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희곡의 희극성 연구
한국희곡의 희극성 연구
저자 : 원명수
출판사 : 국학자료원
출판년 : 2008
ISBN : 9788961373678

책소개

저자가 10년간 한국희곡의 희극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정리한 책이다. '골계의 구조와 개념'이라는 항목에서 용어의 혼란성을 정리하려고 노력한 결과로 '희극성'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으며, 한국적 희극성의 개념을 추구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선불교 사상을 이용하고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희곡을 통시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필자가 가면극 <판소리> 인형극 그리고 근대희곡에 대해 동시에 연구하다보니, 여러 가지 면에서 부족한 점도 나타났다. 그러나 부족한 대로 한국희곡의 희극성을 통시적으로 정리하면서, 희극작품과 그 작품의 여러 가지 배경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예술작품이 시대의 사상과 사회적 환경의 소산이라면, 희극도 마찬가지로 시대의 사상과 사회적 환경의 소산이라고 생각한다. 한국희극은 한국이라는 사회적 배경과 한국 사람들의 사상에 의해 생성되었다. 그러한 바탕에서 만들어진 한국희극은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1장 문제의 제기
2장 기존 연구의 검토
3장 연구방법과 범위
4장 골계의 구조와 개념
5장 희극성의 서양적 개념
6장 해학성 희극성의 개념
7장 〈하회별신굿 탈놀이〉의 희극성
8장 〈꼭두각시놀음〉의 이본 연구
9장 〈꼭두각시놀음〉의 희극성
10장 춘향가 해학성의 희극성
11장 〈박타령〉의 희극성
12장 1910년대 희곡의 희극성
13장 김우진 희곡의 희극성
14장 오영진 희곡의 희극성
15장 근대희곡의 희극성
16장 결론과 남은 문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