양화 표현 구성과 ‘이/가’ 주제
7.3.10. ‘-기 어렵다’ 구성과 ‘이/가’ 주제
7.3.11. ‘-고 싶다’ 구성과 ‘이/가’ 주제
7.3.12. 보조 용언 구성의 ‘이/가’ 주제
7.4. ‘이/가’ 주제의 의미 특성
7.4.1. ‘이/가’ 주제와 초점 논의의 문제
7.4.2. ‘이/가’ 주제와 한정성 조건
7.4.3. ‘이/가’ 주제문과 진술의 간접성
7.4.4. ‘이/가’ 주제문과 비동태성 (非動態性)
7.4.5. ‘이/가’ 주제와 제시성
7.4.6. ‘이/가’ 주제와 배타성
7.4.7. ‘이/가’ 주제와 반사격 가설
7.4.8. 반사격 주제 구성
7.4.9. ‘이/가’ 주제와 사유주
7.4.10. 작은 마무리
7.5. 마무리
8. ‘을/를’ 주제와 문제성의 제시
8.1. 도입
8.2. 문제의 현상
8.3. ‘-기를’ 구성과 ‘을/를’ 주제
8.3.1. ‘-기를’ 구성과 잉여 성분
8.3.2. 언급 대상성과 정보량
8.3.3. 문제성의 제시와 ‘을/를’ 주제
8.3.4. ‘-기를’ 구성과 정보량의 문제
8.3.5. 표지의 수의성 문제
8.3.6. ‘-기를’ 구성의 근절 조건
8.3.7. ‘-기를’ 구성과 현장 발화문 제약
8.3.8. ‘-기를’ 구성과 시제 표현 제약
8.3.9. 발화 현재 상황과 동적인 의미론
8.3.10. 작은 마무리
8.4. 어근 분리 현상과 ‘을/를’ 주제
8.4.1. 어근 분리의 조건
8.4.2. 어근 분리의 ‘을/를’에 대한 해석
8.4.3. 어근 분리의 통사 구조
8.4.3.1. 어근 분리적 접근
8.4.3.2. 어근 단어적 접근
8.4.4. 작은 마무리
8.5. 부사적 성분의 ‘을/를’ 주제
8.5.1. 도입
8.5.2. 부사 및 부사어의 ‘을/를’ 주제
8.5.3. 보조 용언 구성의 ‘을/를’ 주제
8.5.4. 장형 부정문의 ‘을/를’ 주제
8.5.5. 합성 동사와 ‘을/를’ 주제
8.5.6. 작은 마무리
8.6. 목적어의 검증과 ‘을/를’ 주제
8.6.1. 도입
8.6.2. 격 어휘론자 가설과 통사격 및 의미격
8.6.3. 목적어인가 주제인가
8.6.3.1. 목적어에 대한 조건
8.6.3.2. 격 전이설과 조사 대응설
8.6.3.3. 구성의 상관성과 목적어 (1)
8.6.3.4. 구성의 상관성과 목적어 (2)
8.6.3.5. 이동 동사 구성의 ‘을/를’: ‘가다’를 중심으로
8.6.3.6. 재분석과 목적어
8.6.3.7. 속격 및 여격 관련의 ‘을/를’ 성분과 주제
8.6.3.7.1. 도입
8.6.3.7.2. 대응설의 결함
8.6.3.7.3. 대격설의 결함
8.6.3.7.4. 초점설의 결함
8.6.3.7.5. ‘을/를’ 중출과 잉여 성분 및 주제
8.6.3.7.6. 작은 마무리
8.6.3.8. 서술성 명사와 ‘을/를’ 및 연어 (連語)
8.6.3.8.1. 도입
8.6.3.8.2. 임홍빈 (1979)의 어근 분리 가설
8.6.3.8.3. Park (1981)의 비판과 문제점
8.6.3.8.4. 김영희 (1988)의 비판과 문제점
8.6.3.8.5. 명사 서술어 가설의 문제점
8.6.3.8.6. 재구조화 가설과 그 문제점
8.6.3.8.7. 어근 분리와 연어적 접근
8.6.3.8.8. 작은 마무리
8.6.3.9. 분류사 구성과 ‘을/를’ 주제
8.6.3.9.1. 분류사 구성의 구조
8.6.3.9.2. 분류사 구성의 명사구와 관형사적 기능
8.6.3.9.3. 분류사의 논항 정보와 논항의 범주적 특성
8.6.3.9.4. ‘을/를’ 주제와 분류사 구성
8.6.3.9.5. 분류사 구성에 대한 제약과 해석
8.6.3.9.6. 작은 마무리
8.6.3.10. 단위 명사구와 ‘을/를’ 주제
8.6.3.10.1. 도입
8.6.3.10.2. 단위 명사구와 분류사 구성
8.6.3.10.3. 논항 정보와 단위 명사구
8.6.3.10.4. 단위 명사구의 통사적 특징
8.6.3.10.5. 단위 명사구의 의미론적 특징
8.6.3.10.6. 작은 마무리
8.6.3.11. 피동문의 주어와 ‘을/를’ 주제
8.6.3.11.1. 도입: 변형설의 문제
8.6.3.11.2. 잔류 목적어 가설의 문제점
8.6.3.11.3. 사동 구성 가설의 문제점
8.6.3.11.4. 파생 이전 격 부여 가설의 문제점
8.6.3.11.5. ‘을/를’ 주제의 설정
8.6.3.11.6. 피동문의 ‘을/를’ 주제 제약
8.6.3.11.7. 피동문의 ‘을/를’ 주제와 피해 피동
8.6.3.11.8. 작은 마무리
8.6.3.12. 중간 마무리
8.7. 마무리
9.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