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알았던 선교, 몰랐던 중국
알았던 선교, 몰랐던 중국
저자 : 함태경
출판사 : 두란노서원
출판년 : 2015
ISBN : 9788953122499

책소개

간 한국교회는 중국 선교를 위해 많은 지원을 했고, 또 가장 많은 선교사를 중국에 보내기도 했지만, 그 열매는 달지 않았다. 이는 중국에 대한 선교 이외의 정치, 사회, 문화적 차원에서의 전문지식이 미비하고, 이를 기독교적 관점에서 들여다 볼 적합한 인물을 배출하지 못한 이유가 크다.



이 책은 오랜 시간 중국에서 공부하고, 중국 전문 종교기자로 활약해온 전 국민일보 함태경 기자(현 CGNTV 기획총괄본부장)가 중국 문헌들과 각종 언론 보도, 그리고 본인이 필명으로 기고한 글이나 취재기사, 방송 칼럼, 논문 등을 참고해 작성한 것을 모은 것이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오늘날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다 각도로 바라본 실체를 선교적 차원에서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며, 이를 통해 한국 교회와 중국 교회가 어떤 협력을 이뤄야 하는 지를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추천사

중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종교를 한눈에 이해하면서 중국 공산당과 종교 정책, 중국 교회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중국에 대한 한국(교회, 그리스도인)의 역할 등에 대해 그려 볼 수 있게 합니다. 무엇보다 중국인은 경계의 대상이 아니라 함께 가야 할 동역자임을 확인하게 합니다.
- 김영길(UN 아카데미임팩트 한국협의회 회장, 한동대학교 초대 총장)

이 책에 대해 감히 “중국을 가장 쉽고 분명하게, 객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정리한 책”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저자의 중국 역사에 대한 해박한 통찰을 바탕으로 A부터 Z까지 일목요연하게 알기 쉽게 썼을 뿐만 아니라, 그 깊이가 깊고 또한 재미있습니다.
- 문애란(G & M 글로벌문화재단 대표, 전 웰콤 대표)

저자는 중국 교회 선교 이야기, 중국 교회의 역사와 현황, 중국 교회와의 관계 그리고 미래를 통찰, 관망하고 있습니다. 한국 교회가 중국을 바르게 이해하는데 가이드라인이 되리라 믿습니다.
- 박종순(한국세계선교협의회 이사장, 한중기독교교류협회 대표 회장)

저자는 독자들로 하여금 중국을 중국인의 입장에서 바라볼 것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다른 의견은 미뤄 두고 의견을 같이하는 부분부터 협력하자는 뜻의 ‘구동존이’(求同存異)라는 말이 떠오릅니다. 저자는 이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이런 마음을 품고 중국을 이해하라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그것만이 텍스트(Text)와 콘텍스트(Context)의 융합이기 때문입니다.
- 박화목 (CCM 중화선교회 국제 대표, TEE China College 원장)

인간의 다섯 번째 욕망은 ‘새로운 것을 알고 싶어 한다’는 것입니다. 이 책이 소개하는 30개의 주제 중 절반은 한국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변하는 중국’입니다. 나머지 절반은 기독교 지도자나 선교사라면 반드시 숙지해야 할 ‘과거와 오늘의 중국’입니다.
- 오성연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석좌 교수, 전주비전대학교 대외협력 부총재)

한국 교회에 몇 안 되는 중국 선교 전문가인 저자를 통해 우리는 오늘날의 중국 교회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으며, 중국 교회를 도울 길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게 됩니다. 저자는 한국 교회가 진정 겸손함과 신중함으로 중국 교회를 섬겨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유기성(선한목자교회 담임 목사, 둘로스네트워크 공동 이사장)

중국에 대한 역사적·사회적·정치적 이해뿐 아니라, 종교적·선교적 이해까지 할 수 있게 하는 놀라운 저술입니다. 탁월하고 예리한 관점과 사실들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어렵거나 복잡하지 않습니다. 누구든지 쉽게 중국이라는 나라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까지 상상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유병국(WEC 국제선교회 국제동원부 대표, 전 WEC 국제선교회 한국본부 대표)

저자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을 넘어서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그 의미는 중국과의 경쟁에서 필히 이겨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잘 살 수 있는 길을 찾아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 나라는 ‘독주’가 아니라 ‘합창’이라는 주장에 적극 동의하면서 기쁨으로 이 책을 추천합니다.
- 유재건[CGNTV 대표 이사, 전 국회의원(국방위원장)]

