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감리교회 역사
한국 감리교회 역사
저자 : 이덕주|서영석|김흥수
출판사 : KMC
출판년 : 20170315
ISBN : 9788984307339

책소개

그동안 발행된 감리교 역사서가 오래되어 그 사이 발굴된 새로운 자료를 반영하여 1884년~2006년 한국 감리교회 역사를 새 시대적 관점으로 쓴 학술적이면서도 쉽게 읽을 수 있는 한국 감리교회 통사이다. 1884~85년 매클레이와 아펜젤러, 스크랜턴의 내한으로 선교가 시작된 이후 한국 근현대 역사에서 감리교회가 수행한 선교와 봉사, 교육과 친교의 사역과 그 의미를 정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개인 구원이 사회 구원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웨슬리의 신학적 전통에 비추어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민족사와 교회사의 만남과 교류를 규명해 내고자 하였다. 그런 관점에서 세 교수는 한국 감리교회 선교 130년을 민족사 기준을 따라 1) 조선후기 및 한말 근대화시기, 2) 일제강점과 식민통치 시기, 3) 해방 후 민족분단 시기 등 3기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롭게 정리한 역사서

한국 감리교회의 궁극적 선교과제는
교회의 화해와 일치, 민족의 평화통일

머리말
교회 일치와 민족 통일을 꿈꾸며

김흥수 서영석 이덕주

이 책은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목원대학교, 협성대학교 등 감리교계통 신학대학에서 한국교회사를 강의해 온 이덕주, 김흥수, 서영석 등 역사신학 교수들이 신학생들과 감리교회 목회자와 목회 지망생, 그리고 교회임원 교육 및 훈련을 위해 ‘교재용’으로 쓴 책이다.
이 책을 집필한 세 교수는 오래 전부터 한국교회사 및 한국 감리교회사를 강의하면서 ‘새로운’ 교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앞서 이성삼 교수님과 유동식 교수님, 윤춘병 감독님이 쓴 한국 감리교회사 관련 저술들이 있지만 그동안 발굴된 새로운 자료들을 반영하여 새로운 시대적 환경에서 학술적이면서도 쉽게 읽을 수 있는 한국 감리교회 통사를 써 달라는 요청을 받고 있던 차였다. 그러나 세 교수 모두 개인적인 연구와 밀린 강의 때문에 통사 필요성은 느끼면서도 집필에 착수하지 못하고 있었다. 세 교수의 통사 집필을 현실로 끌어낸 장본인은 선교국 총무 강천희 목사다.
세 교수는 10년 전부터 매년 한 차례, 수련목회자 선발고시 때마다 한국 감리교회사 채점을 위해 만나곤 했는데 당시 중부연회 총무였던 강천희 목사는 세 교수에게 새로운 통사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집필을 촉구하였다. 그리고 3년 전 선교국 총무로 취임하자마자 강천희 목사는 중부연회 김상현 감독으로부터 연구와 집필에 대한 재정 후원을 끌어낸 후 “이제 더 이상 늦출 수 없다. 한국 감리교회의 미래 세대를 위해서라도 그동안 연구하고 강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통사를 써 달라.”며 명령(?) 같은 부탁을 하였다. 김상현 감독도 세 교수를 직접 만나 격려하며 이 일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 이 책의 ‘공동 집필’에 참여한 세 교수는 1884~85년 매클레이와 아펜젤러, 스크랜턴의 내한으로 선교가 시작된 이후 한국 근현대 역사에서 감리교회가 수행한 선교와 봉사, 교육과 친교의 사역과 그 의미를 정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필자들은 개인 구원이 사회 구원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웨슬리의 신학적 전통에 비추어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민족사와 교회사의 만남과 교류를 규명해 내고자 하였다. 그런 관점에서 세 교수는 한국 감리교회 선교 130년을 민족사 기준을 따라 1) 조선후기 및 한말 근대화시기, 2) 일제강점과 식민통치 시기, 3) 해방 후 민족분단 시기 등 3기로 나누어 집필을 분담하였다. 즉 이덕주 교수는 19세기 말 선교가 시작된 이후 1910년까지 한말 근대화시기에 감리교회가 수행한 선교와 부흥, 민족운동 참여의 역사를, 서영석 교수는 일제 식민통치 하에서 이루어진 교회의 역사참여와 선교, 봉사의 역사를, 김흥수 교수는 해방 후 민족 분단 상황에서 이루어진 신학적 갈등과 분열, 교회의 부흥과 선교의 역사를 각각 정리하였다. 세 교수의 자료 분석과 역사 해석에서 관점의 차이가 없지 않았지만 역사를 정리하면서 한국 감리교회가 추구해야 할 궁극적인 선교 과제가 교회의 화해와 일치, 민족의 평화통일이라는 점에서 모두 일치하였다.
그렇게 해서 세 교수가 집필한 원고를 목원대와 감신대에서 한국교회사를 강의하는 최태육 박사와 황미숙 박사가 읽으며 글을 다듬어 주었다. 연표와 화보 편집, 색인 작업도 이들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졌다. 여기에 출판국 편집진의 꼼꼼한 교열과 교정 작업을 거쳐 비로소 책으로 나오게 되었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후원하고 도와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를 표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한말 감리교회 역사(1884~1910년)

