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사이버 보안과 국가 안보 전략
사이버 보안과 국가 안보 전략
저자 : 프랭클린 크레이머|스튜어트 스타|래리 웬츠
출판사 : 에이콘출판
출판년 : 2015
ISBN : 9788960777057

책소개

『사이버 보안과 국가 안보 전략』은 사이버공간을 육지, 바다, 하늘, 우주에 이어 5번째 주요한 공간으로 인식해 사이버 전략을 펼칠 것을 강조한다. 또한 사이버파워의 기초 이론인 사이버공간, 사이버파워, 사이버 전략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며, 향후 나아가야 할 제도적 요소, 전략적 방향을 제시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요약 ★

사이버 보안은 이제 민간의 이슈만이 아닌 국가 차원의 이슈가 됐다. 미국 내 정부와 두뇌 집단, 산업계와 학자들이 사이버 보안에 대한 전문가적 관점을 제시하기 위해 워크숍에서 다양한 토론을 나눴고, 그 토론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각 발표자는 이 책의 각 장을 작성했다. 이 책에서는 사이버공간을 육지, 바다, 하늘, 우주에 이어 5번째 주요한 공간으로 인식해 사이버 전략을 펼칠 것을 강조한다. 또한 사이버파워의 기초 이론인 사이버공간, 사이버파워, 사이버 전략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며, 향후 나아가야 할 제도적 요소, 전략적 방향을 제시한다.

★ 이 책에 쏟아진 찬사 ★

사이버 안보는 이제 미국이 당면하고 있는 주요 국가 안보 문제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이 책은 사이버파워에 대한 정부의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인식하고 강조한다. 이러한 인식과 헌신이 없으면 우리 국가 안보는 위험에 처할 것이다.
- 퇴역 장군 해리 래두기 주니어(HARRY D. RADUEGE, Jr.) / 딜로이트 네트워크 혁신본부 회장

드디어 나왔다! 사이버에 대한 개념이 처음 언급되고 약 20년 만에, 현재 사이버 상황에 대해 면밀하게 분석한 개요서가 출간됐다. 전 세계의 불법행위자에 대항해 사이버 국가 안보를 진정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도전에 나선 것이다. 이 책은 향후 수년간 내가 주요하게 참고할 자료 중 하나가 될 것이다.
- 윈 슈워타우(Winn Schwartau), 인포워콘(InfowarCon) 설립자

국방대학교(NDU)는 사이버파워에 대한 선구자이다. 이 책, 그리고 이 책이 집필되는 동안 소집된 미 국방대학교 워크숍에서는 어떻게 사이버가 권력 집행을 개조하고 미국인의 안전을 지켜주는 수단이 될 것인지에 대해 최선의 의견을 제시한다.
- 제임스 루이스 박사(Dr. James A. Lewis) / 국제전략문제연구소 사이버 보안 위원회 44대 회장이자 기술이사

이 책에서는 군대 사이버파워, 전술, 전략에 대해 내부적 고찰뿐 아니라, 사이버 억제, 사이버법, 미래 연구 기회 등과 같은 독특한 관점도 설명한다. 오늘날 사이버 환경에서 미국은 가까운 경쟁자들과 발맞춰나가야 함은 물론, 그들보다 한 발짝 더 앞서 나아가야 한다. 이 책에서는 또한, 정책 문제, 이론, 동향, 미국이 사이버 영역에서 우위를 얻을 수 있는 미래 기술도 설명한다.
- 윌리엄 로드 소장(Major General William T. Lord) / 미 공군 사이버 (임시) 사령부 사령관

★ 이 책의 구성 ★

1부에서는 주요 정책 문제를 다루고 논의하며, 또한 주요 정의를 제공한다. 또한 사이버파워의 기초적인 이론을 설명함으로써 사이버 분야에 대한 전체적인 관점을 보여준다.

2부에 있는 6개 장은 사이버공간의 구조를 기술하고, 진화적인 경향(특히 보안 영역에 있어서)을 규명하며, 사이버공간과 필수적인 기반 구조의 관계를 설명하고, 사이버공간에 대한 잠재적인 혁명의 변화를 탐험한다.

3부에서는 4개 장에 걸쳐 군사적 사용과 전쟁 억제를 위한 사이버공간의 변화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을 탐구한다.

