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중국 미학의 근대
중국 미학의 근대
저자 : 이상우
출판사 : 아카넷
출판년 : 2014
ISBN : 9788957333891

책소개

선구자들에게 던지는 동양 미학에 관한 물음

이 책은 미학이라는 서구의 학문을 처음 동양에 소개한 선구자들의 사상을 되짚어봄으로써 ‘동양 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한다. 동양 미학 분야에서 다양한 관점에 입각한 여러 주장과 이론이 쌓여가고 있지만, 주장의 근거가 분명하지 않고 이론의 출처에 큰 신뢰가 가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지은이는 자신보다 앞서 이 질문을 던진 중국 근대 사상가들의 사유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제의 처음으로 돌아가 해답을 모색한다. 『중국 미학의 근대』는 『동양미학론』에서 ‘경계’라는 키워드로 동양 미학의 독창적 이론을 제시한 지은이가 그 범주를 ‘근대’에 한정해 연구한 결과물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선구자들에게 던지는 동양 미학에 관한 물음

이 책은 미학이라는 서구의 학문을 처음 동양에 소개한 선구자들의 사상을 되짚어봄으로써 ‘동양 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한다. 동양 미학 분야에서 다양한 관점에 입각한 여러 주장과 이론이 쌓여가고 있지만, 주장의 근거가 분명하지 않고 이론의 출처에 큰 신뢰가 가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지은이는 자신보다 앞서 이 질문을 던진 중국 근대 사상가들의 사유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제의 처음으로 돌아가 해답을 모색한다. 『중국 미학의 근대』는 『동양미학론』에서 ‘경계’라는 키워드로 동양 미학의 독창적 이론을 제시한 지은이가 그 범주를 ‘근대’에 한정해 연구한 결과물이다.

‘생활의 예술화’의 목표는 공통된 경향

이 책에서 소개한 미학자는 양계초(梁啓超, 1873~1929), 채원배(蔡元培, 1868~1940), 왕국유(王國維, 1877~1927), 주광잠(朱光潛, 1897~1986)이다. 이들은 모두 중국 근대에 활동한 지식인으로서 서구 열강의 침탈에 맞서고 근대 국가의 건설이라는 과제에 앞장섰다. 한편으로 서구 사상을 받아들여 중국 전통의 예술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나름의 독창적 미학 사상 또는 이론을 일구었다. 이들은 ‘생활의 예술화’ 또는 ‘인생의 예술화’라는 큰 목표 속에서 삶과 예술의 문제에 접근하는 공통된 경향이 있었다. ‘인생의 예술화’를 위해서는 삶에 대한 무목적적인 태도가 요구되며 탈속의 마음으로 세속을 사는 것이 그 방편이라고 지적하였다. 또한 ‘취미’라는 개념으로 ‘삶의 즐거움’과 존재의 의미를 사유하였다.

양계초, ‘예술을 위한 예술’과 ‘인생을 위한 예술’의 변증법

양계초는 이상적인 삶의 형태를 ‘생활의 예술화’라는 말로 제시하였다. 이 미학 이론에는 공자처럼 ‘안 될 줄 알면서도 하거나’ 장자처럼 ‘행하면서도 집착하지 않는’ 무목적적인 삶이 전제되어 있다. ‘무목적적’이라는 개념은 미적 체험에서 특수한 마음의 상태를 지시하는 서양 미학의 개념인데, 양계초는 이를 삶의 거의 모든 영역에 적용하여 ‘생활의 예술화’를 주장하였다.

채원배, ‘미육(美育)’이라는 교육 이론과 그 방법론으로서의 미학

채원배는 “미육으로 나라를 구하자.”는 구호를 내세워 사회 개혁에 앞장서고 국민교육에 열정을 쏟았다. 미적 대상에는 감각적 판단의 광범위성과 효용의 공공성이 있기 때문에 미육으로 나라를 구하는 일이 가능하다는 것이 자신의 미학 이론이었다. 이 이론은 미적 대상의 보편성을 주장한 것이지만, 감각적 취미의 판단에 보편성이 없다는 칸트의 이론과 부합하지 않았다.

왕국유, ‘경계론(境界論)’이라는 독창적 미학 이론의 제시

왕국유는 칸트·쇼펜하우어·실러·니체의 사상을 연구하여 독창적인 중국의 미학 이론을 제시하였다. 경계론은 중국 전통의 의경론에 자신의 견해를 추가하여 새롭게 해석한 미학 이론이다. 예술 작품에 대한 특수한 체험만을 가리키는 전통의 ‘의경’과는 달리, 그의 ‘경계’는 인식된 것으로서의 ‘현상’이라는 의미와 수양이나 학문이 도달한 수준 또는 단계라는 ‘인생경계’의 의미도 포괄하는 확장된 개념이다.

주광잠, ‘속됨’을 벗어나는 길로서의 ‘취미’

주광잠은 개인이나 사회의 문제는 ‘속됨’에서 비롯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속됨’을 벗어나는 방법으로 여러 개념들을 제시하였지만, ‘취미’라는 개념이 그의 미학 이론을 아우르는 중심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속됨’에서 벗어나는 일이 개인이나 사회 전체로 볼 때 쉽지 않은 일임을 감안한다면, 주광잠의 취미론은 일반론이라기보다 중국의 인문 정신과 예술 전통의 탁월함을 보여주는 이론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1장 양계초의 계몽예술론

1. 계몽을 위한 소설

2. 비이성적 계몽

3. 비이성적 계몽의 사상적 근거

4. 전통의 잘못된 계승

5. 결론



2장 양계초의 취미론

1. 계몽의 예술론과 취미의 예술론

2. 생활취미의 조건

3. 생활취미와 예술

4. 결론

후기: 삼계유심(三界唯心)에 대하여



3장 채원배의 미학 사상

1. 미육으로 나라를 구하자

2. 미육으로 종교를 대신하자

3. 삶의 즐거움과 예술

4. 전통에 대한 반성



4장 왕국유의 경계론

1. 경계론에 대한 평가의 문제

2. 경계론의 이론적인 문제점과 칸트 사상의 영향

3. 결론



5장 왕국유의 고아설

1. 고아설 탄생의 배경

2. 미학에서 고아의 위치

3. 중국 미학에서 고아의 위치

4. 결론



6장 주광잠의 취미론

1. 미감 교육의 기능

2. 미감 교육의 보편화와 인생의 예술화

3. 예술의 무목적성과 삶의 무목적성

4. 활달과 엄숙

5. 결론



맺음말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