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근대 대중소설의 미학적 연구
한국 근대 대중소설의 미학적 연구
저자 : 김강호
출판사 : 푸른사상
출판년 : 2008
ISBN : 9788956406046

책소개

한국 근대 대중소설을 미학적으로 연구한 책. 경계허물기의 담론 속에서 관심의 확산을 가져온 문학적 장르인 대중소설 또는 통속소설을 다루고 있다. 제1부에서는 한국 근대 대중소설의 개념, 전개과정, 통속소설의 발생양상 등을 살펴본다. 제2부에서는 1930년대 통속소설의 구조적 특징과 독자의 기대 지평 등을 고찰하였다. [양장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한국 근대 대중소설론과 작품론
제1장 한국 근대 대중소설론의 발생과 전개
1. 들어가는 말
2. 대중 및 대중소설의 개념
3. 1910년대까지의 대중소설론 - '통속소설'이란 용어의 등장
4. 1920∼30년대 대중소설론 - '대중소설'이란 용어의 등장과 대중소설론의 모색
5. 1950∼60년대 대중소설론 - 『자유부인』 시비 논쟁과 중간소설론
5-1 『자유부인』 시비 논쟁과 중간 소설론
5-2 중간소설 논쟁
6. 1970∼80년대 대중소설론 - 상업주의소설론
7. 마무리
제2장 창조적 배반과 망설임의 미학
- 『장한몽』과 『무정』의 거리
1. 머리말
2. 한국 근대 대중소설의 발생 양상
1) 창조적 배반으로서의 『장한몽』
2) 망설임의 미학 - 『무정』
3. 작품 속에 투영된 삼각형의 욕망
4. 마무리
제3장 김동인의 『젊은 그들』론
1. 머리말
2. 역사소설의 발흥(發興)과 야담운동
3. 역사소설의 증대와 김동인의 역사소설관
4. 『젊은 그들』의 서술구조
1) 공적 사건구조와 사적 사건구조
2) 외집단 갈등과 내집단 갈등
3) 역사적 사건의 형상화
5. 마무리

제2부 1930년대 한국 통속소설 연구
제1장 통속소설을 위하여
1. 문제제기
2. 연구방법 및 대상
제2장 통속소설의 개념과 형성배경
1. 통속소설의 개념
1) 민중문학, 통속문학, 대중문학
2) 1930년대 통속소설의 비평사적 검토
2. 1930년대 통속소설의 형성배경
제3장 1930년대 통속소설의 구조적 특성
1. 애정갈등과 삼각관계로서의 공식성
1) 역사소설 주인공의 애정갈등
2) 근대 부르주아 지식인의 애정갈등
2. 로망스적 모험과 멜로드라마적 서사구조
1) 탐색구조
2) 추리식 구성
3) 격정적 정서구조와 운명적 급전
제4장 1930년대 통속소설과 독자의 기대지평
1. 세계화합의 도덕적 환상
1) 승리의 양상
2) 패배의 양상
2. 현실도피 지향성
1) 과거 역사에로의 낭만적 도피
2) 전통적 권위의 파괴와 애정적 지향
3. 인물의 지향성과 독자의 기대
1) 이데올로기 지향성
2)신여성의 자각에 대한 기대와 한계
3) 영웅출현에의 기대심리
제5장 1930년대 통속소설의 소설사적 의의
제6장 1930년대 통속소설에 대한 결언 및 전망

■ 참고문헌
■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