많은 사람들이 중국에 대해 궁금해 하지만 실체적 접근에는 실패하는 것 같습니다. 저자는 이에 대한 중요한 지식과 지혜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중국 교회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줍니다. 비그리스도인들에게는 중국 내 주요 종교와 일반적인 중국을 나름대로 그려 볼 수 있는 도화지를 제공합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필독서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윤영각(파빌리온인베스트먼트 회장, Christian CEO Forum 회장)

이 책이 강렬하게 풍기는 매력은 ‘학문, 신앙, 실천의 3대 영역에서 시대정신과 역사의식을 반영한 삶’을 살기 위해 처절하게 노력해 온 지식인이자 신앙인인 저자에게서 우러나오는 ‘총기’ 때문이라고 믿습니다. 저자의 소망대로 ‘백 투 지저스’ 신앙으로 무장한다면 하나님이 한국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을 들어서 이 땅과 열방을 위해 그 어떤 역할과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인도하실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 이시영(시니어선교한국 대표, 전 외무부 차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중국 교회가 세계 교회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제 한국 교회의 중국에 대한 선교 전략도 보다 심도 있게 펼쳐져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바로 이러한 시기에 중국 선교에 목숨을 건 하나님의 사람 함태경 박사가 신간을 출간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 이영훈(여의도순복음교회 담임 목사,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 회장)

이 책은 중국 최고지도부의 통치 철학, 국가 전략과 목표, 중국 교회의 어제와 오늘, 한·중 교회의 미래적 관계 등을 소상히 밝혀 주고 있습니다. 독창성과 통찰력으로 가득 수놓고 있어 필독서로 손색이 없습니다. 이는 벌써부터 다음 책이 기대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이재훈(온누리교회 담임 목사, 온누리선교재단 이사장)

20년 넘게 중국에서 사업하면서 중국에 관한 책을 손에 닿는 대로 거의 읽었지만, 저자의 이번 저서는 간결하면서도 그 깊이와 넓이가 상당해서 날 새는 줄 모르고 읽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기업가, 주재원, 중국학 전공자, 외교관, 한국 교회의 지도자, 선교사, 문화·예술·스포츠 종사자, 가정주부 등 분야와 관계없이 반드시 일독할 가치가 있습니다. 일단 읽으면 또 다른 분들에게 권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 이한열[중국 르린(日林) 그룹 부총재, 중국 단둥(丹東) 항 그룹 부총재]

이 책은 한국 교회의 동역자인 중국 교회의 역사와 현재에 대한 매우 심오한 통찰로 가득 차 있습니다. 중국 교회의 모태인 중국 사회에 대한 탁월한 분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중국, 중국 선교, 더 나아가서 세계 선교에 대한 관심을 갖고 거룩한 분투 가운데 있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적극 추천합니다.
- 정성욱(미국 덴버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큐리오스인터내셔널 대표)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사

프롤로그 우리에게 중국은?



1부 중국은 어떤 나라인가?

1. 중국, 그것이 알고 싶다

2.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인가?

3. '세속적 제자도', 중국 공산당

4. 다칭바오, 선전 그리고 보안

5. 중국식 역사 정리 해법

6. 중국에 유대인이 있다? 없다?

7. 중국에서 종교란 무엇인가?

8. 중국은 왜 기독교에 대해 상대적으로 엄격할까?

9. 중국에도 이슬람교, 불교가 있다



2부 중국 정부와 교회의 끊임없는 긴장 관계

10. 시진핑 시대의 종교 정책

11. 시진핑을 알면 중국의 미래가 보인다

12. 파리든, 여우든, 호랑이든 뭐든지 다 잡는다

13. 종교사무조례 시행 10년(2005-2015년)

14. 중국 선교의 빗장을 연 서구 선교사들

15. 중국 교회의 정신적 지주들

16. 가정교회 지도자들의 출소와 소천

17. 6?4 톈안먼 사태가 지식인들의 복음화에 불을 댕기다

18. 성장하는 중국 교회 - 2,300만 명 대 1억 3,000만 명

19. 삼자교회는 관제교회일까?

20. 삼자교회도 신학이 있나?

21. 가정교회도 분파가 있다



3부 중국이 무섭게 변하고 있다

22. 신주류 신흥도시 교회를 주목하라

23. 가정교회냐, 삼자교회냐의 구분, 더 이상 의미 없을까?

24. 이단, 중국 정부와 교회의 골칫거리

25. 중국 교회 관련 서적으로 선교를 엿보다

26. 한국 교회의 중국 선교 전선, 이상 없나?

27. 중국 복음화의 또 다른 방안, 미디어 선교

28. '선교 중국' 시대를 준비하라

29. 일대일로 선교 벨트를 구축하자

30. 교회여, '화해 사회'를 넘어 '함께 사는 이미지'를 만들어라



에필로그 '백 투 예루살렘'을 넘어 '백 투 지저스'로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