제1장 한국 감리교회 선교 준비와 개척
1. 미감리회의 선교 개척 과정
2. 미감리회의 초기 한국 선교

제2장 미국 남북감리회의 지방 선교
1. 미감리회의 지방 선교
2. 남감리회의 지방 선교

제3장 선교 초기 감리교회의 부흥운동과 신학
1. 초기 부흥운동과 전도운동
2. 초기 감리교회 신학교육과 여성선교

제4장 한말 감리교회의 민족운동과 해외선교
1. 한말 민족운동
2. 해외 한인교회와 해외선교

Ⅱ. 일제강점기 감리교회 역사(1910~1945년)

제5장 초기 식민지 치하의 감리교회
1. 105인 사건과 감리교회
2. 1910년대 감리교회의 현황

제6장 3·1운동과 감리교회
1. 3·1운동의 배경과 의의
2. 3·1운동의 준비
3. 만세시위 확산과 감리교회의 수난
4. 3·1운동에서 여성들의 역할
5. 3·1운동 이후 기독교인들의 민족운동

제7장 1910~1920년대 감리교회의 민족운동 및 농촌·사회운동
1. 구국기도회와 국채보상운동
2. 송죽형제회와 이문회
3. 애국부인회
4. 기독교 농촌운동
5. 절제운동
6. 신간회와 근우회
7. 엡?청년회의 재건과 활동
8. 남궁억의 민족 교육과 나라 사랑

제8장 기독교조선감리교회의 형성
1. 남북감리교회 합동의 준비와 합동 배경
2. 조선감리교회의 탄생
3. 한국 감리교회의 정체성과 3대 조직원리
4. 한국 감리교회 교리적 선언과 사회신경
5. 감리교회 한국 선교 50주년 기념행사
6. 아빙돈 단권 성경주석 발행

제9장 1930년대 감리교회의 모습
1. 기독교조선감리회 여선교회의 탄생
2. 남감리교회의 만주·시베리아 선교와 미감리회의 북만주 지역 선교
3. 만주선교연회와 조선기독교회
4. 연회의 발전
5. 양주삼 총리사와 제2회 총회
6. 제3회 총회와 김종우 감독
7. 이용도의 부흥운동과 영성
8. 정경옥의 복음적 자유주의 신학

제10장 일제 말기 교회의 변질
1. 신도와 신사 문제
2. 감리교회의 친일화 작업
3. 추방당하는 선교사들
4. 임종기의 감리교회
5. 감리교인들의 저항적 신앙운동

Ⅲ. 해방 이후 감리교회 역사(1945~2006년)

제11장 해방과 분단시대의 감리교회
1. 교회 재건 - 재건파와 복흥파
2. 38선 이북의 감리교회
3. 6·25전쟁과 감리교회
4. 이승만 정부와의 관계

제12장 1960년대의 교권 다툼과 독립교회의 출발
1. 4·19혁명과 감리교회
2. 감독선거와 파벌정치 - 호헌파, 성화파, 정동파
3. 신학교육과 신학연구
4. 온양선교협의회 - 미국연합감리교회와의 관계

제13장 1970년대 이후 교회 부흥운동과 사회참여
1. 교회 분열 - 경기연회, 갱신 측 분열
2. 감독제도의 변화
3. 5천 교회 100만 신도운동
4. 도시산업선교
5. 민주화운동

제14장 감리교회 100주년
1. 감리교회 100주년
2. 신학의 갈등
3. 감리교회의 통일운동과 서부연회의 재건
4. 세계 속의 감리교회
5. 21세기를 향하여

참고문헌 연표 색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