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예술로서의 삶 (니체에서 푸코까지,Life as Art: Aesthetics and the Creation of Self)
예술로서의 삶 (니체에서 푸코까지,Life as Art: Aesthetics and the Creation of Self)
저자 : 재커리 심슨
출판사 : 갈무리
출판년 : 2016
ISBN : 9788961951395

책소개

우리가 이 땅에서 먹고, 마시고, 말하고, 즐기고, 고통을 받으며 숨을 쉬고 있는 한 자기의 삶에 대한 관심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예술로서의 삶>은 바로 이러한 철학의 물음에 충실한 책이다. 무엇보다도, 재커리 심슨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무엇이 좋은 삶인지에 대한 물음에 예술로서의 삶이라는 철학자들의 통찰을 나름의 해법으로 제시한다.



니체, 아도르노, 마르쿠제, 하이데거, 메를로-퐁티, 마리옹, 카뮈, 푸코에 이르기까지 19~20세기를 수놓은 기라성 같은 철학자들이 제시한 삶의 의미에 대한 물음을 저자는 ‘예술’을 매개로 정돈한다. 참된 자유가 구현될 수 없는 조건 속에서도 ‘세계’는 우리에게 창조적 삶을 살 수 있는 소재들을 끊임없이 내주고 있다.



문제는 이 소재들을 어떻게 선용할 수 있는가이다. 우리의 삶을 예술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소재들을 어떻게 선용할 수 있는지, 예술가적 주체성은 무엇인지에 대한 본서에서 제시된 철학자들의 여러 통찰을 통해 우리는 예술가적 자기 창조라는 좋은 삶을 향한 구체적 계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니체, 아도르노, 마르쿠제, 하이데거, 메를로-퐁티,
마리옹, 카뮈, 푸코가 말하는 미학과 자기창조

예술적인 삶은 이상적인 자기(또는 자기들)를 창조하기 위해 학문과 예술 사이에서,
단념과 긍정 사이에서 “춤추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술로서의 삶은 현대 사회에서의 소외, 허무주의 그리고 대상화의 여러 과정에 대한 하나의 응답이다. 하지만 그것은 오직 저항을 통해서만 응답하는 것은 아니다. 긍정적인 의미에서, 그것은 외적인 지지나 정당화를 추구하지 않고 매일의 삶에 의미와 의의를 부여하는 방법들을 발견하고자 한다. …… 예술로서의 삶은 저항의 형태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의미가 실현될 수 있고 세계가 회복되고 개혁될 수 있는 철학적인 실천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 본문 중에서

1. 간략한 소개
우리가 이 땅에서 먹고, 마시고, 말하고, 즐기고, 고통을 받으며 숨을 쉬고 있는 한 자기의 삶에 대한 관심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예술로서의 삶』은 바로 이러한 철학의 물음에 충실한 책이다. 무엇보다도, 재커리 심슨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무엇이 좋은 삶인지에 대한 물음에 예술로서의 삶이라는 철학자들의 통찰을 나름의 해법으로 제시한다. 니체, 아도르노, 마르쿠제, 하이데거, 메를로-퐁티, 마리옹, 카뮈, 푸코에 이르기까지 19~20세기를 수놓은 기라성 같은 철학자들이 제시한 삶의 의미에 대한 물음을 저자는 ‘예술’을 매개로 정돈한다. 참된 자유가 구현될 수 없는 조건 속에서도 ‘세계’는 우리에게 창조적 삶을 살 수 있는 소재들을 끊임없이 내주고 있다. 문제는 이 소재들을 어떻게 선용할 수 있는가이다. 우리의 삶을 예술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소재들을 어떻게 선용할 수 있는지, 예술가적 주체성은 무엇인지에 대한 본서에서 제시된 철학자들의 여러 통찰을 통해 우리는 예술가적 자기 창조라는 좋은 삶을 향한 구체적 계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2. 상세한 소개
『예술로서의 삶』은 우리가 어떻게 의미, 해방 그리고 창조성에 대한 미학적인 주안점들을 통합시킬 수 있는가 하는 문제들과 관련해서, 니체 이후 현대 미학의 원천들을 우리의 일상적인 삶의 영역으로 가져온다. 비판이론가들과 현상학자들, 그리고 실존주의자들에 관한 미학적·윤리적 설명들과 예술적 삶에 대한 일관성 있는 관점을 연결시킴으로써, 재커리 심슨은 현대유럽철학의 많은 이론들이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대안적인 방식들과 연관된다는 점을 잘 보여 준다. 통합된 현상으로 간주될 수 있는 예술로서의 삶은 예술작품에서 발견되는 저항, 개방 그리고 창조성을 드러내는 삶을 새롭게 형성하기 위한 능동적인 시도를 의미한다.

