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꽃들은 어디로 갔나 (서영은 장편소설)
꽃들은 어디로 갔나 (서영은 장편소설)
저자 : 서영은
출판사 : 해냄출판사
출판년 : 2014
ISBN : 9788965744344

책소개

이상문학상 수상작가 서영은의 장편소설로, 인고의 사랑을 그린다. 이중삼중으로 걸어 잠긴 수많은 문을 감추고 있는 집, 여인이 알지 못하는 오랜 세월이 겹겹이 쌓인 그곳에 운명의 남자가 살고 있다. 홀로 그를 기다리고 그리워하던 시절, 사랑을 주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던 그녀는 자신에게 공간을 내주지 않는 그 집에서 금빛 찬란하던 '그'를 찾아낼 수 있을까.



삶의 근원과 존재론적 슬픔을 꾸준히 그린 서영은 작가는 이번 작품에서도 남녀의 사랑을 넘어선 깨달음의 경지를 이루어냈다. 소재는 자전적이지만 오랜 세월을 통해 정련된 3인칭 서술의 어조는 무연하기까지 하며, 작가 스스로도 "사적 감정을 배제하고 오로지 작가로서 삶의 진실, 인간성의 깊이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었노라고 밝혔다.



헌신적으로 사랑하고 자유롭게 살아가던 여인 호순. 그녀는 결혼이라는 숨 막히는 현실 속에서도 자신이 만들어낸 인과의 운명을 온전히 품어낸다. 잠긴 문을 하나씩 열어가고, 설탕 단지를 깨듯 자기 안의 의지를 깨치며, 잡초를 뽑아낸 뜰에 두 그루 나무를 심는 등 상징적으로 묘사되는 사랑의 여정을 통해 호순은 남편인 박 선생뿐 아니라 부부를 둘러싼 이들의 삶까지 깊숙이 들여다본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사랑이란 타인 속에서 내가 죽는 것이다”

이상문학상 수상작 「먼 그대」의 작가 서영은 신작



이중삼중으로 걸어 잠긴 수많은 문을 감추고 있는 집, 여인이 알지 못하는 오랜 세월이 겹겹이 쌓인 그곳에 운명의 남자가 살고 있다. 홀로 그를 기다리고 그리워하던 시절, 사랑을 주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던 그녀는 자신에게 공간을 내주지 않는 그 집에서 금빛 찬란하던 ‘그’를 찾아낼 수 있을까.

문학을 통해 구도(求道)의 길을 걸어온 서영은 작가가 인고(忍苦)의 사랑을 그린 『꽃들은 어디로 갔나』를 출간한다. 삶의 근원과 존재론적 슬픔을 꾸준히 그린 서영은 작가는 이번 신작에서도 남녀의 사랑을 넘어선 깨달음의 경지를 이루어냈다. 소재는 자전적이지만 오랜 세월을 통해 정련된 3인칭 서술의 어조는 무연(無緣)하기까지 하며, 작가 스스로도 “사적 감정을 배제하고 오로지 작가로서 삶의 진실, 인간성의 깊이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었노라고 밝혔다.

헌신적으로 사랑하고 자유롭게 살아가던 여인 호순. 그녀는 결혼이라는 숨 막히는 현실 속에서도 자신이 만들어낸 인과의 운명을 온전히 품어낸다. 잠긴 문을 하나씩 열어가고, 설탕 단지를 깨듯 자기 안의 의지를 깨치며, 잡초를 뽑아낸 뜰에 두 그루 나무를 심는 등 상징적으로 묘사되는 사랑의 여정을 통해 호순은 남편인 박 선생뿐 아니라 부부를 둘러싼 이들의 삶까지 깊숙이 들여다본다.

생의 가시밭길에 제 발로 걸어 들어감으로써 마침내 자존할 수 있는 내면의 힘을 발견한 주인공의 초극적 자아는, 인생의 참뜻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진정한 사랑과 삶의 의지를 북돋는 돌파구가 되어줄 것이다.



“사랑은 목숨 같은 거야. 목숨을 지키려면 의지를 가져야 해”

운명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 모든 것을 치러낸 여인의 이야기



이중삼중으로 걸어 잠긴 수많은 문을 감추고 있는 집, 여인이 알지 못하는 오랜 세월이 겹겹이 쌓인 그곳에 운명의 남자가 살고 있다. 홀로 그를 기다리고 그리워하던 시절, 사랑을 주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던 그녀는 자신에게 공간을 내주지 않는 그 집에서 금빛 찬란하던 ‘그’를 찾아낼 수 있을까.

문학을 통해 구도(求道)의 길을 걸어온 서영은 작가가 인고(忍苦)의 사랑을 그린 『꽃들은 어디로 갔나』를 출간한다. 삶의 근원과 존재론적 슬픔을 그려낸 서영은의 작품세계는 1968년 등단한 이래 46년간 이어져왔다. 『그녀의 여자』(2000년) 이후 14년 만에 출간하는 일곱 번째 장편인 이번 신작에서도 작가는 남녀의 사랑을 넘어선 깨달음의 경지를 이루어낸다. 소재는 자전적이지만 오랜 세월을 통해 정련된 3인칭 서술의 어조는 무연(無緣)하기까지 하며, 작가 스스로도 “사적 감정을 배제하고 오로지 작가로서 삶의 진실, 인간성의 깊이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었노라고 밝혔다.

