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향가와 만엽집작품의 비교연구
향가와 만엽집작품의 비교연구
저자 : 이연숙
출판사 : 제이앤씨
출판년 : 2009
ISBN : 9788956687285

책소개

[표지글]

향가와 관련이 깊은 화랑과 일본『萬葉集』의 주된 작자층인 舍人의 비교, 한국과 일본의 遊 개념의 비교, 향가와『萬葉集』작품의 불교형상화 방식 비교, 돈호법과 감사를 중심으로 한 표현의 비교, 붉은 색의 의미 비교에 관한 논문들을 한데 묶었다. 그리고 한일 고대 한시의 성격 비교는,『萬葉集』의 작품을 다룬 것은 아니지만 함께 엮었다. 한일 고대 시가의 극히 일부분의 비교이지만 앞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하게 연구를 하게 되면, 미약한 것 같지만 작은 성과들이 모여 언젠가는 뚜렷한 맥을 형성하게 되리라는 믿음을 가져본다. - 머리말 중에서 [양장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향가의 화랑과『萬葉集』의 舍人
Ⅰ. 서론
Ⅱ.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
1. 한국의 화랑
2. 일본의 舍人
Ⅲ. 무사적 성격
1. 한국의 화랑
2. 일본의 舍人
Ⅳ. 화랑과 舍人의 풍류의 성격
1,. 화랑의 풍류
2. 일본 舍人의 풍류
Ⅴ. 주된 문예 담당층으로서의 화랑과 舍人
Ⅵ. 결론

향가와『萬葉集』작품의 '遊'의 개념
Ⅰ. 서론
Ⅱ. 향가와 한국 고대 문헌 속의 '遊'의 용례 분석
1. 왕의 행차와 관련된 '遊'의 개념
2. 화랑과 관련된 '遊'의 개념
3. 신선과 관련된 '遊'의 개념
4. 불교와 관련된 '遊'의 개념
5.'遊'와 가무
6.'遊'와 달과의 관련성
Ⅲ.『萬葉集』과 고대문헌에 나타난 '遊'의 용례 분석
1. 와의 행차와 관련된 '遊'의 개념
2. 그 외 관료들과 관련된 '遊'의 개념
3. 신선과 관련된 '遊'
4. 일본의 '遊'와 秦樂
5. 『萬葉集』의 '遊'와 달
Ⅳ. 결론

향가와『萬葉集』작품의 불교 형상화 방식
Ⅰ. 서론
Ⅱ. 한국과 일본의 불교 사상적 특성
Ⅲ. 향가와『萬葉集』작품의 불교적 소재
1. 향가의 불교적 소재
(1) 직접적인 불교 관련 소재
(2) 향가의 불교적 형상화에 사용된 자연 관련 소재
2.『萬葉集』작품의 불교적 소재
(1) 직접적인 불교 관련 소재
(2)『萬葉集』작품의 불교적인 노래에 사용된 자연 소재
Ⅳ. 향가와『萬葉集』의 불교 소재 작품의 표현법
Ⅴ. 향가와『萬葉集』의 불교 소재 작품의 구조 비교
Ⅵ. 결론

향가와『萬葉集』작품의 표현 방법 -돈호법과 감탄사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향가의 돈호법과 감탄사
Ⅲ.『萬葉集』작품의 돈호법과 감탄사
1.『萬葉集』작품의 돈호법
2.『萬葉集』작품의 감탄사
Ⅳ. 향가와『萬葉集』작품의 돈호법과 감탄사의 차이점
Ⅴ. 결론

한국 고대문헌과 일본『萬葉集』의 붉은 색
Ⅰ. 서론
Ⅱ. 한국 고대문헌 속의 붉은 색
1. 향가 작품에 나타난 붉은 색
2. 한국 고대 문헌에 나타난 붉은 색
1) 태양숭배사상의 반영
2) 예조로서의 붉은 색
3) 아름다운 여성의 상징
4) 주술성과 관련된 붉은 색
Ⅲ.『萬葉集』작품의 붉은 색
1. 태양숭배사상의 반영
2. 주술적인 성격의 붉은 색
3. 성적인 상징으로서의 붉은 색
Ⅳ. 결론

한일 고대 한시의 성격 비교
Ⅰ. 서론
Ⅱ. 한시 창작의 장
Ⅲ. 자연소재 형상화
Ⅳ. 계절감각의 형상화
Ⅴ. 고독감의 형상화
Ⅵ. 형식적 특성
Ⅶ.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