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론 (한정성/특정성, 총칭성, 복수성)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론 (한정성/특정성, 총칭성, 복수성)
저자 : 전영철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3
ISBN : 9788952114785

책소개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론』은 명사구의 주요한 의미 특성들이 한국어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 적절한 이론적 근거를 들어 알려주는 책이다.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적 특성을 논함으로써 한국어에 어떤 보편적 의미 속성이 실현되고 또 어떤 의미적 특수성이 실현되는지 알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명사구의 주요한 의미 특성들이 한국어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이론적으로 규명하는 책

이 책의 목적은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적 특성을 논함으로써, 한국어에 어떤 보편적 의미 속성이 실현되고, 또 어떤 의미적 특수성이 실현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인간이 언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언어에 따라 크게 다를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에 나타나는 의미 현상이 다른 언어들에서도 종종 유사하게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나 이러한 강한 보편성과 함께, 개별 언어들이 가지는 특수성도 또한 존재한다. 어떤 의미적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언어들이 취하는 책략이 서로 다를 수가 있기 때문이다. 책략을 위해 선택되는 의미 요소들이 다를 수도 있고, 각 의미 요소에 대한 의존 강도가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 동일한 의미적 목적을 위해 언어들 간에 다른 종류의 문법화가 이루어지기도 할 것이다. 우리는 한국어 명사구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한국어 명사구의 여러 가지 표현의 양상들에 대해 논의하다
이 책은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의 전영철 교수가 한국어 명사구의 한정성/특정성, 총칭성, 복수성에 대해 연구한 십여 년의 결과물을 더욱 심화시키고 확장시킨 것이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에게, ‘극장이 시내에 있어요’와 ‘극장은 시내에 있어요’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할지, 혹은 ‘저는 아이를 좋아해요’와 ‘저는 아이들을 좋아해요’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적당한지를 설명하기란 쉽지가 않다. 사실 어떤 문법서에서도 이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찾을 수 없는 형편이다. 예를 들어 ‘아이’라는 하나의 표현이 상황에 따라 영어의 ‘a child’, ‘the child’, ‘children’, ‘the children’ 등의 여러 가지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기에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양상들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한정성/특정성, 총칭성, 복수성 등이 실현되는 현상들에 대해
직관적인 측면을 논의한다
우리는 관련 현상들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직관을 만족스럽게 설명할 수 없는 경우들을 무수히 만난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들에서도 최선의 설명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관련 현상들이 너무 복잡하고 섬세하여 우선은 제대로 된 설명을 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노력이 미래의 또 다른 연구들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언어 현상들을 대하다 보면, 우주의 생성에 대해 연구를 하면 할수록 창조론으로 끌린다는 어느 자연과학자의 역설적인 말이 떠오르곤 한다. 언어의 세계와 또 이것을 자유자재로 부려 쓸 수 있는 인간의 능력에 대한 경외감이 절로 든다. 저자는 지난 십여 년 동안 이 책의 주제인 한국어 명사구의 한정성/특정성, 총칭성, 복수성에 대해 일련의 논문들을 써왔고, 이 책에서는 그동안의 논문들에서 다루었던 것들을 좀 더 심도 있게 논의하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논의들을 대폭 포함시켰다. 그리고 관련되는 의미 특성들 간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꽤 많이 논의하였다. 한편, 이전의 논문들에서 다루어졌던 현상들에 대해 이전과는 다르게 설명하기도 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서론 1

Ⅱ. 한정성 / 특정성 9
1. 도입 / 9
2. 한정성과 특정성 / 12
2.1. 한정성 12
2.2. 특정성 17
2.3. 한정성과 특정성의 관계 20
2.4. 한정성 / 특정성과 정보구조 23
3. 특정성 효과 / 30
3.1. 불특정성 제약 32
3.1.1. 존재 전제 술어 35
3.1.2. 존재 전제 부사 39
3.1.3. 존재 전제 어미 40
3.2. 특정성 제약 42
3.2.1. 존재 단언 술어 45
3.2.2. 존재문 48
3.2.3. 특정성 제약 중화 52
3.3. 정리 57
4. 특정성 표지 / 58
4.1. 특정성 표지와 통사 현상 59
4.2. 특정성 표지 논쟁 61
4.2.1. ‘어떤’, ‘한’ 62
4.2.2. 부분 구조 67
4.2.3. 복수 표지 74
4.2.4. 목적격 표지 75
4.2.5. 수량사구 85
4.3. 정리 94

Ⅲ. 총칭성 97
1. 도입 / 97
2. 두 종류의 총칭성: 총칭 명사구와 총칭문 / 100
2.1. 총칭 명사구와 총칭문의 구분 101
2.2. 의미 표상: 삼부구조 107
2.2.1. 양화사와 삼부구조 107
2.2.2. 총칭문과 삼부구조 109
2.2.3. 총칭 명사구와 삼부구조 115
2.2.4. 총칭문?총칭 명사구와 삼부구조 118
2.2.5. 습관문과 어휘특성문의 구별과 삼부구조 120
3. 총칭성의 실현 양상 / 125
3.1. 이전 연구들: 직관의 차이 125
3.2. 새로운 모색: ‘는’ 대 ‘가’, 개체층위 술어 대 장면층위 술어 135
3.3. 기타 요인들 146
3.3.1. 총칭성과 복수 표지 146
3.3.2. 총칭성과 시제 152
4. 총칭성과 정보구조 / 157
4.1. 총칭성?정보구조와 삼부구조 157
4.2. 총칭성과 화제성 161
5. 소결 169

Ⅳ. 복수성 171
1. 도입 / 171
2. ‘들’?복수형과 ??복수형 / 175
2.1. ‘들’의 사용 실태 175
2.1.1. 불가산명사와 ‘들’ 175
2.1.2. 가산명사와 ‘들’ 180
2.2. 두 복수형의 의미 188
2.2.1. 합과 집단 188
2.2.2. 반례들 194
2.3. 집합 명사와 ‘들’ 207
3. 사건의 복수성 / 219
3.1. 간접 복수 표지 ‘들’ 220
3.2. ‘들’의 통합적 의미 225
4. 다른 의미 속성과의 관련성 / 232
4.1. 복수성과 총칭성: 집단과 종류 232
4.2. 복수성과 한정성 238
5. 소결 / 245

Ⅴ. 결론 247

참고문헌 / Abstract / 찾아보기 / 발간사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