4부에 있는 4개 장은 안정성, 보안성, 변화, 재건(SSTR) 동작에 이르는 전 국가적 접근에서 힘의 영향 수단과 군대 역할을 토론하며, 파워의 정보적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관점을 설명한다.

5부에서는 3개 장에 걸쳐 사이버공간에서의 어떤 변화들이 범죄자와 테러리스트, 민족국가 등에 힘을 보태는지에 대해 다룬다.

6부의 4개 장은 사이버 정책 결정자들이 대면하는 기관의 이슈들을 설명한다. 먼저 정부 영역에서 인터넷 관리의 논쟁적인 이슈와, 그 과정에서 미국 정부의 역할을 알아본다. 두 번째로는 법적 이슈 영역에서 국제법의 선택된 요소들을 분석한다. 이는 사이버공간에서의 공격 평가에 대한 이슈와 적절한 대응 선택에 대한 이슈를 포함한다. 세 번째로는 국가의 필수적인 기반 시설을 방어하는 데 있어서 미국 국토안전부의 활동 및 영향력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정부 전체의 관점에서 사이버 이슈를 고려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대통령의 관점에서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 지은이의 말 ★

사이버 분야는 계속해서 급변하고 있으며, 수많은 요소를 통해 사이버공간 사용자들은 특별한 기회를 부여받는다. 사이버 혁명을 통해 기술과 사회 양쪽 모두에서 사이버공간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수가 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참여자들이 만드는 정보의 품질 또한 확연히 증가하고 있다. 그 예로, 2010년까지 약 20억 인구가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게 될 것이며, 마찬가지로, 마이스페이스(MySpace) 웹사이트에 참가한 사람들이 국가를 만든다면 그 국가는 세계에서 11번째로 인구가 많은 큰 국가가 된다. 그러나 사이버공간의 동향은 중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사이버공간의 중대한 도전에는 테러리스트나 범죄자같이 악의적인 사용자의 증가, 그리고 서비스 거부 공격이나 중요한 데이터 탈취 같은 사이버공간상에서의 시스템 취약점을 악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런 도전을 극복하고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우리는 사이버 도메인에 대한 지식의 결정체를 균형 있게 조합해야 한다. 기술과 국가 안보 정책 측면을 고려해 미 국방대학교에서 출간한 이 책은 지식의 결정체를 정립한다. 이 책은 사이버 분야를 규정하는 복잡한 문제들에 대해 세계 최정상급 전문가들이 전체론적 관점에서 접근한 독특한 책이다.

이 책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적절한 문맥을 통해 핵심 사이버 이슈를 정의하고, 정책 결정권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권고안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또한 상위 의사 결정권자가 가까운 미래에 언급해야 하는 주요한 사이버 문제에 대해서도 비중있게 다룬다. 이 책은 사이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간의 능력을 개발하고, 국가안보에서 고려해야 하는 점과 시민의 자유에 대한 균형을 이야기하며, 사이버 도전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국제적인 협력을 언급한다.

사이버 분야의 기회를 인식하고 도전을 극복하려는 여러분에게 이 책을 강력히 추천한다.

