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돈황 민간문학 담론 (돈황 강창문학 동아시아 희곡사와 소설사의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
돈황 민간문학 담론 (돈황 강창문학 동아시아 희곡사와 소설사의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
저자 : 전홍철
출판사 : 소명출판
출판년 : 2013
ISBN : 9788956268682

책소개

『돈황 민간문학 담론』은 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는 영예를 얻었던 『돈황 강창문학의 이해』(소명출판, 2011)의 속편이라 할 수 있는 책이다. 책명에 ‘강창문학’ 대신 ‘민간문학’이 들어간 이유는 본디 돈황문학이 속문학적 성격을 띠고 있는 연유와 함께 기존 중국문학사에 대한 이해를 민간문학의 시각에서 논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중국문학사를 한족(漢族)이 주체가 되는 ‘엘리트 문학전통’에서 탈피하여 민간문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였다. 그리고 운산문 서사 방식의 최초 사례를 보여주는 변문(變文)이 중국 소설사와 희곡사에 어떤 영향을 끼쳤고, 한국의 불교계 강창문학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상세히 밝혔다. 또한 돈황문학 연구에 있어 미국, 일본, 중국을 대표하는 학자들의 논문도 번역하여 함께 엮어내어, 전세계 돈황문학 연구의 성과를 엿볼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실크로드의 도시, 돈황을 파헤치다
1000년 전 서역으로 가는 관문이었던 돈황(敦煌, Dunhuang)은 중국 감숙성(甘肅省) 서쪽에 위치한 실크로드의 오아시스 도시로 동서양의 무역 중개지점이자 다양한 종교 문화와 지식이 융합된 국제무역도시였다. 동서양 각국의 전문가들은 ‘광활한 중국이 끝나고 서역이 시작되는 곳’, ‘실크로드 교역의 오아시스’, ‘동서무역의 중개지점이며 종교, 문화와 지식이 융합된 곳’, ‘환지구적 문명 교류의 통로인 실크로드의 전략적 요점’, ‘바깥 세계로부터 많은 것을 집어 삼키는 중국의 목구멍’ 등으로 돈황을 정의하였다.
이렇게 문명 교류의 장이였던 고대 중국의 국제무역도시 돈황에서 지금으로부터 100여 년 전, 정확히는 돈황(敦煌) 막고굴(莫高窟)에서 전 세계 중국학 연구자들을 깜짝 놀라게 한 미스터리 문서들이 대량으로 발굴되면서 소위 ‘돈황학(敦煌學)’이 탄생하였다.
동시 출간된 『돈황 민간문학 담론』(소명출판, 2013)과 『돈황문학사전』(소명출판, 2013)은 돈황에서 우연히 발견된 문학 관련 문서들을 소개한 돈황학 연구서로, 이제까지 풀리지 않았던 돈황문학의 수수께끼를 파헤치고 있다.

돈황 강창문학과 한국 판소리문학
돈황 문서는 한국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신라의 구도승(求道僧) 혜초(慧超)가 지은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의 필사본이 돈황 문서더미에서 발견되었으며, 원효 스님이 저술한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의 8∼10세기 필사본이 발굴, 공개되어 고대 한국과의 연관성을 다시금 확인시켜 주었다.
돈황 고문서 중 한국 고대 문학과 가장 깊은 관련이 있는 것은 판소리(板聲, Pan-So-Ri)처럼 운문과 산문을 엇섞어 사용하고 있는 ‘변문(變文)’이다. ‘강창형 서사물’인 한국 판소리계 소설의 연원을 추적해 들어가면 ‘돈황 변문(變文)’ 즉 ‘돈황 강창문학’과의 연관성을 찾아낼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 보았을 때 ‘돈황 강창문학’을 쉬운 말로 풀이하면, 당오대(唐五代)의 대중들이 오락물로 관람했던 ‘홍콩 영화 시나리오의 1000년 전 버전’, ‘고대 중국의 판소리문학’이라 할 수 있다.

