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돈황곡자사집
돈황곡자사집
저자 : 왕중민
출판사 : 학고방
출판년 : 2011
ISBN : 9788960711969

책소개

돈황에서 발견된, 민간사를 모아놓은 총집이다. 일반적으로 문인들이 발표해온 작품들에 비해 민간 작품은 보다 생동감 있고 활발하게, 일반 사회생활의 내용을 담고 있지만, 이는 문헌에서의 고증이 미미하여 그 내용과 형식을 상세히 밝힐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일부 민간문예로 여겨야 할 작품들을 함께 수록하고 있어, 당시의 자연스러운 언어와 진실성 있는 표현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돈황에서 발견된 민간사를 모아놓은 총집
당대 연악의 악곡은 대체로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雜曲子로 일반적으로 비교적 짧은 것을 말한다. 다른 하나는 大曲으로 결구가 복잡하고 매 곡은 12편으로 나눠진다. 각 편을 악장이라고 한다. 그 가운데 일부분을 뽑아서 독립적인 악곡으로 연주할 수 있다. 이러한 악곡을 연창할 때 최초에는 적당한 가사가 없었다. 악인은 여전히 절구의 시나 혹은 기타 율시나 고체시 가운데 4구를 가져와서 악곡에 서로 배합하였다. 시인은 악곡을 만들어 지은 가사는 자연스레 모두 5言詩 혹은 7言詩였다. 정제된 5언시나 7언시를 가져와서 배합한 구성은 가지런하지 않은 악곡이 되었다. 결국 이것은 노래 부르는데 알맞지 않았다. 때문에 마침내 점점 사람들은 악곡의 박자에 맞추어서 장단구의 가사를 짓는 것을 실험했다. 이것이 바로 唐宋詞의 시작이다. 우리들은 당시는 노래 부를 수 있다고 하는데, 사체 탄생에서 이전의 그러한 과도적 시기에서는 악곡에 들어와서 자주 노래 불려졌다. 사체가 유행한 후, 5언시 혹은 7언시는 악곡에 들어가 노래 불려지는 기회는 점점 더 줄어들었다. 송대에 이르러 극소수의 사조가 남아 있었는데 정제된 시의 형식에 배합된 가사였다.

