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역사지리 (푸른길학술 8)
한국역사지리 (푸른길학술 8)
저자 : 홍금수|이전|김기혁|김덕현|오상학|양보경|정치영|이준선|전종한|배해옥|이기봉
출판사 : 푸른길
출판년 : 2011
ISBN : 9788962911718

책소개

역사지리학 분야의 중견 학자 11명이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완성한 결과물이다. 역사와 지리의 관계를 밝혀 역사지리학의 정의를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오늘날 지리학 내에서 굳건한 위치를 주장할 수 있게 된 역사지리학 분야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시간과 공간을 다루는 데 필요한 자료와 접근 방법까지 친절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제1장에서는 역사지리학의 본질과 접근 방법에 대하여 거의 모든 부분을 다루었다. 그리고 제2장에서는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 과정, 제3장에서는 영토와 행정 구역, 제4장에서는 전통적 자연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제5장에서는 공간의 표상인 고지도, 제6장에서는 지역 정보의 보고인 지리지에 관하여 살펴본다. 제7장에서는 인구 현상의 시간적 변화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8장에서는 농업과 농업 공간의 변천 과정, 제9장에서는 촌락의 형성 과정과 발달, 제10장에서는 도시의 입지와 구조의 변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과거의 지리를 복원하다



역사지리학은 시간을 대상으로 하는 역사학과 공간의 문제를 다루는 지리학이 서로 끊임없이 교류하면서 성립된 통섭의 학문이다. 다시 말하면 시간과 공간을 다루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역사지리학에서 다루는 시간과 공간은 지리적 현상에 대해서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기본 개념이다. 따라서 동서양 사상 체계의 근간을 이루며 학문 발달의 과정에서도 주목할 만한 족적을 남겼다. 하지만 역사지리학의 연구 방법은 다소 모호하고 어렵게 느껴진다. 그런데 이것은 역사지리학이 어렵기 때문이 아니라 역사지리학 연구가 활기를 띠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부터 전문적인 연구 성과를 꾸준히 축적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글로 쓴 마땅한 개론서가 없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한국역사지리』는 이와 같은 필요에 부응할 수 있는 책이다. 국내에서 발생한 다양한 지리적 현상들은 물론, 각각의 현상들이 서로 긴밀하게 결합됨으로써 형성된 여러 계층의 지역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역동적으로 변천되어 온 과정을 깊이 있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역사와 지리의 관계를 밝혀 역사지리학의 정의를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오늘날 지리학 내에서 굳건한 위치를 주장할 수 있게 된 역사지리학 분야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시간과 공간을 다루는 데 필요한 자료와 접근 방법까지 친절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역사지리학 분야의 중견 학자 11명이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완성한 『한국역사지리』를 통하여 과거를 입체적으로 복원해 내는 역사지리학의 매력에 빠지게 될 것이다.

『한국역사지리』의 제1장에서는 역사지리학의 본질과 접근 방법에 대하여 거의 모든 부분을 다루었다. 그리고 제2장에서는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 과정, 제3장에서는 영토와 행정 구역, 제4장에서는 전통적 자연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제5장에서는 공간의 표상인 고지도, 제6장에서는 지역 정보의 보고인 지리지에 관하여 살펴본다. 제7장에서는 인구 현상의 시간적 변화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8장에서는 농업과 농업 공간의 변천 과정, 제9장에서는 촌락의 형성 과정과 발달, 제10장에서는 도시의 입지와 구조의 변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홍금수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이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김기혁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김덕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오상학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양보경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교수

정치영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이준선 관동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전종한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박해옥 관동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이기봉 국립중앙도서관 고서전문원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장 역사지리학의 본질과 접근 방법

제2장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 과정

제3장 영토와 행정 구역

제4장 전통적 자연관

제5장 공간의 표상, 고지도

제6장 지역 정보의 보고, 지리지

제7장 인구의 역사지리

제8장 농업과 농업 공간의 변천 과정

제9장 촌락의 형성 과정과 발달

제10장 도시의 입지와 구조의 변천

집필진

색인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