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최신 교육학개론
최신 교육학개론
저자 : 성태제|강대중|강이철|곽덕주|김계현
출판사 : 학지사
출판년 : 2012
ISBN : 9788963308098

책소개

『교육학개론』은 교육학이란 무엇인지 소개하고, 교육학 이론을 전반적으로 다룬 책이다. 본문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교육학의 세부 전공으로서 전공 분야의 전반적 이론을 소개하는 교육학의 길잡이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부 학생들이 교육학을 쉽게 이해하며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새로운 이론도 소개하였다. 각 장마다 7개 내외의 학습과제를 두었으며, 관심 있는 내용을 더욱 깊이 있게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참고문헌에 further reading 자료를 함께 제시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판 머리말

『최신 교육학개론』을 출간한 지 벌써 5년이 지났다. 5년마다 책을 개정해 주어야 책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다는 통설을 지키려 하기보다는 그간 이 책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불편함을 덜고 새로운 교육의 변화를 담으려고 개정하게 되었다.
이 책을 집필할 때 신진이셨던 분은 중년으로, 중년이던 분은 60세를 바라보게 되었다. 열세 분이 이 책을 집필하면서 교육학 이론뿐 아니라 교육현상 전반에 대한 허심탄회한 논의도 하고, 다른 전공 분야의 내용을 공유하며 친목을 다지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학기말에 모임을 하자고 약속했지만, 그 약속이 쉽게 지켜지지 않음은 집필 대표인 내게 책임이 있다고 할 것이다.
각 장에 따라 개정 내용이 다소 다를 수 있다. 시대적 변화에 따라 내용이 많이 변하는 분야도 있을 것이고, 교육의 본질을 다루는 분야는 초판과 내용이 별로 변하지 않아 수정 내용이 없을 수 있다. 변화는 발전을 의미하고, 그 발전의 내용을 이 책이 담아야 토플러가 제3의 물결에서 ‘교육과 행정이 사회 발전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있어 이 책의 저자들은 보이지 않는 부담감을 안고 있다. 이 책은 꾸준히 수정되고 보완되기를 기대하며, 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개론서의 역할을 다할 것을 기대한다.
존경하는 정범모 교수님께서 ‘교육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이고, 이런 사람들로 구성된 국가의 국격을 높여야 하며, 나아가 국혼을 갖게 하여야 한다.’고 하신 말씀을 인용한다. 교육을 하는 사람들은 이를 넘어서 인류애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마지막으로 개정판 인사를 마친다.
꾸준히 이 책을 관리해 주시고 개정판을 출간하게 해 주신 학지사 김진환 사장님과 직원분들께 감사드린다.

2012년 1월
집필인 대표 성태제

1판 머리말

교육이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 나라나 사람은 아무도 없다. 정치, 경제, 문화,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선진국을 자처하는 나라도, 열악한 나라의 지도자들도 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항상 강조한다. 그러면서 교육은 변하고 새로워야 한다는 슬로건 아래 조약, 법안, 구호들을 쏟아 낸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대통령이 새로 부임할 때마다 새교육, 신교육 그리고 교육개혁, 교육혁신하면서 많은 교육정책을 내놓는다. 그래서 그런지 교육현장에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교육의 변화만을 주장하는 이런 단어에 무디어 있다.
교육이란 무엇인가? ‘가르치고 기르다.’라는 우리 어원에 비추어 본다면 교육은 항상 새롭게 발전시켜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을 소개하는, 교육학 전반을 이해시키는 책은 날로 새로워지고 인간을 성장·발달시키는 소중한 이론을 담아야 한다. 예전에 제안되었다 사라진 이론들이 새로운 책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종전에 출간된 교육학개론서가 많이 있으나, 교육학개론서의 내용도 새로운 이론이어야 하고 나아가 미래의 교육을 예견하고 설명하며 준비하는 내용이어야 한다는 생각에 전공별로 13명의 집필진이 힘을 합쳤다. 이 책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교육의 개념적 기초를 시작으로, 제2장은 교육의 역사적 기초, 제3장은 교육의 철학적 기초, 제4장은 교육의 심리적 기초, 제5장은 교육의 사회적 기초를 설명하며, 제6장은 교육과정, 제7장은 교수·학습, 제8장은 교육평가, 제9장은 교육공학, 제10장은 생활지도와 상담, 제11장은 교육행정, 제12장은 평생학습과 평생교육, 그리고 제13장은 교사론을 다루고 있다.
각 장은 교육학의 세부 전공으로서 전공 분야의 전반적 이론을 소개하는 교육학의 길잡이가 될 수 있도록 집필하였다. 또한 학부 학생들이 교육학을 쉽게 이해하며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새로운 이론도 소개하였다. 각 장마다 7개 내외의 학습과제를 두었으며, 관심 있는 내용을 더욱 깊이 있게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참고문헌에 further reading 자료를 함께 제시하였다.
전공 분야에서 많은 작업을 한 젊은 학도들이어서 책을 집필함에 있어 순수함과 열정을 가지고 새로운 이론을 담고자 노력하였다. 집필, 교정 그리고 인쇄에 이르기까지 조화롭게, 특히 일정에 차질 없도록 함께 노력해 준 집필진 모두에게 감사드린다. 책을 집필함에 있어 더 많은 분과 훌륭하신 동학을 모시지 못한 아쉬움도 없지 않다. 교육학 전 분야를 통틀어서도 그렇지만 유사 인접 전공 분야, 같은 전공 분야에서도 이런 공동작업을 통하여 보다 훌륭한 책이 출간되어 교육학이나 관련 전공의 중요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모든 면에서 수고를 아끼지 않으신 학지사 김진환 사장님과 직원 모든 분께 감사드리며, 교육 관련 서적 출판으로 시작한 학지사가 우리나라 교육발전을 위해 공헌하리라 기대한다.