주요내용
왕중민 선생의《敦煌曲子詞集》는 우리들에게 문학의 영역을 개척해주고 수많은 방법으로 문학사를 연구하는데 많은 안내와 증거자료를 제공한다.
당대 위응물의 「宮中調笑」, 장지화의 「漁父詞」, 유우석의 「瀟湘神」, 백거이의 「長相思」, 「憶江南」 등은 모두 장단구가 처음으로 지어진 예들로 이러한 것들은 이미 사작기교상에서 비교적 성숙된 문인이 사를 지은 것이다.
진정으로 생동감있고 활발하여 일반 사회생활의 내용을 담은 사는 마땅히 민간작품에서 나온 것이지만 안타깝게도 문헌에서는 고증은 미미하여 상세히 밝힐 수 없다.
오늘날 이러한 결점을 보완한 것이 바로《敦煌曲子詞集》로 그 가운데 수집된 곡자사중에는 일부분은 마땅히 민간문예로 여겨야 할 것이다. 민중의 손에서 나온 것이 있는 반면에 민중의 손에서 나오지 않은 작품도 있다. 그러나 그들 기쁘고 즐거워하여 민간에 흘러 퍼지게 된 것으로 서정적인 작품, 함축적이고 담백한 작품, 그윽한 그리움이 흘러넘치는 작품 등이다. 일반적인 작품은 입과 손이 가는대로 나와서 언어가 매우 자연스럽다. 표현은 함축된 것이 매우 진실되고 매우 풍부하였다.
당대의 연악은 사회 각 곳으로 널리 퍼져 이에 의지하여 수많은 歌妓들이 출현하게 되었고, 舞妓와 악사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연악가운데 大曲은 일반적으로 1.散序, 2.?, 3.排遍, 4.?, 5.正?, 6.入破, 7.虛催, 8.袞遍, 9.實催, 10.拍遍, 11.歇拍, 12.殺袞 등의 부분을 포괄하며 당송시대 규모가 매우 큰 대형 무곡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上 卷
1. 虞美人
2. 菩薩蠻
3. 菩薩蠻
4. 菩薩蠻
5. 菩薩蠻
6. 菩薩蠻
7. 菩薩蠻
8. 菩薩蠻
9. 菩薩蠻
10. 菩薩蠻
11. 菩薩蠻
12. 菩薩蠻
13. 菩薩蠻
14. 菩薩蠻
15. 菩薩蠻
16. 菩薩蠻
17. 菩薩蠻
18. 西江月
19. 西江月
20. 西江月
21. 浣溪沙
22. 浣溪沙
23. 浣溪沙
24. 浣溪沙
25. 浣溪沙
26. 浣溪沙
27. 浣溪沙
28. 浣溪沙
29. 浣溪沙
30. 浣溪沙
31. 浣溪沙
32. 浣溪沙
33. 浣溪沙
34. 獻忠心
35. 獻忠心
36. 獻忠心
37. 獻忠心 御制曲子 (왕이 지은 노래)
38. 獻忠心 御制曲子 (왕이 지은 노래)
39. 山花子
40. 臨江仙
41. 臨江仙
42. 酒泉子 演故事 (고사를 연출하다)
43. 酒泉子 詠馬 (말을 읊다)
44. 酒泉子 詠劍 (검을 읊다)
45. 酒泉子
46. 望江南
47. 望江南
48. 望江南
49. 望江南
50. 望江南
51. 望江南
52. 望江南
53. 望江南
54. 感皇恩
55. 感皇恩
56. 感皇恩
57. 感皇恩
58. 蘇幕遮
59. 蘇幕遮
60. 謁金門
61. 謁金門
62. 謁金門
63. 生子
64. 生子
65. 定風波
66. 定風波
67. 定風波
68. 定風波
69. 定風波
70. 望遠行
71. 婆羅門 詠月(제1수) (달을 읊다)
72. 婆羅門 詠月(제2수) (달을 읊다)
73. 婆羅門 詠月(제3수) (달을 읊다)
74. 婆羅門 詠月(제4수) (달을 읊다)
75. 長相思
76. 長相思
77. 長相思
78. 魚歌子 月 (달)
79. 魚歌子 上□□王次郞
80. 雀踏枝
81. 鵲踏枝
82. 送征衣
83. 別仙子
84. 南歌子
85. 南歌子 美人 (미인을 칭찬하다)
86. 南歌子
87. 楊柳枝
88. 搗練子
89. 搗練子
90. 茶怨春
91. 贊普子
92. 失調名
93. 失調名
94. 失調名 般涉調
95. 失調名 총4수
96. 南歌子
97. 南歌子
98. 南歌子
99. 南歌子
100. 失調名
101. 失調名 총6수

中 卷
102. 鳳歸雲 閨怨
103. 鳳歸雲
104. 鳳歸雲
105. 鳳歸雲
106. 天仙子
107. 天仙子
108. 竹枝子
109. 竹枝子
110. 洞仙歌
111. 洞仙歌
112. 破陣子
113. 破陣子
114. 破陣子
115. 破陣子
116. 浣溪紗
117. 浣溪紗
118. 柳娘
119. 柳娘
120. 傾杯樂
121. 傾杯樂
122. 內家嬌
123. 內家嬌 御制林鍾商 (임금이 만든 林種商)
124. 拜新月
125. 拜新月
126. 球樂
127. 球樂
128. 魚歌子
129. 魚歌子
130. 喜秋天
131. 喜秋天

下 卷
132. 龍州舟
133. 鄭子
134. 水調詞
135. 斗百草 제1수
136. 斗百草 제2수
137. 斗百草 제3수
138. 斗百草 제4수
139. 樂世詞
140. 阿曹婆詞
141. 阿曹婆
142. 阿曹婆
143. 何滿子 제1수
144. 何滿子 제2수
145. 何滿子 제3수
146. 何滿子 제4수
147. 劍器詞
148. 劍器詞
149. 劍器詞
150. 蘇幕遮
151. 蘇幕遮
152. 蘇幕遮
153. 蘇幕遮
154. 蘇幕遮
155. 蘇幕遮
156. 更漏子
157. 菩薩蠻
158. 菩薩蠻
159. 更漏子
160. 菩薩蠻
161. 樂世詞

참고문헌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