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어 등재소의 형성과 변화
한국어 등재소의 형성과 변화
저자 : 정한데로
출판사 : 국어학회
출판년 : 2015
ISBN : 9788959667314

책소개

『한국어 등재소의 형성과 변화』는 어휘부 등재 단위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체계화하고, ‘형성 →등재→변화’의 단계적인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의 등재 단위는 형태론적 단위인 접사?단어뿐 아니라, 통사론적 단위인 연어 구성·의존동사 구성·의존명사 구성 등을 포함한다. ‘형태’와 ‘통사’의 상이한 범주에 속하면서도 등재소라는 공통된 단위로 묶일 수 있는 이들 단위의 형성과 그 이후의 양상을 탐구하는 것이 이 글의 주된 관심사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연구는 어휘부 등재 단위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체계화하고, ‘형성 →등재→변화’의 단계적인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의 등재 단위는 형태론적 단위인 접사?단어뿐 아니라, 통사론적 단위인 연어 구성?의존동사 구성?의존명사 구성 등을 포함한다. ‘형태’와 ‘통사’의 상이한 범주에 속하면서도 등재소(listeme)라는 공통된 단위로 묶일 수 있는 이들 단위의 형성과 그 이후의 양상을 탐구하는 것이 이 글의 주된 관심사이다.

언어 단위의 등재에 관한 연구는 주로 형태론 분야에서 복합어 등재 문제와 관련하여 꾸준한 관심을 받아 왔다. 특히, ‘나무꾼’, ‘엿장수’ 등과 같은 이른바 ‘규칙적인 복합어’가 등재되는가라는 물음을 중심으로 ‘최소 등재, 절충적 등재, 완전 등재’ 등의 상이한 입장이 주장되었다. 그러나 등재라는 연구 대상이 지닌 연구 방법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실제적인 근거 자료나 구체적인 논증을 통해 주장이 뒷받침되기보다는, 개별 연구자의 입장이 전제되거나 추정 수준에 머물렀던 한계도 확인된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장 서론 13
1.1. 연구의 목적과 범위 13
1.2. 용어의 개념 18
1.3. 논의의 구성과 연구 방법 26

제2장 문법의 모형과 단위 29
2.1. 도입 29
2.2. 형성 부문과 저장 부문 30
2.2.1. 형성 부문: 형태부와 통사부 30
2.2.1.1. 단어와 문장의 형성 30
2.2.1.2. 형태부와 어휘부 36
2.2.2. 저장 부문: 어휘부 44
2.2.2.1. 어휘부의 위치와 기능 44
2.2.2.2. 어휘부 조직 62
2.3. 형성과 등재의 단위 설정 74
2.3.1. 형성 단위와 등재 단위 74
2.3.1.1. 형성의 단위 74
2.3.1.2. 등재의 단위 81
2.3.1.3. 국내 단어형성론의 형성 단위와 등재 단위 87
2.3.2. ‘어휘부 - 형태부/통사부’ 모형 94
2.4. 요약 100

제3장 등재 중심 문법의 탐색 102
3.1. 도입 102
3.2. 등재의 개념과 속성 103
3.2.1. 등재의 개념 103
3.2.1.1. 표현론적 동기와 α 103
3.2.1.2. 고정화 작용 108
3.2.1.3. 언어 내적 등재와 언어 외적 등재 111
3.2.1.4. 정합성과 합성성 119
3.2.2. 등재 개념의 확장 128
3.3. 형성과 등재 과정의 체계화 132
3.3.1. 가능어와 등재어 132
3.3.1.1. 생성형태론의 ‘가능어-실재어’ 132
3.3.1.2. ‘가능어-등재어’ 기준 136
3.3.2. 개인어와 사회어 143
3.3.2.1. 단어형성론의 ‘랑그-파롤’ 143
3.3.2.2. ‘개인어-사회어’ 기준 148
3.3.3. 체계의 확립 150
3.4. 형성과 변화 과정의 체계화 156
3.4.1. 형성 연구와 변화 연구 156
3.4.1.1. 형성과 변화의 상관성 156
3.4.1.2. 형성?변화 연구와 등재 162
3.4.2. 형성과 변화의 속성 168
3.4.2.1. 형성?변화 과정의 실재성 168
3.4.2.2. 형성?변화 과정의 공시성?통시성 170
3.5. 요약 177

제4장 등재소의 형성 179
4.1. 도입 179
4.2. 형성 과정의 공시성 181
4.2.1. 임시어 형성의 실제 181
4.2.1.1. 임시어의 단어형성론적 의의 181
4.2.1.2. 설문 자료와 말터 자료 187
4.2.1.3. 구성적 다양성 194
4.2.2. 화용적 맥락의 기능 206
4.2.2.1. 상황 맥락 정보 α 206
4.2.2.2. 임시어 자료의 α 해석 217
4.3. 형성의 유형 222
4.3.1. 복합어의 형성 222
4.3.1.1. 통합관계와 계열관계 223
4.3.1.2. 단어 형성 원리 231
4.3.2. 연어 구성의 형성 245
4.3.2.1. α와 공시적 변이 247
4.3.2.2. 구성 의미의 고정화 252
4.3.3. 의존동사 구성과 의존명사 구성의 형성 260
4.3.3.1. α와 공시적 변이 261
4.3.3.2. 구성 의미의 고정화 266
4.4. 요약 280

제5장 등재소의 변화 282
5.1. 도입 282
5.2. 변화 과정의 통시성 284

5.2.1. 변화의 일반 속성 284
5.2.1.1. 단계성 284
5.2.1.2. 분화와 지속성의 원리 290
5.2.2. 등재와 변화의 상관관계 296
5.2.2.1. 등재와 재구조화 296
5.2.2.2. 등재와 체계 변화 299
5.2.2.3. 등재소 내적 변화와 등재소 외적 변화 300
5.3. 변화의 유형 306
5.3.1. 분석에 의한 변화 307
5.3.1.1. 형태의 변화 310
5.3.1.2. 의미의 확장 313
5.3.1.3. 접사의 형성 325
5.3.2. 단일화에 의한 변화 340
5.3.2.1. 복합어의 어휘화 341
5.3.2.2. 연어 구성의 숙어화 346
5.3.2.3. 의존동사 구성과 의존명사 구성의 문법화 354
5.4. 요약 365

제6장 결론 368
6.1. 연구 내용 요약 368
6.2. 남은 문제 380

참고문헌 383
찾아보기 409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