헌신적으로 사랑하고 자유롭게 살아가던 여인 호순은 결혼이라는 숨 막히는 현실 속에서도 자신이 만들어낸 인과의 운명을 온전히 품어낸다. 잠긴 문을 하나씩 열어가고, 설탕 단지를 깨듯 자기 안의 의지를 깨치며, 잡초를 뽑아낸 뜰에 두 그루 나무를 심는 등 상징적으로 묘사되는 사랑의 여정을 통해 호순은 남편인 박 선생뿐 아니라 부부를 둘러싼 이들의 삶까지 깊숙이 들여다본다.

이념 지향적 문학이 주도하던 7~80년대, 서영은 작가의 작품들은 개성적이고 이채로운 공간을 구축한 정신적 모험이었다고 평가된다. 이상문학상을 수상한 1983년, 컬러TV와 프로스포츠 등으로 독서문화가 위축되고 산업화에 발맞춘 처세서와 대중소설이 쏟아지던 때에 작가는 근대적 합리주의와 물신주의의 반대편에서 삶 자체가 안고 있는 시련을 평범한 일상 안에서 ‘실천’하는 작품을 선보였다. 문학평론가 김윤식은 속물적 세계에서 ‘참된 나’의 세계로 건너가는 ‘다리’를 보여준 첫 단편 「교(橋)」와 세속의 허무와 무의미를 극복하는 「사막을 건너는 법」 그리고 「관사 사람들」에서 드러난 순수한 생명력이 「먼 그대」에 이르러 고통(사막)과 극복(물)의 힘을 함께 품은 불사의 낙타가 되었다고 설명하였는데, 이는 신작 『꽃들은 어디로 갔나』의 주인공 호순에게서도 구현된다.

‘생의 중심’에서 스스로를 끊임없이 담금질하는 그녀는 한 남자의 생애와 비속한 일상을 포용함으로써 현실을 전복해 나간다. 성공한 남자의 세속적 외관을 떠받치는 ‘순결한 안감’이자, 나약해진 그를 보듬는 강인한 보호막이기도 한 호순은 「먼 그대」의 ‘낙타’를 더욱 다면적으로 드러낸다.

생의 가시밭길에 제 발로 걸어 들어감으로써 마침내 자존할 수 있는 내면의 힘을 발견한 주인공의 초극적 자아는, 인생의 참뜻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진정한 사랑과 삶의 의지를 북돋는 돌파구가 되어줄 것이다.



등장 인물

강호순 “당신을 사랑합니다. 이 말이 마지막임을 맹세합니다”

연인을 맞아들일 때면 그의 발을 씻기고, 그만을 위한 반상기에 식사를 내어놓는 헌신적인 여인으로, 작가이자 전직 문예지 기자이다. 자기만의 공간을 중시하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여성이지만, 결혼이라는 이름으로 세속적인 일상이 되어가는 사랑 앞에 혼란과 분노를 느낀다.

박 선생 “니 딴생각하면 절대로 안 된다. 그 사람이 뭐라고 하든 달라질 것은 없다”

세속의 부와 명예도, 사랑이 주는 기쁨도 놓치지 않으려는 성공한 문필가로, 소유욕이 강한 인물이다. 마지막 연인이자 아내인 호순을 세상으로부터 최대한 숨기려드는 한편, 온전히 자신의 소유가 되지 않는 그녀를 불만스러워한다.

방 선생 “남자에게서 뭘 제일 중요하게 생각해?”

박 선생의 두 번째 부인이자 작가. 남편을 대표자로 둔 문예지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동분서주하면서도 주변 사람을 살뜰하게 챙기는 포용력 있는 인물이다. 딸처럼 아끼던 호순과 남편의 밀애를 알게 되고도 호순에게 오히려 ‘박 선생을 잘 지켜달라’고 당부한다.

노모 “너는 왜 남 하는 짓은 한 번도 못 하고 사냐”

한겨울의 새벽, 딸의 연인이 신고 갈 구두가 차갑지 않도록 품어줌으로써 숨겨진 사랑을 묵묵히 지켜준 어머니. 방 선생이 세상을 떠난 이후 박 선생과 호순의 결혼을 제안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이상한 결혼식 · 반야심경 · 먼 길 · 문 · 열쇠 · 지하의 방 한 칸 · 전처 이야기 · 목숨 · 불문율 · 혈육 · 손님들 · 고양이 · 수집품 · 서재 · 밤 · 작은 아줌마 · 큰 아줌마 · 온수 · 눈[雪] · 잣죽과 커피와 휴지와…… · 목백일홍 · 농담 · 자식들 · 노모 · 인삼 · 후박나무 · 외출 · 설탕단지 · 전화 · 신라검(新羅劍) · 뜰에서 · 귀거래사 · 꽃들은 어디로…… · 건망증과 혼잣말 · 야회(夜會) · 폭풍우 · 전조(前兆) · 휠체어[前生, 今生, 後生]



작가의 말 무한유(無限有)한 우리들 인생

감상평 “살았다, 썼다, 사랑했다” _하성란(소설가)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