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가야문명사
가야문명사
저자 : 박천수
출판사 : 진인진
출판년 : 2018
ISBN : 9788963473833

책소개

가야사 전반에 대한 총괄적인 내용을 집대성한 『가야문명사』가 발간되었습니다.

『가야문명사』 저자인 박천수 교수는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에 입학한 이래 가야토기 연구를 시작으로 가야사 전반에 대한 연구 작업에 천착해 왔으며, 일본 오사카대학에서 가야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모교에서 교편을 잡으며 한국과 일본의 고고 자료를 통한 고대 한일교섭사와 토기를 매개로 한 가야역사를 35년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한 중견 고고학자이며, 현재 경북대학교 부설 실크로드 조사연구센터장을 역임하고 있기도 합니다.

저자의 35년 가야역사 연구 성과의 집대성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가야문명사』는 700쪽이 넘는 방대한 부피의 저작으로서, 총 11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장에서 3장까지는 가야사 연구의 배경과 함께 가야의 권역, 시기 구분을 밝히고, 유적과 유물의 연대를 제시하여, 가야 문명사 접근에 대한 고고학적 방법론에 대해 기술합니다. 4장에서 7장까지는 본론으로서, 4장 유적과 유물로 본 가야 문화에서는 고고학 자료로 드러난 가야문화의 전반적인 양상을 항목별로 상세하게 기술하고, 5장에서는 일본과 가야의 활발했던 교류의 증거가 되는 유적, 유물들을 살펴봅니다. 5장에서는 가야 각국사의 전개를 금관가야, 아라가야, 소가야, 대가야, 다라, 기문, 비사벌 등 7개 사례별로 상세하게 알아봅니다. 7장은 본론 내용에 대한 총괄 정리로서 가야의 국가형성과 문명의 역사적 의의에 대한 평가를 제시합니다. 8장에서 11장은 부록 격으로서 가야 유물의 감상, 한국과 일본에 산재한 가야 관련 유적탐방관련 정보, 문헌목록, 도판목록 및 색인이 제시됩니다.

지난 2010년 진인진에서 펴낸 『가야토기-가야의 역사와 문화』가 발간된 이후 저자가 진행한 후속 연구작업의 집적이자, 가야사 연구의 집대성으로서 『가야문명사』 의의와 비중이 작다고 할 수 없으며 향후 가야사 연구에 있어서 밑거름이 되는 개론서로도 쓰임이 있을 것입니다.

부록에 실려있는 가야 유물 및 유적에 대한 상세한 안내와 도판 등은 전문연구자 뿐 아니라 우리 전통문화를 애호하고 역사에 관심을 가지는 일반 시민들이 가야문명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가야사 전반에 대한 총괄적인 내용을 집대성한 『가야문명사』가 발간되었습니다.



『가야문명사』 저자인 박천수 교수는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에 입학한 이래 가야토기 연구를 시작으로 가야사 전반에 대한 연구 작업에 천착해 왔으며, 일본 오사카대학에서 가야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모교에서 교편을 잡으며 한국과 일본의 고고 자료를 통한 고대 한일교섭사와 토기를 매개로 한 가야역사를 35년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한 중견 고고학자이며, 현재 경북대학교 부설 실크로드 조사연구센터장을 역임하고 있기도 합니다.



저자의 35년 가야역사 연구 성과의 집대성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가야문명사』는 700쪽이 넘는 방대한 부피의 저작으로서, 총 11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장에서 3장까지는 가야사 연구의 배경과 함께 가야의 권역, 시기 구분을 밝히고, 유적과 유물의 연대를 제시하여, 가야 문명사 접근에 대한 고고학적 방법론에 대해 기술합니다. 4장에서 7장까지는 본론으로서, 4장 유적과 유물로 본 가야 문화에서는 고고학 자료로 드러난 가야문화의 전반적인 양상을 항목별로 상세하게 기술하고, 5장에서는 일본과 가야의 활발했던 교류의 증거가 되는 유적, 유물들을 살펴봅니다. 5장에서는 가야 각국사의 전개를 금관가야, 아라가야, 소가야, 대가야, 다라, 기문, 비사벌 등 7개 사례별로 상세하게 알아봅니다. 7장은 본론 내용에 대한 총괄 정리로서 가야의 국가형성과 문명의 역사적 의의에 대한 평가를 제시합니다. 8장에서 11장은 부록 격으로서 가야 유물의 감상, 한국과 일본에 산재한 가야 관련 유적탐방관련 정보, 문헌목록, 도판목록 및 색인이 제시됩니다.