중국 소설사와 희곡사의 수수께끼를 푼 『돈황 민간문학 담론』
『돈황 민간문학 담론』은 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는 영예를 얻었던 『돈황 강창문학의 이해』(소명출판, 2011)의 속편이라 할 수 있는 책이다. 책명에 ‘강창문학’ 대신 ‘민간문학’이 들어간 이유는 본디 돈황문학이 속문학적 성격을 띠고 있는 연유와 함께 기존 중국문학사에 대한 이해를 민간문학의 시각에서 논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중국문학사를 한족(漢族)이 주체가 되는 ‘엘리트 문학전통’에서 탈피하여 민간문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였다. 그리고 운산문 서사 방식의 최초 사례를 보여주는 변문(變文)이 중국 소설사와 희곡사에 어떤 영향을 끼쳤고, 한국의 불교계 강창문학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상세히 밝혔다. 또한 돈황문학 연구에 있어 미국, 일본, 중국을 대표하는 학자들의 논문도 번역하여 함께 엮어내어, 전세계 돈황문학 연구의 성과를 엿볼 수 있다.

돈황문헌, 중국문학의 숨겨진 보물을 찾다
돈황에서 우연히 발견된 문헌들은 고대 중국의 역사, 음악, 미술, 체육, 음식 등 각 분야에서 수수께끼로 남아 있던 수많은 의문들을 해결해주는 마법의 열쇠가 되었다. 특히 돈황문학 연구를 통해 그동안 중국문학사의 미해결 과제가 하나둘씩 풀리고 있다. 돈황문학 연구 증진에 큰 몫을 한 『돈황 민간문학 담론』과 『돈황문학사전』 역시 중국문학(사)의 숨겨진 보물들을 발견하는 지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I 돈황문학 논단



한·중 불교계 강창문학의 희곡사적 위상

1. 서론

2. 불교계 강창문학의 중국적 배경

3. 불교계 강창문학의 한국적 형성과 전개

4. 佛敎系 講唱文學의 構造形態

5. 佛敎系 講唱文學의 流通樣相

6. 불교계 강창문학의 희곡적 전개

7. 불교계 강창문학의 희곡사적 위상

8. 결론



속문학으로 본 중국문학사



동아시아적 소설론의 모색

―한중일 고소설의 기원과 서사시



헤이안조(平安朝) 모노가타리(物語)와 唐代 소설

―동아시아 소설 전통의 구비연행성을 찾아서

1. 서론

2. 몇 가지 전제

3. 우타 모노가타리(歌物語) 속의 와카(和歌)와 唐 문언소설 속의 서정시

4. 츠쿠리(作り:허구적) 모노가타리(物語)와 變文-구비연행서사적 특성

5. 결론



敦煌本 <공자와 항탁의 문답서(孔子項託相問書)>의 서사적 구조

1. 서론

2. 성립 연대

3. 설화의 변이양상과 그 의미

4. 결론-남은 과제와 향후 방향



돈황본 <연자부(?子賦)>의 모티브와 구조

1. 서지적 고찰

2. 조류우화 모티브의 원형과 전승

3. 대립적 인물 형상의 시대적 의미

4. 희극적 이완 구조와 그 효과



II 해외논문 번역



돈황 민간서사문학론

1. 개관

2. ‘變文’의 의미

3. 전체 자료

4. 필사자(scribes)와 연행자(performers)

5. 年代(Dating)

6. 출처(sources)

7. 연극(drama)과의 관계

8. 대중 불교의 사회 언어학

9. 四川과 그 너머의 지역

10. 텍스트의 선택

11. 한 장르의 사멸?

12. 부록



불교와 동아시아 백화문의 등장

―국어의 발생

1. 중국의 초기 백화문

2. 불교와 언어

3. 번역과 언어학, 그리고 찬가(讚歌)

4. 사회적 가치관, 사상사, 그리고 종교적 임무

5. 인도적(印度的) 배경

6. ‘국어(National Language)’의 개념

7. 코이네(koine)로서의 만다린

8. 일본의 국어에 대한 자극

9. 한국의 언어 개혁

10. 결론



시찬계(詩贊系) 문학 시론

1. 서론

2. <화관색전(花關索傳)>의 발견과 시찬계 강창문학

3. 나희(儺戱)와 시찬계 연극

4. 악곡계와 시찬계의 차이

5. 악곡계와 시찬계의 교류

6. 시찬계 문학의 전통

7. 시찬계 문학과 고전시

8. 돈황(敦煌)문학의 성격

9. 결론



임반당(任半塘) 선생을 통해 본 중국 희극 연구의 의의와 방향

1. 임반당 선생의 중국 희극 연구

2. 문학중심에서 공연중심으로

3. 진화론에 입각한 一元的 연구에서 多元的 형태비교로

4. 새로운 시야 내에서의 자료와 문제



부록_ 한국 돈황연구 단행본·논문 목록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