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현대 지리교육학의 이해
현대 지리교육학의 이해
저자 : 현대지리교육학회 편집부
출판사 : 푸른길
출판년 : 2018
ISBN : 9788962914405

책소개

그동안 지리교육학 개론서가 다수 출간되었지만 주로 교육학 논리에 따라 목적, 내용, 방법, 평가 순으로 구성되거나, 이 중 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현대 지리교육학의 연구 성과를 담은 전문 서적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는 최근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 및 성과를 알리고자 단행본 출판을 기획하였다.
이 책은 그 결과물로서 현대 지리교육학의 최신 연구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는 지리교육과 환경교육의 연구와 실천을 위해 1993년에 창립된 전문학회이다. 지리 교과교육학의 논리에 따라 교육의 주체인 인간과 교육의 터전인 교실을 각각 처음과 마지막에, 지리 교과의 핵심개념인 공간, 장소, 환경을 가운데에 배치하여 책의 구성 또한 남다르다.
제1부 지리와 인간은 지리교육을 통해 육성해야 할 인간상에 대해 탐구한다. 여기서는 몸의 지리성, 지리적 상상력, 시민성, 핵심역량, 생태적 다중시민성, 사이보그 시민을 논의한다. 제2부 지리와 공간에서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공간을 대상으로 한 지리교육과 관련하여, 위치와 영역 그리고 공간에 대한 이해와 공간적 사고력 육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제3부 지리와 장소에서는 주관적이고 구체적인 장소를 대상으로 한 지리교육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는 장소와 존재, 장소와 자아 정체성, 다문화교육, 글로벌 교육, 세계시민 교육, 장소 스키마를 논의한다. 제4부 지리와 환경에서는 지리를 통한 환경 교육의 최근 동향을 소개한다. 여기서는 장소기반 환경 교육, 생태 시민성, 환경정서와 환경교육, 지리답사와 감성적 접근을 논의한다. 제5부 지리와 교실은 지리 교실수업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두며, 실행 연구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수업 전략 및 사례를 담고 있다. 여기서는 교사학습공동체, 교실생태학, 교실 공간 메타포, 학습 스타일, 교수학의 인류학적 접근, 디지털 스토리텔링, 학습 만화를 논의한다.
이 책의 집필을 위해 중견 및 소장 지리교육학자를 비롯하여, 최근에 박사학위를 받은 신진 지리교육학자 등 29인의 연구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인간, 공간, 장소, 환경, 교실의 다섯 개의 주제로 최근 지리교육학 연구를 총망라하였다. 지리교육학의 최신 연구 동향과 성과를 이해하는 데 『현대 지리교육학의 이해』 이 책 한 권이면 충분하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그동안 지리교육학 개론서가 다수 출간되었지만 주로 교육학 논리에 따라 목적, 내용, 방법, 평가 순으로 구성되거나, 이 중 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현대 지리교육학의 연구 성과를 담은 전문 서적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는 최근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 및 성과를 알리고자 단행본 출판을 기획하였다.

이 책은 그 결과물로서 현대 지리교육학의 최신 연구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는 지리교육과 환경교육의 연구와 실천을 위해 1993년에 창립된 전문학회이다. 지리 교과교육학의 논리에 따라 교육의 주체인 인간과 교육의 터전인 교실을 각각 처음과 마지막에, 지리 교과의 핵심개념인 공간, 장소, 환경을 가운데에 배치하여 책의 구성 또한 남다르다.

제1부 지리와 인간은 지리교육을 통해 육성해야 할 인간상에 대해 탐구한다. 여기서는 몸의 지리성, 지리적 상상력, 시민성, 핵심역량, 생태적 다중시민성, 사이보그 시민을 논의한다. 제2부 지리와 공간에서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공간을 대상으로 한 지리교육과 관련하여, 위치와 영역 그리고 공간에 대한 이해와 공간적 사고력 육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제3부 지리와 장소에서는 주관적이고 구체적인 장소를 대상으로 한 지리교육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는 장소와 존재, 장소와 자아 정체성, 다문화교육, 글로벌 교육, 세계시민 교육, 장소 스키마를 논의한다. 제4부 지리와 환경에서는 지리를 통한 환경 교육의 최근 동향을 소개한다. 여기서는 장소기반 환경 교육, 생태 시민성, 환경정서와 환경교육, 지리답사와 감성적 접근을 논의한다. 제5부 지리와 교실은 지리 교실수업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두며, 실행 연구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수업 전략 및 사례를 담고 있다. 여기서는 교사학습공동체, 교실생태학, 교실 공간 메타포, 학습 스타일, 교수학의 인류학적 접근, 디지털 스토리텔링, 학습 만화를 논의한다.

이 책의 집필을 위해 중견 및 소장 지리교육학자를 비롯하여, 최근에 박사학위를 받은 신진 지리교육학자 등 29인의 연구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인간, 공간, 장소, 환경, 교실의 다섯 개의 주제로 최근 지리교육학 연구를 총망라하였다. 지리교육학의 최신 연구 동향과 성과를 이해하는 데 『현대 지리교육학의 이해』 이 책 한 권이면 충분하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지리와 인간

제1장 몸의 지리성과 지리교육 (김대훈)

제2장 지리적 상상력과 지리교육 (강효선·손명철)

제3장 시민성의 공간적 재개념화와 지리교육 (조철기)

제4장 핵심역량과 지리교육 (김현미)

제5장 핵심역량으로서 생태적 다중시민성 (심광택)

제6장 지리교육, 관계적 존재론, 사이보그 시민 (김병연)



제2부 지리와 공간

제7장 지리교육에서 공간지능의 의미와 활용 방법 (조성욱)

제8장 지도학습과 교육심리: 공간인지 발달을 고려한 지도학습 (최낭수)

제9장 학습자의 과제의존성에 따른 시공간 표상 정보의 활용 전략과 전이 (김기남)

제10장 지리교육에서 지오클라우드의 이해와 적용 (전보애)

제11장 지리공간기술을 활용한 지역사회 참여 봉사학습 (김민성)

제12장 위치학습과 지리교육 (김다원)

제13장 영토(영역) 분쟁 및 갈등 지역의 지명 표기 현황과 쟁점? “세계지리” 과목을 사례로 (안종욱)



제3부 지리와 장소

제14장 장소, 존재, 지리교육 (박승규)

제15장 장소에 기반한 자아 정체성 교육 (임은진)

제16장 다문화교육과 지리교육 (박선희)

제17장 글로벌 수준의 문제에 대한 실천적 참여 교육 (박선미)

제18장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리 교육과정 해체 (김갑철)

제19장 장소 스키마와 지리교육 (한동균)



제4부 지리와 환경

제20장 장소기반 (환경)교육 (윤옥경)

제21장 생태 시민성의 지리 (김병연)

제22장 환경정서와 환경교육 (강민정)

제23장 지리답사의 이해와 실천: 도시 답사의 감성적 접근 (박철웅)



제5부 지리와 교실

제24장 교사학습공동체와 지리교사의 전문성 발달 (김대훈)

제25장 교실생태학과 지리 수업 연구 (김혜숙)

제26장 교실 공간의 이해와 ‘교실 공간 메타포’ (한희경)

제27장 학습 스타일과 지리교과 내용 특성 (장의선)

제28장 교수학의 인류학적 접근 이론(ATD)의 이해 (김혜진)

제29장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지리 수업 설계 (홍서영)

제30장 학습 만화를 활용한 지리 수업 설계 (최재영)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