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청동기시대 송국리형문화의 전개와 취락 체계
청동기시대 송국리형문화의 전개와 취락 체계
저자 : 이종철
출판사 : 진인진
출판년 : 2016
ISBN : 9788963472515

책소개

송국리형문화는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 중기에 형성된 주요 연구 대상으로서의 가치를 가지며, 본 저작은 이 대상에 대한 총괄적인 접근을 시도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저자는 본 저작의 성과로서 263개 유적 1,987기의 송국리형취락을 분석함으로서 권역별 변화상을 드러낸 점, 영역화의 개념 적극적 수용으로 취락고고학의 근몬 목표에 접근한 점, 주거영역과 매장영역에서 드러난 위계의 존재에 내포된 상대적 성격 규명, 주요 거점취락에 대한 취락고고학적 접근을 통한 지역연계망 파악, 문화접촉 양상을 통한 금강유역권의 정체성의 구체성 재확인 등을 제시하고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 청동기시대의 주요한 지표인 송국리형 청동기 문화를 주제로 한 저작 『청동기시대 송국리형문화의 전개와 취락체계』가 발간되었습니다. 본 저작은 전북대박물관 학예연구사로 재직하면서 오랜 기간 송국리형문화 연구에 천착해 온 이종철의 박사학위 논문을 보완한 것입니다.

저자는 2000년 송국리형 주거지를 주제로 한 석사학위를 취득한 이래, 오랜 시간 박물관 학예사로서의 업무와 연구를 병행하면서 부여 송국리를 중심으로 한 청동기 문화 전반에 대한 연구성과를 축적해 왔으며, 그 성과를 집대성하여 본 저작을 집필하였습니다. 해당 주제를 집대성한 저작이니 만큼, ‘송국리형문화’의 전개 과정을 연구의 범위로 삼았고, 주된 연구 소재로는 청동기 시대 생활 양상의 총괄적인 증거 집합체라 할 수 있는 ‘취락체계’로 설정하였습니다. 필자는 연구의 상세 목표를 1. 송국리형문화의 개념과 시간적 범위의 수립, 2. 송국리형문화의 주요 요소들이 갖는 분포와 특성 파악, 3.송국리형문화 단계에 조성된 주거유적과 무덤유적의 비교 분석을 통한 사회구조와 경제체제의 파악, 4. 송국리형 취락의 공간적 설계에서 확인 되는 영역화 및 거점취락에 대한 분석, 5. 송국리형문화의 형식과 분포 및 지역적 파급 양상의 구체적 제시 등 5가지로 적시하였습니다.

저작의 목차는 연구 목표와 연관되어 구성되었는데 그 상세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1장. 연구목적과 방법
2장. 청동기시대와 송국리 문화
3장. 송국리형문화의 분포와 특징
4장. 송국리형문화의 주요요소
5장. 송국리형문화의 기원과 편년
6장. 송국리형문화의 경관과 취락의 구성
7장. 송국리형취락의 사회구조와 경제체제
8장. 거점취락의 형성과 발전
9장. 송국리형문화의 파급
10장. 연구 전망과 과제

송국리형문화는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 중기에 형성된 주요 연구 대상으로서의 가치를 가지며, 본 저작은 이 대상에 대한 총괄적인 접근을 시도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저자는 본 저작의 성과로서 263개 유적 1,987기의 송국리형취락을 분석함으로서 권역별 변화상을 드러낸 점, 영역화의 개념 적극적 수용으로 취락고고학의 근몬 목표에 접근한 점, 주거영역과 매장영역에서 드러난 위계의 존재에 내포된 상대적 성격 규명, 주요 거점취락에 대한 취락고고학적 접근을 통한 지역연계망 파악, 문화접촉 양상을 통한 금강유역권의 정체성의 구체성 재확인 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청동기시대 송국리형문화의 전개와 취락체계』는 460쪽을 넘는 방대한 분량으로서 우리나라 중기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송국리형문화를 이해하는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내면서 7
제Ⅰ장 연구 목적과 방법 13
제1절 연구 목적 13
제2절 선행 연구 15
제3절 연구 방법 33
제Ⅱ장 청동기시대와 송국리형문화 41
제1절 청동기시대의 시기 구분과 문화 41
제2절 송국리형문화의 정의 58
1. 문화·유형·요소 58
2. 송국리형문화·송국리유형 62
제3절 송국리형문화의 취락 구분 65
1. 송국리형취락 65
2. 송국리형취락의 구분 73
제Ⅲ장 송국리형문화의 분포와 특징 92
제1절 금강 유역권 93
제2절 충남 서해안권 96
제3절 아산만 유역권 98
제4절 한강 유역권 및 강원 동해안권 101
제5절 영산강 유역권 102
제6절 전남 남해안권 104
제7절 섬진강 유역권 105
제8절 낙동강 유역권 108
제9절 제주도권 112
제10절 소결 114
제Ⅳ장 송국리형문화의 주요 요소 117
제1절 유구 117
1. 주거 117
2. 무덤 145
제2절 유물 157
1. 토기 157
2. 석기 170
3. 청동기 191
제Ⅴ장 송국리형문화의 기원과 편년 196
제1절 기원 196
1. 기원설과 배경 196
2. 송국리형문화의 출현 202
제2절 편년 208
1. 형성기 209
2. 발전기 210
3. 쇠퇴기 215
4. 소멸기 217
제Ⅵ장 송국리형문화의 경관과 취락의 구성 219
제1절 경관 219
1. 입지 219
2. 농경 223
제2절 취락의 구성 226
1. 주거영역 227
2. 생산영역 240
3. 매장영역 243
제3절 소결 252
제Ⅶ장 송국리형취락의 사회구조와 경제체제 256
제1절 사회구조 256
1. 주거와 위계 256
2. 무덤과 위계 263
제2절 경제체제 270
1. 생산 270
2. 소비 281
3. 유통 289
제3절 소결 298
제Ⅷ장 거점취락의 형성과 발전 301
제1절 거점취락의 분포와 특징 301
제2절 주요 거점취락 304
1. 부여 송국리 305
2. 진안 여의곡 319
3. 장흥 신풍·갈두 331
4. 진주 대평리 346
제3절 여타 거점취락 360
1. 보령 관창리·순천 대곡리·사천 이금동·대구 동천동 360
2. 취락 설계의 특징 363
제4절 미완성의 거점취락 365
1. 당진 자개리Ⅰ 취락 366
2. 서천 도삼리 취락 368
3. 나주 운곡동 취락 369
제5절 거점취락의 발전과 그 의미 373
1. 거점취락의 발전과 사회적 의미 373
2. 지역연계망의 발달 375
제6절 소결 378
제Ⅸ장 송국리형문화의 파급 382
제1절 문화 파급과 취락사회의 변화 382
1. 문화 파급의 양상 382
2. 전기 문화와의 문화접촉 386
3. 후기 문화와의 문화접촉 393
제2절 지역적 파급 양상 397
1. 주변 지역으로의 파급 398
2. 지역적 전개 양상 410
제3절 제주도와 일본으로의 파급 415
1. 제주도 415
2. 일본 421
제4절 송국리형취락의 궤적 432
제5절 소결 437
제Ⅹ장 연구 전망과 과제 441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