2007년 2월 22일
집필인 대표 성태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2판 머리말 / 3
1판 머리말 / 5

Chapter 01 교육의 개념적 기초 14
ㆍ교육의 어원과 비유 ● 16
1) 교육의 어원 / 16 2) 교육의 비유 / 20
ㆍ교육의 정의방식과 대표적 정의 ● 24
1) 교육의 정의방식 / 25 2) 교육의 대표적 정의 / 28
ㆍ교육의 목적과 교육학의 성격 ● 39
1) 교육의 목적 / 40 2)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 42

Chapter 02 교육의 역사적 기초 50
ㆍ교육사 학습의 필요성 ● 52
1) 교육사 학습의 목적 / 52 2) 교육사 접근의 방법 / 54
ㆍ교육의 발생과 제도적 교육의 전개 ● 56
ㆍ서양교육의 역사적 전개 ● 58
1) 서양의 전통적 교육 / 58 2) 서양의 근대교육 / 67
ㆍ한국교육의 역사적 전개 ● 71
1) 한국의 전통적 교육 / 71 2) 한국의 근대교육 / 81

Chapter 03 교육의 철학적 기초 92
ㆍ교육철학의 학문적 성격 ● 94
1) 교육철학의 역할과 과제 / 94 2) 교육철학의 방법 / 98
ㆍ현대 교육철학의 사조 ● 104
1) 20세기 전반의 교육철학 사조 / 105 2)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사조 / 109
ㆍ현대 교육철학의 탐구주제 ● 115
1)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간의 논쟁 / 116
2) 도덕교육에 대한 다양한 접근 / 117
3) 공교육의 역할과 민주사회에서의 시민교육 / 118
4) 근대성, 합법성, 교육적 실천 간의 관계 / 120

Chapter 04 교육의 심리적 기초 124
ㆍ교육심리학의 성격 ● 126
ㆍ학습자의 특성 ● 126
1) 인간 발달 / 126 2) 개인차와 학습 / 133
ㆍ학습의 원리 ● 138
1) 행동주의 / 138 2) 인지주의 / 144
ㆍ교육심리학의 기능 ● 150

Chapter 05 교육의 사회적 기초 156
ㆍ교육의 사회적 기능 ● 158
1) 기능주의적 관점 / 158
2) 갈등론적 관점: 불평등 재생산이론 / 162
ㆍ교육의 기회균등과 교육평등 ● 165
1) 교육평등의 원리 / 165 2) 교육평등과 교육정책 / 169
3) 한국의 교육불평등 / 171
ㆍ사회불평등과 교육 ● 174
1) 사회불평등에 대한 관점 / 174
2) 교육의 효과에 대한 기능론적 연구 / 176
3) 교육의 효과에 대한 갈등론적 연구 / 178
ㆍ교육과정사회학 ● 179
1) 교육과정사회학의 발전 / 179 2) 잠재적 교육과정의 성격 / 181

Chapter 06 교육과정 192
ㆍ교육과정에 대한 기본적 이해 ● 194
1) 교육과 교육과정 / 194 2) 교육과정 결정의 세 요소 / 197
3) 교육과정의 정의 / 201 4) 교육과정의 다양한 모습 / 201
ㆍ교육과정 발달의 역사적 이해 ● 211
1) 19세기의 교육과정사 / 211 2) 20세기의 교육과정사 / 213
ㆍ교육과정의 개발 ● 218
1) 교육과정 개발과정 / 218 2)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개발과정 / 220
ㆍ교육과정의 운영과 평가 ● 223
1) 교육과정의 운영 / 223 2) 교육과정의 평가 / 223
ㆍ교육과정의 과제와 전망 ● 224
1) 교육과정 공부와 직업 진로 / 224 2) 교육과정의 연구 개발 과제 / 226

Chapter 07 교수·학습 232
ㆍ교수·학습 ● 234
1) 학습의 과정 및 정의 / 234 2) 교수의 정의 및 하위 영역 / 237
ㆍ교수의 3대 변인 ● 244
1) 교수의 조건변인 / 245 2) 교수의 방법변인 / 248
3) 교수의 성과변인 / 251
ㆍ가네의 교수이론 ● 253
1) 교수이론의 성격 / 253 2) 목표별 학습조건론 / 254
3) 수업사상 / 259

