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회사법 연구 1
회사법 연구 1
저자 : 김건식
출판사 : 소화
출판년 : 2010
ISBN : 9788984103269

책소개

회사법의 지각변동은 우리나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회사법 연구』는 회사법과 회사법학의 한계를 성찰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확인한다. 제1편에서는 회사법과 회사법학의 한계와 과제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경영자의 의무와 책임, 주주간의 이익조정, 기업집단과 주주보호에 대해 살펴본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우리 법학의 한계는 기본적으로 회사법에 대한 기능적인 접근이 미흡한 것에서 비롯된다. 회사법은 단순히 과거의 법적 개념이나 논리에 얽매이기보다 변화하는 경제현실에 상응하여 끊임없이 변모해야만 제구실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야하르 회사법에 대한 기능적 고찰을 도외시하고서는 세계적인 회사법과 회사법학계의 동향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는 단계에 이르렀다. 회사법에 대한 기능적·학제적 접근의 강화, 이것이 회사법학이 현실적합성을 획득하기 위한 관건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6

제1편 일반론

01 21세기를 맞는 우리 회사법과 회사법학: 그 한계와 과제·11
02 회사법의 구조개혁·34

제2편 경영자의 의무와 책임

01 회사법상 충실의무법리의 재검토·53
02 자기거래와 미국회사법의 절차적 접근방식·95
03 주주대표소송의 활성화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점:
일본의 경험을 참고로 하여·127
04 The Demand on Directors Requirement and the Business
Judgment Rule in the Shareholders Derivative Suit:
An Alternative Framework·170

제3편 주주간의 이익조정

01 소수주주의 보호와 지배주주의 성실의무: 독일법을 중심으로·203
02 주주간의 이해조정에 관한 시론·244
03 미국회사법상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277

제4편 기업집단과 주주보호

01 콘체른에서의 소수주주보호: 독일법을 중심으로·319
02 기업집단에서의 소수주주보호: 미국회사법을 중심으로·354
03 지주회사허용과 관련된 법률적 문제점·416
04 지주회사의 운영과 회사법: 총론적 고찰·447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