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의례의 이해
의례의 이해
저자 : 캐서린 벨
출판사 : 한신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07
ISBN : 9788978060936

책소개

의례에 대한 수많은 이론들과 다양한 의례의 유형들, 그리고 의례가 실행되는 정황들을 총체적으로 다룬 방대한 연구서로서 의례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 나름대로 기존의 이론과 의례 유형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하여 줌으로써 의례를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안내서 역할을 한다.



특히 지은이는 중국과 한국, 일본, 동남아, 인도 등 동양의 종교와 의례를 심도 있게 연구하여 이 책에 반영함으로써 기존의 서구 중심적 의례 이해를 극복할 수 있었으며, 서구의 의례이론들과 의례라는 개념 자체에 서구적 시각에서 비서구 사회들을 바라보고자 하는 타자 인식이 있음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캐서린 벨(Catherine Bell)의 ??의례의 이해: 의례를 보는 관점들과 의례의 차원들(Ritual: Perspectives and Dimens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을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은 의례에 대한 수많은 이론들과 다양한 의례의 유형들, 그리고 의례가 실행되는 정황들을 총체적으로 다룬 방대한 연구서로서 의례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는 책이다.

의례학(Ritual Studies)이란 학문분야가 20세기 말에 부각되었지만, 19세기 초부터 의례의 기원과 본질을 찾는 연구에서부터 그 기능과 구조와 의미를 밝히는 연구까지 무수한 이론들이 등장했다. 또한 다양한 의례들을 유형화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시도 또한 적지 않았다. 통과의례와 희생제의 등 전통적인 종교의례들 뿐만 아니라 축제와 정치의례 등 의례로 구분되는 행위들이 매우 많고, 심지어 스포츠와 연극 등 여러 분야에서도 의례적 행위들을 찾을 수 있으며, 의례적 행위들과 비의례적 행위를 분리하는 것조차 쉽지 않게 되었다. 의례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부딪치는 가장 큰 난관이 바로 이와 같이 의례에 관한 이론도 많고 의례로 구분되는 행위도 많다는 점이다.



이 책은 저자 나름대로 기존의 이론과 의례 유형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하여 줌으로써 의례를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안내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의례 교과서가 아니다. 저자가 평생 연구한 의례에 대한 자신의 이론과 관점을 여러 다른 이론들과 관점들과 더불어 체계화한 것이 바로 이 책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의례화(ritualization)와 실천이론(practice theory)이란 두 용어가 이 책을 관통하는 저자의 입장이라 할 수 있다. 의례는 획일적이고 원형적이며 보편적인 일련의 행위가 아니라 구체적인 정치-사회적, 문화적 정황 속에서 실행되면서 그 정황을 재생산하고 재형성하는 창조적인 실천 전략이라는 것이 저자의 입장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정황과 전략에 따라 지속적으로 의례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제Ⅲ부 정황들: 의례적 삶의 구성은 저자의 이러한 입장이 가장 잘 드러난 부분이다.

특히 저자는 중국과 한국, 일본, 동남아, 인도 등 동양의 종교와 의례를 심도 있게 연구하여 이 책에 반영함으로써 기존의 서구 중심적 의례 이해를 극복할 수 있었으며, 서구의 의례이론들과 의례라는 개념 자체에 서구적 시각에서 비서구 사회들을 바라보고자 하는 타자 인식이 있음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책은 동양의 관점에서 서구의 의례들과 서구적 의례 이해를 조명할 수 있도록 우리에게 도전 의식을 부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결국 ,우리가 공유하는 인간성을 조명하는 관행들,을 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Ⅰ부 이론들: 의례에 대한 해석의 역사



제1장 신화 또는 의례: 기원과 본질에 관한 물음들

초기 이론들과 이론가들

신화와 의례 학파

종교현상학

의례에 대한 정신문석학적 접근 방법

연구 사례: 아키투 축제의 해석

결론



제2장 의례와 사회: 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구조에 관한 물음들

사회적 유대에 관한 초기 이론들

기능주의

의례에 대한 신(新)기능주의적 체계 분석들

구조주의

주술과 종교와 과학

연구 사례: 무칸다 성인식의 해석

결론



제3장 종교 상징의 구문(構文)과 응용: 의례의 문화적 의미와 해석에 관한 물음들

상징체계와 상징적 행동

언어 이론

수행 이론

실천 이론

연구 사례: 영국과 스와지 부족의 등극 의례에 대한 해석

결론



제Ⅱ부 의례들: 의례 행위의 스펙트럼



제4장 의례 행위의 기본 유형들

통과 의례

달력 의례

교환과 교제의 의례

재난 의례

향연과 단식과 축제

정치 의례

결론



제5장 유사 의례 행위의 특징

형식성

전통성

불변성

규칙 제어성

성례(聖禮)의 상징성

수행성

결론



제Ⅲ부 정황들: 의례적 삶의 구성



제6장 의례의 밀도(密度)

체계

유형론

정통 실천과 정통 교리

전통과 세속

구두와 문자

교회, 종파, 컬트

결론



제7장 의례의 변화

전통과 변형

의례의 창안

미디어와 메시지

결론



제8장 의례의 구상화(具象化)

의례의 거부, 의례로 회기하기, 의례의 낭만화

“의례”라는 개념의 출현

결론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