지난 2010년 진인진에서 펴낸 『가야토기-가야의 역사와 문화』가 발간된 이후 저자가 진행한 후속 연구작업의 집적이자, 가야사 연구의 집대성으로서 『가야문명사』 의의와 비중이 작다고 할 수 없으며 향후 가야사 연구에 있어서 밑거름이 되는 개론서로도 쓰임이 있을 것입니다.



부록에 실려있는 가야 유물 및 유적에 대한 상세한 안내와 도판 등은 전문연구자 뿐 아니라 우리 전통문화를 애호하고 역사에 관심을 가지는 일반 시민들이 가야문명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열며 - 가야토기에서 로만글라스까지- 12
Ⅰ. 가야 연구의 현상과 과제 20
1. 가야 연구의 문제 제기 21
1) 임나일본부론 21
2) 문헌사학의 가야연구 26
3) 고고학의 가야연구 29
2. 연구의 방법과 과제 37
1) 연구의 방법 37
2) 연구 과제 43
Ⅱ. 가야 권역과 시기 구분 50
1. 가야의 권역 51
1) 토기양식 51
(1) 4세기 51
(2) 5세기 52
2) 묘제 56
3) 토기와 묘제로 본 가야의 권역 58
2. 가야 유적과 유물의 시기구분 63
1) 금관가야 63
2) 아라가야 70
3) 소가야 75
4) 대가야권 79
(1) 고령 79
(2) 합천 85
(3) 함양, 산청 87
(4) 남원, 임실 87
(5) 장수, 진안 89
(6) 하동, 순천, 여수 90
5) 다라 91
6) 비사벌 94
7) 지역간 병행관계 97
Ⅲ. 가야의 유적과 유물의 연대 104
1. 논점 105
2. 가야와 신라의 역연대 설정의 기준 114
1) 고구려 태왕릉 114
2) 신라 황남대총 남분 116
3) 백제(무녕왕릉, 풍납토성 출토 가야토기, 몽촌토성 출토 스에키,
백제지역 출토 중국도자기) 122
4) 왜(비미호묘, 신해년명철검, 계체릉, 반정묘) 124
5) 왜(연륜연대, Hr-FA강하연대) 126
3. 가야와 신라 유적 유물의 역연대 128
1) 김해 대성동 29호묘 128
2) 경주시 황남동 109호분 3·4곽, 부산시 복천동 21·22호묘,
합천군 옥전 23호묘, 오사카부 오바데라TG231·232호요 129
3) 부산시 복천동 10·11호묘, 경산시 임당동 7B호분, 고령군 지산동 30호분 133
4) 창녕군 계남리 1, 4호분, 합천군 옥전M1, M2호분, 31호묘 136
5) 합천군 옥전M3호분, 사이타마현 이나리야마고분, 고령군 지산동 44호분 139
6) 고령군 지산동 45호분, 고성군 송학동 1호분B호석실 144
4. 가야 신라의 유적 유물의 역연대에 대한 전망 146
Ⅳ. 유적과 유물로 본 가야의 문화 154
1. 유적 155
1) 왕성과 주거 155
2) 산성 159
3) 생산 163
4) 고분과 순장 165
(1) 고분 165
(2) 순장 168
2. 유물 172
1) 토기 172
2) 장신구 181
(1) 금제, 금동제 관 181
(2) 이식 183
(3) 대장식구 186
3) 무기 187
(1) 금동제 용봉문환두대도 187
(2) 철모 191
(3) 철촉 192
4) 무구 192
(1) 갑주 192
(2) 화살통 196
5) 마구 197
6) 철기 200
7) 청동용기 203
8) 자연유물 204
Ⅴ. 가야와 왜의 교류 210
1. 일본열도 출토 가야 문물 213
1) 장신구 213
(1) 관식 213
(2) 이식 215
(3) 대장식구 218
2) 토기 218
(1) 금관가야양식 218
(2) 아라가야양식 220
(3) 소가야양식 224
(4) 대가야양식 225
(5) 창녕양식 227
3) 철기 229
(1) 철정 229
(2) 철제 농공구 230
