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두보 배율 연구
두보 배율 연구
저자 : 강민호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4
ISBN : 9788952114174

책소개

《두보 배율(排律) 연구》는 그간 간과되어온 두시의 형식미를 꼼꼼히 짚어낸 책이다. 시적 기법을 시문 하나하나 예로 들어 쉽게 설명하고 있어서, 두시 연구자뿐만 아니라 두보의 시를 온전히 이해하려는 일반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그동안 두보의 번역시만 읽었다면 두보의 면모를 절반만 안 것

중국인이 대단한 자부심을 느끼는 중국 고전문학 중에서도 시(詩)는 그 중심을 차지해 왔고, 그중 두보의 시는 최고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작품과 시풍은 같은 한자문화권인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끼쳐서 그 연원은 고려시대까지 거슬러올라갈 수 있다. 하지만 두시가 왜 최고로 평가받는지, 두시가 다른 시인의 시와 대별되는 미학과 성취는 무엇인지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룬 책은 의뢰로 적다. 두보가 시의 내용과 형식 모두에서 큰 성취를 이룬 시인임에도, 국내 독자들은 번역시 위주로 접하다 보니 시성 두보의 면모를 절반만 봐온 셈이다. 그런 면에서《두보 배율(排律) 연구》는 그간 간과되어온 두시의 형식미를 꼼꼼히 짚어낸 책이다. 시적 기법을 시문 하나하나 예로 들어 쉽게 설명하고 있어서, 두시 연구자뿐만 아니라 두보의 시를 온전히 이해하려는 일반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중국 고전시 배율사(排律史)상 최절정의 두보(杜甫) 배율을 중심으로
배율의 본질과 미학에 접근한 전문 연구서


두보의 배율은 배율사(排律史)에서 절정의 위치에 있어 압권(壓卷)ㆍ대종(大宗) 등으로 평가받고 있다. 배율은 두보가 가장 공을 많이 들여 지은 것 중의 하나이며, 여기에는 두보의 진지한 서정(抒情)과 깊은 학문(學問)이 융화되어 있다. 나아가 두보의 배율은 두시의 풍격과 특징이 전형적으로 드러나 있어, 두시(杜詩)에서 단지 하나의 시체(詩體)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두시의 풍격을 대표하는 것이기도 하다.
배율은 두보가 많은 공을 들이고 상당한 자부심을 가졌던 것이지만 이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은 물론 전문적인 연구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우선 배율은 편폭이 길고 난해하여 대중적인 선집에 거의 실리지 않기 때문에 쉽게 접하기 힘들고, 현대인이 한시(漢詩)를 접하며 시적(詩的) 미감보다는 그 내용이나 사상에 치중하는 경향 때문이기도 하다.
이 책은 그동안 논의에서 소외되었던 배율(排律)에 주목하면서 중국 고전시의 한 본질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배율은 중국문학의 발전과정에서, 중국시 격률의 미학 추구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올 수밖에 없었던 시체이며, 율화(律化)의 극치를 추구하는 실험적 시체이다. 두보의 배율은 그 실험의 선봉이자 정점(頂點)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두보가 배율의 난점을 극복하고 이를 미적(美的)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장법, 대장, 평측과 압운, 용전 등 여러 방면에서 시도한 치열한 노력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 이 책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총서 모노그래프시리즈 중 세 번째로 나온 책이다. 아시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창의적 접근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우수박사학위논문과 전문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물을 지원하는 총서로서,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다듬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기존의 연구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배율의 형성과 초성당 배율의 발전
1. 배율의 발생
1) ‘배율’이라는 명칭의 유래와 의미
2) 배율의 발생 배경: 대우 존중의 전통, 부와 변려문의 영향
3) 위진남북조시대 배율의 초기 형태
2. 배율의 발전과 시체상의 특징
1) 당대 배율의 발전 배경: 궁정시와 과거제도
2) 배율 격률의 발전과 완성
3) 배율에 대한 인식과 시체상의 특징
3. 초당의 배율
1) 초당 전기 작가와 작품 경향
2) 초당 후기 작가와 작품 경향
4. 성당의 배율

제3장 두보 배율의 제재상의 성취
1. 기증?교유시류: 기증 대상의 확대, 제재의 일상화
1) 간알시
2) 화답시와 유연시
3) 기증시
4) 송별시
5) 만가
2. 사경?영회시류: 서정성의 강화
1) 기행?사경시
2) 영회시
3. 시사?의론시류: 의론의 시도
1) 시사(時事)?의론시
2) 제화시
3) 논시시(論詩詩)
4. 소결: 배율 운용의 일상화?다양화

제4장 두보 배율의 형식 운용상의 특징
1. 장법: 정제 속의 변화
1) 엄정한 장법의 추구: ‘서두-본문-결미’의 구조
2) 변화의 추구: ‘돌올-번등-일탕’지필의 가미
2. 대장: 관대의 미학
1) 대장의 지향과 파괴
2) 다양한 대장구의 활용
3. 평측과 압운
1) 평측의 운용
2) 압운의 양상
4. 용전
1) 전고 사용의 확대
2) 제재에 따른 전고의 다과
3) 전고의 다양한 활용
4) 전고 사용 위치상의 특징: 끝 2구에서의 다용
5. 소결: 배율 난점의 미학적 승화

제5장 두보 배율의 영향 및 평가
1. 두보 이후 배율의 전개와 두보 배율의 영향
1) 중만당의 배율
2) 송대 이후의 배율
3) 한국의 배율
2. 두보 배율에 대한 평가
1) 배율의 압권?관지
2) 포폄의 공존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