Chapter 08 교육평가 266
ㆍ교육평가 ● 268
1) 정의 / 268 2) 목적과 기능 / 269
3) 절차 / 269 4) 검사, 측정, 총평 / 270
ㆍ교육평가의 유형 ● 272
1) 교수·학습 진행에 따른 평가 / 272 2) 참조준거에 따른 평가 / 274
ㆍ문항 제작과 검사이론 ● 277
1) 문항과 검사 제작 / 277 2) 검사이론 / 278
ㆍ검사도구의 질 ● 282
1) 타당도 / 282 2) 신뢰도 / 284
ㆍ교육평가의 동향과 전망 ● 286
1) 수행평가 / 286 2) 컴퓨터화 검사 / 288
3)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 290

Chapter 09 교육공학 296
ㆍ교육공학이란 ● 298
1) 교육공학의 개념 / 298 2) 교육공학의 정의 / 299
ㆍ교육공학의 발전 ● 305
1) 교수매체의 발전과 변화 / 305 2) 교수설계의 발전과 변화 / 311
ㆍ이론적 학문 분야로서의 교육공학 ● 315
1)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 315 2) 교육공학의 기본 영역 / 316
ㆍ실천적 응용 분야로서의 교육공학 ● 322
1) 교수매체의 선택 및 활용 / 323 2) 교수설계 과정의 수행 / 325
ㆍ교육공학의 미래 전망 ● 329

Chapter 10 생활지도와 상담 336
ㆍ생활지도의 개념 ● 338
1) 교과지도와 생활지도 / 338 2) 생활지도의 대상 / 339
3) 예방으로서의 생활지도 / 340 4) 교육으로서의 생활지도 / 341
5) 민주주의 교육철학으로서의 생활지도 / 342
ㆍ생활지도의 영역과 기능 ● 343
1) 학업문제의 조력 / 343 2) 사회성 및 성격발달의 조력 / 348
3) 진로지도 / 351 4) 학급경영(학급 관리) / 355
ㆍ상담의 이론과 방법 ● 357
1) 생활지도에서 상담의 위치 / 358 2) 학교상담 교육과정의 영역과 목적 / 358
3) 전문상담의 대표적 이론 / 360 4) 개인상담의 기본 전략과 기법 / 363
5) 학교 또래상담 / 366 6) 소집단 상담 프로그램 / 367
ㆍ학교상담의 역사와 제도 ● 368
1) 학교상담의 태동과 교도주임제도 / 369
2) 전문상담교사 자격제도 / 370
3) 기타 학교상담 인력 / 372
4) 학교상담 정책 / 373

Chapter 11 교육행정 378
ㆍ교육행정의 의의와 개념 ● 380
1) 교육행정의 중요성과 본질 / 380
2) 교육행정의 대두 배경 / 382
3) 교육행정의 개념과 유사 개념 / 384
4) 교육행정의 성격과 원리 / 390
ㆍ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 394
1) 교육행정학의 성립 / 394 2) 고전이론 / 397
3) 인간관계론 / 401 4) 행동과학론 / 403
5) 해석론과 새로운 관점 / 404
6) 조직이론을 중심으로 본 현대 교육행정 이론 / 405
ㆍ우리나라의 교육행정 ● 409
1) 우리나라 교육행정의 과제와 동향 / 409
2) 우리나라 교육행정의 주요 관심 영역 / 412
3) 우리나라 교육행정 실제 예시: 지방교육자치제도 / 416

Chapter 12 평생학습과 평생교육 422
ㆍ평생학습의 이해 ● 424
1) 은유: 학습을 이해하는 한 방식 / 424
2) 습득 은유, 참여 은유, 창조 은유 / 425
3) 평생학습: 학습을 이해하는 지평의 확장 / 430
ㆍ평생교육의 개념과 역사 ● 439
1) 평생교육 논의와 담론의 발전과정: 서구의 경험 / 441
2)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역사와 법제화 / 445
ㆍ평생교육의 영역과 제도 ● 449
1) 평생교육의 6대 영역 / 449
2) 평생교육기관 / 453
3) 평생교육의 제도와 정책 / 455
ㆍ평생학습과 평생교육의 연구과제 ● 460

Chapter 13 교사론 466
ㆍ교직관 ● 468
1) 성직관 / 468 2) 노동직관 / 469
3) 전문직관 / 469
ㆍ교사의 직무와 자질 ● 471
1) 교사의 직무 / 471 2) 교사의 자질 / 475
ㆍ교사 발달 ● 478
1) 교사 발달의 개념 / 478 2) 교사 발달의 대표적 모형 / 479
3) 교사 발달 이해의 의의 / 482
ㆍ교사의 능력 개발 ● 484
1) 현직연수 / 485 2) 장학 / 487
3) 교사의 자기개발 노력 / 493

찾아보기 / 501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