4) 무기 232
(1) 금동제 용봉문환두대도 232
(2) 철모 234
(3) 철촉 234
5) 무구 235
(1) 화살통 235
(2) 판갑 236
6) 마와 마구 237
(1) 마 237
(2) 마구 239
2. 가야지역 출토 일본열도산 문물 242
1) 경옥제 곡옥 242
(1) 금관가야권 242
(2) 대가야권 243
2) 류큐열도산 패와 패제품 244
3) 무기 249
(1) 동모 249
(2) 통형동기 250
4) 무구 252
(1) 갑주 252
(2) 파형동기 254
5) 토기 256
(1) 하지키 256
(2) 스에키 259
6) 경 261
3. 금관가야와 왜 261
4. 아라가야와 왜 265
5. 소가야와 왜 268
6. 대가야와 왜 270
7. 가야와 왜의 교류의 변천 278
Ⅵ. 가야 각국사의 전개 284
1. 금관가야 285
1) 논점 285
2) 역사 지리적 환경 289
3) 권역과 구조 291
4) 성립과 전개 295
2. 아라가야 306
1) 논점 307
2) 역사 지리적 환경 308
3) 권역과 구조 310
4) 성립과 전개 314
3. 소가야 323
1) 논점 324
2) 역사 지리적 환경 326
3) 권역과 구조 329
4) 성립과 전개 336
4. 대가야 346
1) 논점 347
2) 역사 지리적 환경 349
3) 권역과 구조 352
(1) 고분의 위계분석 352
(2) 각 지역 정치체의 범위와 위계 354
4) 성립과 전개 358
5. 다라 380
1) 논점 381
2) 역사 지리적 환경 382
3) 권역과 구조 383
4) 성립과 전개 385
6. 기문 390
1) 논점 390
2) 역사 지리적 환경 392
3) 권역과 구조 394
4) 성립과 전개 397
7. 비사벌 404
1) 논점 404
2) 역사 지리적 환경 409
3) 권역과 구조 411
4) 성립과 전개 414
Ⅶ. 가야의 국가형성과 문명의 역사적 의의 432
Ⅷ. 가야 유물 감상 449
·금관 451
·용봉문환두대도 453
·용봉문환두대도 455
·수식부이식 457
·봉황문투조대장식금구 459
·장경호와 발형기대 461
·조형장식유개호 463
·기마인물형각배 465
·압형토기 467
·가형토기 469
·대장식구 471
·유리완 473
Ⅸ. 한일 가야관련 유적 탐방 474
1. 한국 475
1) 대가야 475
(1) 고령 지산동고분군(사적 제 79호) 475
(2) 고령 고아동고분군(사적 제 165호) 483
(3) 고령 주산성(사적 제 61호) 486
(4) 고령 연조리 전 왕궁지 491
(5) 합천 옥전고분군(사적 제 326호) 496
(6) 합천 성산토성 503
(7) 남원 두락리고분군(사적 제 542호) 505
2) 금관가야 510
(1) 봉황동유적(사적 제 2호) 510
(2) 대성동고분군(사적 제 341호) 514
3) 아라가야 520
(1) 말이산고분군(사적 제 515호) 520
(2) 가야리왕궁지 525
4) 소가야 527
(1) 송학동고분군(사적 제 119호) 527
5) 비사벌 532
(1) 교동·송현동고분군(사적 제 514호) 532
2. 일본 539
(1) 세이바루고분군 539
(2) 교자즈카고분 543
(3) 노나카고분 545
(4) 오타니고분 549
(5) 가모이나리야마고분 552
(6) 니혼마츠야마고분 554
(7) 사쿠라카오카고분 556
(8) 간논야마고분 558
(9) 사키타마고분군 562
(10) 구와57호분 567
Ⅹ. 가야사 문헌 목록 570
ⅩⅠ. 도판 목록과 출처 696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