★ 옮긴이의 말 ★

2014년 12월,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해킹 공격이 북한의 소행이라고 공식 발표하면서 ‘비례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북한의 인터넷 망이 완전히 마비됐다가 10시간 만에 정상 가동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두고 전 세계 지도자들과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은 미국과 북한이 본격적으로 사이버 전쟁을 시작한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2015년 1월에도 버락 오바마는 국정 연설에서 사이버 보안 강화 이슈를 강조하면서 사이버 안보 관련 법안들의 입법을 촉구했다.
비슷한 시기인 2015년 1년, 청와대는 민간에서 ‘사이버 안보’ 분야에 특화된 경험이 있는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장인 임종인 교수를 안보특별보좌관으로 임명했다. 그리고 같은 해 3월 사이버안보비서관을 신설했다. 2003년 1.25 인터넷 대란이 발생하고, 2004년 사이버 보안의 컨트롤 타워로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사이버안전센터를 설립해 관리를 맡긴 지 11년 만에 사이버 보안의 컨트롤 타워를 청와대에서 직접 챙기게 된 것이다.
이제 사이버 보안은 더 이상 개인과 민간의 이슈만이 아니다. 국내외 글로벌 동향을 살펴봐도 국가 차원의 이슈로 부상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사이버공간에서 활동하는 모든 사람은 자신의 행동이 개개인의 행위의 결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여파가 국가 차원에까지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이 책은 미국 내 정부와 두뇌 집단, 산업계와 학자들이 주요 주제 영역에 대한 전문가적 관점을 제시하기 위해 워크숍에서 다양한 토론을 했고, 그 토론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각 발표자가 이 책의 각 장을 작성했다. 각계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국가안보를 위한 사이버파워를 제언하고 있으며, 사이버공간을 육지, 바다, 하늘, 우주에 이어 5번째 주요한 공간으로 인식해 사이버 전략을 펼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사이버파워의 기초 이론인 사이버공간, 사이버파워, 사이버 전략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으며, 향후 나아가야 할 제도적 요소, 전략적 방향을 제시한다.
이 책을 통해 국가 안보의 중대한 전략적 방향을 수립하는 의사 결정권자들은 미국의 학계, 산업계 등 두뇌 집단에서 제언하는 사이버 보안과 사이버 영향력을 참고해, 당면한 사이버 보안과 관련된 정책이나 전략적 방향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또한 민간 분야에 종사하는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과 개인들도 국가 차원에서 발생하는 사이버 보안과 사이버파워의 흐름을 이해함으로써 좀 더 높고 넓은 시야로 사이버 보안을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부 기초와 개관
__1장 사이버파워와 국가안보: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위한 정책 권고
____프랭클린 크레이머(Franklin D. Kramer)
__2장 사이버공간에서 사이버파워까지
____다니엘 쿠엘(Daniel T. Kuehl)
__3장 사이버파워 기초 이론
____스튜어트 스타(Stuart H. Starr)

2부 사이버공간.
__4장 사이버공간의 구조적 요소에 대한 그래픽적 소개
____엘리후 지멧(Elihu Zimet), 에드워드 스카우디스(Edward Skoudis)
__5장 사이버공간과 기반 시설
____윌리엄 오닐(William D. O'Neil)
__6장 사이버공간에서의 진화적 동향
____에드워드 스카우디스(Edward Skoudis)
__7장 사이버공간에서의 정보 보안 문제
____에드워드 스카우디스(Edward Skoudis)
__8장 인터넷과 사이버파워의 미래
____마조리 블루멘탈(Marjory S. Blumenthal), 데이비드 클락(David D. Clark)
__9장 정보 기술과 생명공학 혁명
____에드워드 스카우디스(Edward Skoudis)

3부 사이버파워: 군사적 사용과 전쟁 억제
__10장 사이버파워 이해를 위한 환경적 접근
____그레고리 래트레이(Gregory J. Rattray)
__11장 군사 사이버파워
____마틴 리비키(Martin C. Libicki)
__12장 군사 서비스 개요
____엘리후 지메트(Elihu Zimet), 찰스 배리(Charles L. Barry)
__13장 사이버 공격의 억제
____리처드 쿠글러(Richard L. Kugler)

4부 사이버파워: 정보
__14장 사이버 영향과 국제 보안
____프랭클린 크레이머(Franklin D. Kramer), 래리 웬츠(Larry K. Wentz)
__15장 전술적 영향 작전
____스튜어트 스타(Stuart H. Starr)
__16장 I 파워: 정보 혁명과 안정화 작전
____프랭클린 크레이머(Franklin D. Kramer), 래리 웬츠(Larry K. Wentz), 스튜어트 스타(Stuart H. Starr)
__17장 사이버파워로 안정화 작전 촉진
____제랄드 크리스트맨(Gerard J.Christman)

5부 사이버파워: 전략적 문제점
__18장 사이버 범죄
____클레이 윌슨(Clay Wilson)
__19장 사이버 테러리즘: 위협인가? 미신인가?
____어빙 라쵸우(Irving Lachow)
__20장 민족국가의 사이버 전략: 중국과 러시아의 사례
____티모시 토마스(Timothy L. Thomas)

6부 제도적 요인
__21장 인터넷 거버넌스
____헤롤드 크왈와서(Harold Kwalwasser)
__22장 국제법과 정보 작전
____토마스 윙필드(Thomas C. Wingfield)
__23장 사이버파워와 주요 기반 시설 보호: 연방 정부 노력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
____존 매카시(John A. McCarthy), 크리스 버로우(Chris Burrow), 매이브 디온(Maeve Dion), 올리비아 파체코(Olivia Pacheco)
__24장 대통령 관점에서의 사이버파워
____리온 푸에르트(Leon Fuerth)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