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아시아의 인류 진화와 구석기문화
아시아의 인류 진화와 구석기문화
저자 : 배기동
출판사 : 한양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21
ISBN : 9788972187288

책소개

“아시아 지역을 인류 진화의 관점에서 말하자면 아프리카에서 태어난 인류가
지난 200만 년 동안 놀았던 운동장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 …
전(前) 국립중앙박물관장 배기동 명예교수가 집대성한 아시아 구석기 고고학

이 책은 시베리아와 남아시아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의 고인류화석과 구석기문화 유적들의 내용, 그리고 그동안 전 세계 학자들이 제시한 학설을 비판하여 수렴하고, 인류 보편성의 이해와 아시아 지역의 특수성을 종합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에서 아시아 지역의 인류 진화와 확산의 과정 및 인류 진화의 일반적 원리를 이해하는 기초를 재구성하려는 시도이다.
아시아 선사고고학은 서구적인 방법론과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졌기에 비교문화적인 관점에서 많은 왜곡과 문제점이 노정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어왔다. 가령 거친 석기문화를 위주로 하고, 주먹도끼나 돌날석기, 그리고 르발르와 기법 같은 특징적인 석기 제작 기술이 결여된 동아시아 지역이 있어서 서구 학자들이 아시아 선사문화를 ‘열등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아시아 지역의 고고학자들이 방대한 연구를 통해 이를 교정하려는 노력은 이제껏 극히 드물었고, 피상적인 접근에 머물렀던 것 또한 사실이다.
이 책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발견된 각국의 새로운 자료들을 보다 보편적인 시각에서 정리하고 이를 보편적인 인류 진화 원리에 따라 해석해 인류사에 적용하고자 한다. 아시아 지역의 고고학자로서는 처음으로 시도하는 지역의 문화적인 패턴 현상에 대한 새로운 종합 노력이라 할 수 있는 이 책을 통해 아시아 구석기 고고학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아시아의 많은 지역에서 구석기 고고학이나 인류의 진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서구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수행하고, 또한 그 설명을 구하는 것 역시 서구 고고학의 패러다임에서 보는 경향이 강하다. 그동안 아시아 각지의 선사고고학이 발전함에 따라서 그 틀을 깨고 새로운 시각과 방법론을 가지고 보려는 경향도 있지만, 아직도 그 성숙도는 요원한 편이다. 고고학의 성과가 역사적인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보는 경우에는 민족주의가 작용하게 되고 또한 과학적 분석이 모자라게 되면 결국 발굴된 자료가 그 인류사적인 의미를 제대로 확인할 수가 없게 되는 셈이다. 그동안 아시아 고고학을 아시아적인 관점에서 보고 인류사를 지배하는 확장된 원리를 적용하여 이해해야 한다는 노력은 지난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최근에 고고학적인 자료가 증가하고 서구적인 모델과 방법론으로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문화 현상들이 아시아지역에서 많이 남아 있는 것이다. 결국 새로운 종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될 시점이며, 그러한 종합화는 그동안 아시아 구석기 고고학 하나의 반작용으로서 아시아 고고학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앞으로의 균형을 위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한다.
이 책은 오늘날 우리가 보고 있는 아시아 구석기나 인류화석들에서 보이는 고고학적인 현상에 대해 인간의 본성과 물성적인 변화과정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자료를 종합하고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많은 유적이 나열되기는 하였지만 그 이유는 일단 고고학적인 현상의 다양성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또한 그 다양성이 인간의 의식이나 행위의 차이도 있지만 고고학 유적이 가지는 물성으로 그 변화의 다양성을 보여주려는 의도이다. 그 어떤 생물도 생물학적인 제한조건(limiting factor)을 뛰어넘지 못한다. 인간의 본성이나 본능의 한계는 결국 인간의 환경적인 조건으로써 정의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그러한 생물학적인 한계로서 환경은 인간의 지적능력에 의해 점차로 극복되는 과정이 바로 구석기 고고학의 요체인 셈이다. 우리가 오늘날 우주로 갈 수 있는 것은 구석기시대에 그러한 생물학적 제한조건을 혁파하는 법을 터득하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인간의 인지적 능력이 신장하고 문화적인 선택이 다양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저히 인간으로서는 할 수 없었던 일들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인간의 그러한 능력은 이미 구석기시대가 끝나기 전에 현생인류 단계에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관점에서 구석기 자료를 보는 것이 의미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현대의 구석기고고학이 오늘날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데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보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이 책의 내용 구성과 출간의 과정, 그리고 감사의 말씀
머리말

I 새로운 종합을 위한 이론적인 배경
1 아시아지역의 인류 서식과 문화적인 다양성의 연원
2 동아시아 구석기 고고학의 주요 주제들
3 구석기문화와 인류 적응 이해의 방법론적인 출발

II 고환경
1 아시아지역의 고기후 변화
2 기후변동을 보여주는 퇴적물 자료
3 동아시아의 지역별 생태환경

III 동아시아의 초기 인류 확산의 증거들
1 아웃 오브 아프리카 그리고 동아시아로의 확산
2 초기 호모 확산의 지역적인 증거
3 동아시아지역으로 초기 호모 확산

IV 중부 홍적세의 환경 변화
1 중부 홍적세의 기후변동과 환경
2 지역별 중부 홍적세의 동물상의 변화

V 중부 홍적세의 고인류의 진화
1 호모 에렉투스의 진화
2 고형의 사피엔스 화석들
3 아시아지역에서의 중부 홍적세의 환경 변화와 인류 진화

VI 중부 홍적세의 구석기문화
1 지역별 구석기문화의 다양성
2 석기 공작 패턴의 지역성과 문화 진화
3 고인류의 행위와 인지 진화

VII 상부 홍적세의 환경 변화
1 상부 홍적세의 기후와 식생 변화
2 지역별 환경 변화
3 퇴적물 환경과 유적의 구조

VIII 절멸종의 고인류 화석들과 현생인류의 확산
1 절멸종의 호모 그룹들
2 현생인류 체질적 특성과 기원에 대한 의문들
3 아시아 각지의 현생인류 화석
4 아시아지역에 있어서 현생인류의 진화

IX 상부 홍적세의 석기 공작의 다양성
1 기술과 편년체계 그리고 석기문화 진화 이해의 방법론
2 지역별 석기문화 양상
3 동아시아 구석기시대 예술의 기원과 진화

X 문화적인 다양성과 현생인류의 진화
1 석기문화 지역적 패턴과 다양성 이해의 방법론
2 북방지역 석기문화의 동서 흐름의 양상
3 남방에 있어서 석기문화의 연속성과 단절
4 상부 홍적세 구석기의 남-북과 동-서 패턴
5 극동아시아지역의 문화복합 양상과 후기구석기문화의 지역적 변동과정
6 현생인류와 문화의 진화와 확산 그리고 지역 진화

XI 동아시아지역의 인류 진화 연구의 현재와 미래
1 아시아 인류 진화 연구의 문제점
2 인류 진화 연구의 미래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