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영혼 돌봄의 정치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과 전개)
영혼 돌봄의 정치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과 전개)
저자 : 박성우
출판사 : 인간사랑
출판년 : 2014
ISBN : 9788974183288

책소개

[영혼 돌봄의 정치: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과 전개]는 점차 도구화 되어가는 정치의 의미를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철학적 문제와 결부시키고 이를 통해 우리 사회에서 정치의 본질적 의미를 환기시키는 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보편성만을 지향하는 정치사상 연구로 비칠 가능성이 크다. 이 책의 대부분은 우리 공동체의 현실적인 문제들과는 거리가 먼 주제들로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가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이 책에 부여한 역할은, 점차 도구화 되어가는 정치의 의미를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철학적 문제와 결부시키고, 이를 통해 우리 사회에서 정치의 본질적 의미를 환기시키는 것이다. 이때 초래되는 정치와 철학의 갈등이 플라톤 정치사상의 조건이자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필자는 이러한 플라톤 정치사상의 특징을 ‘영혼 돌봄의 정치’로 명명하였다.
일상적이며 상투적으로 보이는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은 본질적으로 ‘철학적’이다. ‘삶의 의미는 어차피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고 보는 급진적 상대주의를 취하거나, ‘삶의 의미는 결코 알아 낼 수 없다’는 극단적 회의주의를 취하지 않는 한, 우리는 ‘도대체 무엇이 좋은 삶인가’를 묻게 되고, 이는 결국 ‘좋음’ 자체에 대한 앎을 추구하는 철학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러한 좋은 삶에 대한 철학적 추구가 정치 공동체 안에서 순탄하게 이뤄질 수 없다는 데 있다. 플라톤 정치철학은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한다. 철학과 정치의 근본적인 갈등에 대한 인식이 플라톤 정치철학의 시작이라는 얘기다.
이런 플라톤의 생각이 얼마나 타당한 것인가는 이 책의 본문에서 차차 검토될 것이다. 여기서 간단히 짚고 넘어가고자 하는 것은 이런 플라톤의 문제의식이 오늘날 우리에게 얼마나 적실성을 갖는가에 관해서이다.
정치와 철학의 갈등이란 현대인들에게 익숙한 개념은 아니다. 그러나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보편적인 문제가 진정으로 정치와 철학의 갈등을 수반하는 것이라면, 누구든 이 갈등의 의미를 재고해야 한다는 데에 공감할 것이다. 혹자는 종교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고 기대할지 모른다. 종교적 신념을 통해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답을 구하고, 정치와 철학의 갈등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좋은 삶을 추구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그러나 종교적 신념 역시 정치 공동체와 완전히 독립적일 수는 없다. 굳이 신학?정치적 난제를 거론하지 않더라도, 종교가 현대 자유주의 국가가 희망하는 것처럼, 전적으로 사적인 영역에만 머물러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5

1장 영혼 돌봄의 정치를 찾아서 15
1절 현대정치에서 잊혀진 주제?: 좋은 삶과 영혼 돌봄 15
2절 정치와 철학의 갈등과 “소크라테스 문제” 22
3절 “소크라테스 문제”와 플라톤 정치철학 25

2장 소크라테스와 영혼 돌봄의 정치 29
1절 철학과 정치의 충돌과 영혼 돌봄?: 『변론』 29
2절 소크라테스적 시민성과 영혼 돌봄?: 『변론』과 『크리톤』 50
3절 청년 교육과 영혼 돌봄의 정치?: 『알키비아데스』 71
4절 제국의 정체성과 영혼 돌봄의 정치?: 『메네크세노스』 88

3장 영혼 돌봄의 정치에 대한 플라톤의 수사학적 타진 107
1절 소크라테스적 삶과 수사학의 화해 가능성?: 소크라테스 vs. 고르기아스 107
2절 영혼 돌봄의 정치와 수사학의 양립 불가성?: 소크라테스 vs. 폴로스 123
3절 두 세계관의 충돌?: 소크라테스 vs. 칼리클레스 131
4절 중간 수준의 정치가의 가능성?: 소크라테스 vs. 페리클레스 via 칼리클레스 145
5절 영혼 돌봄의 정치와 진정한 정치가 154

4장 플라톤의 『국가』와 영혼 돌봄의 정치 1 :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 164
1절 플라톤 정치철학에의 접근과 대화편 해석을 둘러싼 제 문제 164
2절 훌륭한 삶과 정의?: 『국가』 1권을 중심으로 175
3절 글라우콘?아데이만토스의 도전과 국가?영혼 유추의 발단 189
4절 국가?영혼 유추의 제 문제들 199
5절 국가?영혼 유추의 의도?: 영혼의 정치를 향한 길 열기 213

5장 플라톤의 『국가』와 영혼 돌봄의 정치 2 : 플라톤 정치철학의 발전 218
1절 철인왕의 기획을 둘러싼 난제들 218
2절 철학자에 대한 강요의 필요성?: 효과성과 진정성 230
3절 철인왕의 기획과 데모스의 영혼 돌봄 235
4절 플라톤 정치철학의 해석학적 난제와 레오 스트라우스 249

6장 맺음말?영혼 돌봄의 정치와 현대 정치 267

주(註) 274
참고문헌 351
색인 368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