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일본.일본인론의 재발견
일본.일본인론의 재발견
저자 : 김필동
출판사 : 제이앤씨
출판년 : 2007
ISBN : 9788956684604

책소개

일본문화의 전체상을 분석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일본ㆍ일본인론을 살펴보는 책. 토착적인 사상 및 그에 근거하여 형성되어 온 일본사회의 문화적 전통의 실체를 의식구조나 행동양식의 분석, 그것을 잉태하는 사회구조의 분석, 일본문화의 특징해명이라고 하는 문제의식으로 접근하였다. 근ㆍ현대라고 하는 통사적 관점에서 일본과 일본인과 일본사회의 특징을 밝히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그동안 저자는 한국에서의 일본문화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한국인을 위한 한국내부에 있어서의 인식대상으로서의 ‘일본’상을 극복하고 ‘타자’라고 하는 객관적 연구대상으로서의 ‘일본’상을 학계와 한국사회에 정착시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왔다. 본서는 그 연장선상에서 일본사회의 문화적 전통의 실체를, 의식구조나 행동양식의 분석→그것을 잉태하는 사회구조의 분석→일본문화의 특징해명이라고 하는 문제의식으로 접근했다. 근·현대라고 하는 통사적 관점에서 일본·일본인·일본사회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서의 의의는 크다고 하겠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 인식대상으로서의 ‘일본적 가치’
1.1 대일관의 재정립이 시급하다
1.2 한국사회의 ‘자기귀책’의 논리의 부재
1.3 우리가 인식해야 할 ‘일본적 가치’들

2. 일본인의 의식구조-‘노동’과 ‘일’의 가치관
2.1 경제대국의 토대가 된 노동윤리
2.2 노동윤리의 국제비교
2.3 노동윤리의 에토스화

3. 전통적 생활규범으로서의 통속도덕
3.1 통속도덕이란
3.2 심의 철학
3.3 정신주의의 한계

4. 일본사회의 ‘자기근대화’에의 사유양식
4.1 근대의 출발과 산촌마을의 자기근대화의 열기
4.2 산촌마을의 피폐와 통속도덕의 실천
4.3 통속도덕의 전승

5. 일본문화의 보편성-화(和)의 논리와 형태
5.1 화의 정신과 집단주의의 문화
5.2 집단주의 문화의 더블스텐더드
5.3 운명공동체의식과 일본의 기업문화
5.4 전통과 글로벌가치의 조화

6. 화혼(和魂)과 양재(洋才)의 결합- 부국강병의 논리
6.1 개국, 그리고 ‘시기’가 왔다
6.2 혼혼의 정신과 선진문명 결합의 역사성
6.3 한재와 양재를 넘어 화혼화재로

7. 통합과 일체화의 사상구조
7.1 통합의 이데올로기
7.2 통합의 내재화 과정과 역사성
7.3 ‘기대되는 인간상’과 ‘관리사회’의 이데올로기

8. 천황제 이데올로기와 천황제적 심정
8.1 신격화된 천황의 존재
8.2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내면화 과정
8.3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상흔
8.4 일본사회의 천황숭배의 영속성과 천황제적 심정

9. 일본적 가치의 혼미와 시련, 그리고 영속성
9.1 일본적 가치의 폐색감
9.2 폐색감 탈출을 위한 ‘자기개혁’의 노력
9.3 일본적 가치기반의 건재
9.4 일본적 가치의 영속성

10. 일본적 가치의 ‘세계화’ 구상
10.1 ‘히노마루’의 비상과 미일동맹의 세계화
10.2 일본의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
10.3 일본의 ‘동아시아 경제권’ 구상
10.4 일본이 문화민족주의와 일본문화의 세계화 구상

11. 저패나이제이션과 한일문화교류의 현재
11.1 한일문화교류의 출발
11.2 한일문화교류의 전망
11.3 혐한과 항한을 넘어야 한다

12. 일본은 아시아인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가
12.1 아시아는 일본의 ‘진심’을 주시하고 있다
12.2 우리는 일본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참고문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