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논항 구조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논항 구조
저자 : 남승호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07
ISBN : 9788952108623

책소개

이 책은 한국어 술어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광범위한 부류의 한국어 술어에서 그 논항 구조의 유형과 사건 구조의 유형을 추출하고, 논항들이 표면 통사 구조에 실현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사건 구조와 논항 구조의 상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이 책이 주목하는 것은 동일한 술어가 둘 이상의 구문(격 구조)을 형성하면서 논항 교체(argument alternation)를 허용하는 현상인데, 이는 술어의 의미 구조가 표면 통사 구조로 실현되는 원리를 보여 주는 창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심리 술어와 산출...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한국어 술어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광범위한 부류의 한국어 술어에서 그 논항 구조의 유형과 사건 구조의 유형을 추출하고, 논항들이 표면 통사 구조에 실현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사건 구조와 논항 구조의 상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이 책이 주목하는 것은 동일한 술어가 둘 이상의 구문(격 구조)을 형성하면서 논항 교체(argument alternation)를 허용하는 현상인데, 이는 술어의 의미 구조가 표면 통사 구조로 실현되는 원리를 보여 주는 창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심리 술어와 산출 동사, 그리고 처소 변화 동사를 통해 이를 검증해 보인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1. 서론

2. 한국어 술어의 논항 구조 유형론

2.1. 논항 구조의 통사와 의미
2.1.1. 논항 구조와 그 통사적 실현
2.1.2. 의미역 설정의 문제
2.1.3. 의미 구조에서 의미역의 기능
2.2. 한국어 술어의 격틀과 의미역 분류
2.2.1. 필수 논항과 수의 논항
2.2.2. 논항의 격틀과 의미역
2.2.3. 정리
2.3. 한국어 술어의 논항 교체 유형
2.3.1. 논항 교체와 술어의 의미 특성
2.3.2. 내부 논항 교체
2.3.2.1. [3항~2항] 교체
2.3.2.2. [3항~3항] 교체
2.3.2.3. [2항~2항] 교체
2.3.2.4. [2항~1항] 교체
2.3.3. 외부 논항 교체
2.3.3.1. [3항~2항] 교체
2.3.3.2. [2항~1항] 교체
2.3.4. 의미역 교체
2.3.4.1. [2항~2항] 교체
2.3.4.2. [1항~1항] 교체
2.3.5. 논항 목록 유지
[2항~2항] 교체

3.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 유형론

3.1. 사건 구조의 유형론
3.1.1. 사건 구조의 형식화: 단순 사건과 복합 사건
3.1.2. 생성 어휘부 이론의 사건 구조: Pustejovsky (1995)
3.1.3. 술어의 다의성과 의미 표상
3.1.4. 사건 구조의 미명세에 의한 다의어 표상
3.1.5. 공동 합성에 의한 다의어 해석
3.2.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상적 의미
3.2.1. 지속 부사어(durative adverbials)의 수식 제약
3.2.2. 시간틀 부사어(time frame adverbial)의 수식 제약
3.2.3. ‘-어 있다’의 결합 제약과 의미 해석
3.2.4. ‘-고 있다’의 결합 제약과 의미 해석
3.2.5. ‘계속(해서)’의 결합 제약과 의미 해석
3.2.6. 피동 동사 형성 여부: 완성 동사

4.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논항 실현

4.1. 심리 술어의 사건 구조와 논항 실현
4.1.1. 심리 술어의 정의
4.1.2. 심리 술어의 논항 구조
4.1.3. 심리 술어의 격교체와 사건 구조
4.1.3.1. 경험주 논항의 격교체: 사동/기동 교체(Causative/ Inchoative alternation)
4.1.3.2. 자극 논항의 격교체: 원인/대상 교체(Cause/Theme alternation)
4.1.3.3. 자극 논항의 격교체: 타동성 교체(Transitivity alternation)
4.1.3.4. 대상 논항의 격교체
4.2. 산출 동사의 사건 구조와 논항 실현
4.2.1. ‘굽다, 뚫다’ 부류: 상태 변화~산출 교체
4.2.2. ‘쌓다, 차리다’ 부류: 처소 변화~산출 교체
4.3. 처소 변화 동사의 사건 구조와 논항 실현
4.3.1. ‘칠하다’ 부류: 처소 변화~상태 변화 교체
4.3.2. ‘덮다, 채우다’ 부류: 처소 변화~상태 변화 교체
4.3.3. ‘비우다’ 부류: 제거~상태 변화 교체
4.3.4. ‘지우다, 치우다’ 부류: 제거~상태 변화 교체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발간사

머리말

1. 서론

2. 한국어 술어의 논항 구조 유형론

2.1. 논항 구조의 통사와 의미
2.1.1. 논항 구조와 그 통사적 실현
2.1.2. 의미역 설정의 문제
2.1.3. 의미 구조에서 의미역의 기능
2.2. 한국어 술어의 격틀과 의미역 분류
2.2.1. 필수 논항과 수의 논항
2.2.2. 논항의 격틀과 의미역
2.2.3. 정리
2.3. 한국어 술어의 논항 교체 유형
2.3.1. 논항 교체와 술어의 의미 특성
2.3.2. 내부 논항 교체
2.3.2.1. [3항~2항] 교체
2.3.2.2. [3항~3항] 교체
2.3.2.3. [2항~2항] 교체
2.3.2.4. [2항~1항] 교체
2.3.3. 외부 논항 교체
2.3.3.1. [3항~2항] 교체
2.3.3.2. [2항~1항] 교체
2.3.4. 의미역 교체
2.3.4.1. [2항~2항] 교체
2.3.4.2. [1항~1항] 교체
2.3.5. 논항 목록 유지
[2항~2항] 교체

3.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 유형론

3.1. 사건 구조의 유형론
3.1.1. 사건 구조의 형식화: 단순 사건과 복합 사건
3.1.2. 생성 어휘부 이론의 사건 구조: Pustejovsky (1995)
3.1.3. 술어의 다의성과 의미 표상
3.1.4. 사건 구조의 미명세에 의한 다의어 표상
3.1.5. 공동 합성에 의한 다의어 해석
3.2.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상적 의미
3.2.1. 지속 부사어(durative adverbials)의 수식 제약
3.2.2. 시간틀 부사어(time frame adverbial...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