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창조적 융합과 기독교교육
창조적 융합과 기독교교육
저자 : 원신애
출판사 : 동연출판사
출판년 : 2020
ISBN : 9788964476253

책소개

대화와 소통, 융합을 통한 기독교교육으로 희망의 미래를 창조한다

두려움과 호기심은 동전의 양면이다. 낯선 것에 대해 누구나 두려움을 느끼기 마련이지만 그 두려움을 계기로 낯선 것을 학습하고 자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다. 두려움이 호기심으로 전환되면, 낯선 것으로부터 흥미롭고 유익한 요소들을 찾을 수 있고, 자신의 삶과 문화를 점검하고 재구성하는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양성을 향한 개방적 태도는 인식과 문화의 지평을 확대하는데 기여한다. 이런 과정을 ‘창조적 융합’이라고 부른다. 원신애 박사는 이 책에서 이 시대 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인 ‘창조적 융합’의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참으로 반갑고 귀한 일이다.
누구나 창조의 잠재력이 있으므로 다양한 요소를 융합하여 새로운 인식과 실천으로 만들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런 잠재력과 가능성을 실현하는 것, 즉 ‘가능태’를 ‘현실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로 이 시대 교육의 역할이다. 원신애 박사는 이 책에서 교육이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다시 가다듬어서 새롭게 우리에게 보여주려고 시도한다. 해석학적 접근을 소개하면서 개방성을 증진하고 타당성을 확장하는 대화를 이야기하고, 포스트모던적 접근을 제시하면서 고정관념의 해체와 상상력의 희망을 말한다. 이런 접근을 우리의 삶의 방식과 문화를 해석하고 비판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동력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대화와 소통, 융합을 통한 기독교교육으로 희망의 미래를 창조한다



두려움과 호기심은 동전의 양면이다. 낯선 것에 대해 누구나 두려움을 느끼기 마련이지만 그 두려움을 계기로 낯선 것을 학습하고 자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다. 두려움이 호기심으로 전환되면, 낯선 것으로부터 흥미롭고 유익한 요소들을 찾을 수 있고, 자신의 삶과 문화를 점검하고 재구성하는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양성을 향한 개방적 태도는 인식과 문화의 지평을 확대하는데 기여한다. 이런 과정을 ‘창조적 융합’이라고 부른다. 원신애 박사는 이 책에서 이 시대 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인 ‘창조적 융합’의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참으로 반갑고 귀한 일이다.

누구나 창조의 잠재력이 있으므로 다양한 요소를 융합하여 새로운 인식과 실천으로 만들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런 잠재력과 가능성을 실현하는 것, 즉 ‘가능태’를 ‘현실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로 이 시대 교육의 역할이다. 원신애 박사는 이 책에서 교육이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다시 가다듬어서 새롭게 우리에게 보여주려고 시도한다. 해석학적 접근을 소개하면서 개방성을 증진하고 타당성을 확장하는 대화를 이야기하고, 포스트모던적 접근을 제시하면서 고정관념의 해체와 상상력의 희망을 말한다. 이런 접근을 우리의 삶의 방식과 문화를 해석하고 비판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동력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의 글

머리말



1부 | 창조적 융합을 위한 해석학적 접근



1장 _ 기독교교육과 가다머의 해석학적 대화 모형

2장 _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통한 담론 능력 함양과 기독교교육의 가능성

3장 _ 카푸토의 급진적 해석학과 유동 모형의 관점에서 본 한국 기독교 공동체의 ‘관계성의 가치’



2부 | 창조적 의미를 위한 포스트모던 접근



1장 _ 예배, 해체적 주체와 통합적 주체가 만나는 장(場)으로서 축제 ? 여성의 주체성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2장 _ 포스트모던 시대의 대중 인문 교양교육과 기독교 평생교육의 가능성 ? 영화 의 인문학적 성찰을 중심으로



3부 | 창조적 자아를 위한 사회 문화적 접근



1장 _ 기독교 도덕교육과 맥킨타이어의 ‘서사적 자아’와 ‘실천’ 개념의 의미

2장 _ 한국의 전통문화 콘텐츠와 기독교문화 콘텐츠의 조우를 통한 기독교교육의 가능성

? 공교육 교과서의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3장 _ 한국의 전통문화 콘텐츠와 기독교문화 콘텐츠의 조우를 통한 기독교교육 문화 콘텐츠의 개발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엔터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