신의 죽음 이후의 삶
19세기에 니체는 ‘신의 죽음’을 선언했다. 이 선언이 보여 주듯, 19세기 후반부터 상당수의 철학자들은 우리의 삶의 세계 저편에서 도래하는 초월적 의미에 대한 의심 속에서, 우리의 삶에 참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내재적 가치들을 찾아 나섰다. 그리고 이러한 방랑의 모험 속에서 우리가 마주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이 바로 예술/미학이다.
한편 우리는 예술과 미학적인 것에서 우리의 삶을 단순화시키고 획일화하는 부정적인 것들에 대한 저항 및 삶에 대한 긍정을 위한 창조적 영감을 얻는다. 이러한 영감을 기반으로 삼아 우리는 타성에 젖어버린 관행에 맞서 다르게 사유하고 행동하며, 급기야는 세계를 다르게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구체화한다. 결국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삶을 아름답게 가꿔나가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예술적/미학적 가치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퉁해 구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정치철학자 조정환이 『예술인간의 탄생』(갈무리, 2015)에서 지적했듯, 20세기 아방가르드의 ‘누구나 예술가다’라는 선언은 21세기 신자유주의 시대에 ‘누구나 기업가다’라는 명제로 역전되었다. 예술적인 것으로 가득 찬 사회가 극도로 피로한 인지노동의 사회로 체감되는 이유이다. 모든 순간을 예술가처럼 살고자 하는 예술인간의 지향이 신자유주의라는 권력테크놀로지 하에서는 모든 사람이 기업가가 되어 자기계발을 해야 한다는 경제인간의 명령으로 변질되었다.

