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고려의 불교와 상도 개경
고려의 불교와 상도 개경
저자 : 김창현
출판사 : 신서원
출판년 : 2011
ISBN : 9788979403411

책소개

고려시대 불교 신앙을 개경의 궁궐과 사원에 초점을 맞춰 살펴본『고려의 불교와 상도 개경』. 상도 개경은 고려시대 문화의 중심지이자 불교문화의 중심지였다. 때문에 고려의 불교문화, 나아가 문화 전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려의 상도 개경의 불교문화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이 책은 고려의 상도였던 개경의 불교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고려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물론, 남북 통일시대를 기대하는 현 시점에서 북한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남북 화합의 상징이 된 개성은 불교 국가 고려의 상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였다.
이 책은 고려의 상도였던 개경의 불교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고려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물론, 나아가 남북 통일시대를 기대하는 현 시점에서 북한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고려는 송악에 개경, 평양에 서경을 설치해 양경 체제를 실시하다가 경주에 동경을 설치하면서 3경 체제를 유지했으며, 후에 한양에 남경을 설치하면서 4경 체제를 구현했다. 이 중에서도 개경은 으뜸 도읍인 상경(上京) 내지 상도(上都)로서 고려의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였다.

고려는 다양성이 유지된 사회를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를 꽃피웠다. 종교와 사상 면에서도 불교·유교·도교·음양오행설·풍수지리설·민간신앙 등이 공존하며 어우러져 고려인의 정신세계를 구성했다. 그중 불교가 가장 주도적인 위상을 지녔었기에 고려의 불교 사원과 신앙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고려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기 어렵다.

상도 개경은 고려시대 문화의 중심지이자 불교문화의 중심지였으므로 고려의 불교문화, 나아가 문화 전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려의 상도 개경의 불교문화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개경에는 수많은 불교 사원이 건립되어 있었고, 궁궐과 사원 등에서 매우 다양한 불교 행사가 거행되고 있었다. 고려의 경(京)에는 임금과 왕실을 위한 공간인 궁궐이 조영되어 있었기 때문에 경(京)의 궁궐, 특히 상도 개경의 궁궐이 불교 행사의 주요한 장소였다는 점이 다른 지역과는 다른 점이다.

개경에는 봉은사·법왕사·보제사·영통사·현화사·흥왕사 등 많은 사원이 있었는데, 대개 궁궐과 봉은사에서 연등회가, 봉은사에서 태조 기일재가, 궁궐과 법왕사에서 팔관회가, 궁궐에서 대장경도량과 인왕도량이, 보제사에서 담선대회(談禪大會)가 열렸다. 고려의 5대 행사로 연등회, 팔관회, 태조 기일재, 대장경도량, 인왕도량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소재도량·제석도량·금광명경도량·반야도량 등 다양한 법회가 개경의 다양한 장소에서 자주 열렸다. 이러한 면을 조명하려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근래 북한 개성 오관산의 영통사가 남한 불교계의 지원을 받아 복원되었다. 앞으로도 개성의 불교 유적을 남북한이 협력해 조사하고 보존 또는 복원하는 사업이 꾸준히 진행되기 바란다. 또한 개성만이 아니라 평양·묘향산·금강산 등의 불교 유적으로 확대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이러한 문화 교류는 남북한의 긴장을 완화시켜 통일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고려시대 불교 신앙을 개경의 궁궐과 사원에 초점을 맞춰 살펴본 이 책이 고려시대의 개경, 더 나아가 현재 북한의 개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_5

제1장 고려 초기 개경 불교 사원의 존재 양상_ 11

1. 머리말 11
2. 태조~정종(定宗) 무렵의 개경 사원 12
3. 광종~덕종 무렵의 개경 사원 24
4. 정종(靖宗)~헌종 무렵의 개경 사원 40
5. 맺음말 47

제2장 고려 중기 개경 불교 사원의 존재 양상_ 49

1. 머리말 49
2. 숙종 무렵의 개경 사원 50
3. 예종 무렵의 개경 사원 57
4. 인종 무렵의 개경 사원 70
5. 의종 무렵의 개경 사원 84
6. 맺음말 96

제3장 무인정권기 개경 불교 사원의 존재 양상_ 99

1. 머리말 99
2. 개경 사원과 무인정권의 대립 100
3. 문집에 나타난 무인정권기 개경 사원 112
4. 무인정권기 개경 사원의 다양한 양상 135
5. 맺음말 141

제4장 원간섭기 고려 개경의 사원과 불교 행사_143

1. 머리말 143
2. 개경 일대 사원의 조영 144
3. 개경 일대 불교 행사의 장소 155
4. 개경 일대 불교 행사의 거행 171
5. 맺음말 184

제5장 고려의 5대 종교 행사와 개경_187


1. 머리말 187
2. 팔관회와 법왕사 188
3. 연등회 및 태조 기일재와 봉은사 213
4. 장경도량과 인왕도량 237
5. 맺음말 251

제6장 고려의 여러 도량과 개경_ 255

1. 머리말 255
2. 제석도량과 제석원 256
3. 사천왕·신중 신앙과 현성사·신중원 274
4. 마리지천 신앙과 묘통사 282
5. 불정도량과 금광명경도량 284
6. 반야·화엄·법화도량 288
7. 맺음말 297

제7장 고려의 나한 신앙과 고승 숭배_ 299

1. 머리말 299
2. 나한재와 나한 신앙 300
3. 나한 신앙과 보제사 314
4. 고승 숭배와 왕륜사 328
5. 맺음말 335

제8장 고려의 소재도량과 기우 행사_ 337

1. 머리말 337
2. 소재도량 338
3. 기우 행사 345
4. 기우도량 366
5. 맺음말 373

제9장 고려 왕실의 원찰과 진전사원_ 377

1. 머리말 377
2. 흥국사, 일월사·광명사·귀산사, 영통사 378
3. 불일사·불은사·귀법사·용흥사 393
4. 진관사·숭교사, 현화사·중광사 401
5. 대운사·대안사, 흥왕사, 홍원사·홍호사 420
6. 맺음말 437

제10장 고려 왕실 원찰과 진전사원의 완성과 변천_ 439

1. 머리말 439
2. 국청사·개국사·천수사·경천사 440
3. 안화사 중건과 진전사원 변천 453
4. 맺음말 470

부표 471

[표 5-1] 팔관회_473
[표 5-2] 법왕사_481
[표 5-3] 연등회_485
[표 5-4] 태조 기일 행사_494
[표 5-5] 봉은사_499
[표 5-6] 대장경과 장경도량_508
[표 5-7] 인왕도량_510
[표 6-1] 제석도량과 사리 신앙_515
[표 6-1-2] 내제석원·내도량·내원당_517
[표 6-1-3] 외제석원_518
[표 6-1-4] 건성사와 건원사_522
[표 6-1-5] 보살계_523
[표 6-2-1] 문두루도량과 현성사_526
[표 6-2-2] 신중원과 신중도량_528
[표 6-3] 묘통사와 마리지천_530
[표 6-4-1] 불정도량_533
[표 6-4-2] 금광명경도량_535
[표 6-5] 반야도량·화엄도량_536
[표 7-1] 나한재_538
[표 7-2] 보제사 행사_540
[표 7-3] 왕륜사 행사_546
[표 8-1] 소재도량_551
[표 8-2-1] 가뭄·기우_555
[표 8-2-2] 기청·기설_574
[표 8-3] 법운사 행사_579
[표 9-1-1] 흥국사_581
[표 9-1-2] 일월사·광명사·귀산사_583
[표 9-1-3] 영통사_584
[표 9-2] 불일사·불은사·귀법사·용흥사_587
[표 9-3-1] 진관사·숭교사·중광사_591
[표 9-3-2] 현화사_593
[표 9-4-1] 대안사·대운사·홍원사·홍호사_596
[표 9-4-2] 흥왕사_599
[표 10-1] 국청사_606
[표 10-2] 개국사·경천사_608
[표 10-3] 천수사_611
[표 10-4] 안화사_614

참고문헌 617
찾아보기 625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