댄디즘, 니체에서 푸코로 이어지는 미학적 주체성의 계보
그렇지만 경제인간 속에는 예술인간이 깃들어 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예술인간의 힘, 다시 말해 우리 삶을 예술적으로 가꾸어 나가는 우리의 자율적 노력을 어떻게 더 뚜렷이 드러내고 발전시킬 수 있는가일 것이다. 이 보편적인 과제 앞에서, 이 책 『예술로서의 삶』은 니체 이후 20세기를 수놓은 기라성 같은 학자들 - 아도르노, 마르쿠제, 하이데거, 메를로-퐁티, 마리옹, 카뮈, 푸코 - 의 철학을 우리에게 소개한다.
하지만 저자인 심슨은 이 책에서 이 철학자들의 철학을 단순히 반복하지 않는다. 그는 이러한 철학들을 예술적인 삶이라는 시선 아래 가져와 이러한 삶을 구성하는 다양한 계기들로 매끄럽게 풀어낸다. 니체의 이상적 유형들을 위시하여, 아도르노와 마르쿠제의 구원과 해방을 추구하는 예술작품으로서의 개인/사회, 하이데거·메를로-퐁티·마리옹의 체화된 시적 사유와 계시, 카뮈의 삶-예술가, 푸코의 실존의 미학은 여기서 한데 어우러진다. 그리고 억압되고 훼손된 현실에 저항하고 잃어버린 우리의 삶의 원천을 발견하여 이를 기반으로 예술작품처럼 우리의 삶을 창조하는 예술적 주체로서의 인간과 예술적인 삶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노래하고, 그리며, 시 짓고, 춤추는 우리의 삶을 위하여!
그러나 독자가 이 책에서 만나는 사람은 단순히 철학자들만이 아니다. 독자는 여기서 이 철학자들이 말하는 예술적인 삶을 몸소 보여주는 화가, 뮤지션, 시인, 댄서, 운동가를 만난다. 저자는 현대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양산되는 획일적인 삶의 방식과 답답한 현실의 문제들을 실제 삶 속에서 부단히 저항하고 또한 창조함으로써 자신의 고유한 삶을 새롭게 살아내는 이들의 삶의 방식을 곳곳에 심어 놓았다.
화가 르네 마그리트는 2차 세계대전 시기 유럽의 참상을 목격한 후 기존의 “개념적이고 선형적인 것에서 벗어나 생기 있고 심지어 즐거운” 분위기의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많은 사람들이 마그리트를 향해 현실도피적이라고 비난했다. 하지만 재커리 심슨에 의하면 마그리트의 시도가 보여주는 것은 “자율적이고 부조리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대단히 정치적이고 이상적인” 예술의 면모이다. 나아가 “마그리트의 인상주의적인 예술은 ... 세계의 부조리함을 바로 그 세계로부터 끌어냄으로써 보여 주기 때문에 저항적”이라고 저자는 말한다.(113~115쪽)
카뮈의 소설 『페스트』의 등장인물 “그랑”은 자기 소설을 쓰면서 첫 문장을 끊임없이 다시 쓴다. 이 어리석은 작업을 끝없이 계속하는 그랑에게 중요한 것은 “자기희생이나 완전성”이 아니다. “그랑의 독특한 성취는 작품의 수가 아니라 독립적인 삶이다. 그것은 미학과 경험의 긍정적인 헌신적 차원들, 연대성과 자율성 사이의 역설에 예술적 표현을 부과한다.”(382~384쪽)
또 푸코의 미학을 다룬 9장에서 저자는 인도의 과학자이자 활동가, 에코페미니스트인 반다나 시바의 삶에 주목한다. 심슨이 보기에 “니체의 자유정신처럼, 시바는 이론물리학의 학술 연구에서 민중 활동가가 되기 위한 연구, 대안마련, 과학 정책 제시로 이행하면서 다양한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냈다. ... 시바가 성취한 것처럼 보이는 것은, 다른 많은 이들처럼, 우리의 ‘노동’이 저항 행위 자체이며, 기쁨, 그리고 인도주의적이며 연대적인 열정적 참여의 형식이라는 점이다.”(390~393쪽)
이렇게 독자들은 저자가 제시한 예술적 삶의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서, 저자의 논지에 더 깊이 공감하면서 여러 철학자들이 탐구한 예술적인 삶의 가능성을 자신의 삶으로 전유하는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도 그들처럼 노래하고 시 짓고, 춤추며, 삶의 터전을 창조적으로 가꾸는 새로운 주체적 삶을 꿈꿔보도록 하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5



1부 예술로서의 삶에 대한 소개



1장 앞으로의 길 14



2장 댄디즘 그리고 삶과 예술의 동일성 32



3장 니체의 이상적 유형들 51

서론 51

방법 54

니체의 이상적인 유형들 62

결론 109



2부 저항



4장 테오도르 아도르노의 부정적 사유와 유토피아 113

저항을 위하여 113

사유의 역할 123

예술, 미학 그리고 이것들과 사유의 관계 131

미학과 구원 148

결론 160



5장 헤르베르트 마르쿠제와 예술적 개인 164

개혁을 위하여 164

조작화, 예술 그리고 혁명 176

“예술작품으로서의 사회”와 혁명적인 주체의 추구 191

결론 208



3부 긍정



6장 마르틴 하이데거와 시적 사유 214

들어가며 214

사유 224

시와 시적 사유 240

결론 261



7장 메를로-퐁티와 마리옹에게서 존재 사유 266

들어가는 말 266

메를로-퐁티 : 표현적 신체-주체 273

장-뤽 마리옹과 (내재적인) 계시의 가능성 315

결론 : 예술적 삶 안에서 체화된 시적 사유 333



4부 창조



8장 알베르 카뮈의 삶-예술가 340

윤리로의 이행 340

카뮈의 삶 -예술가 344



9장 푸코의 실존의 미학 390

들어가는 말 390

권력과 저항 397

자기의 실천 425

결론 459



10장 예술로서의 삶 465



감사의 글 476

보충 문헌 479

참고 문헌 480

옮긴이의 말 486

인명 찾아보기 489

용어 찾아보기 492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