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고소설과 섹슈얼리티
한국 고소설과 섹슈얼리티
저자 : 한국고소설학회
출판사 : 보고사
출판년 : 2009
ISBN : 9788984337268

책소개

섹슈얼리티에 대한 문학계의 재조명

『한국 고소설과 섹슈얼리티』. 문학에서의 섹슈얼리티에 대해 다룬 책. 고소설 양식과 섹슈얼리티의 관계, 고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에 따른 섹슈얼리티의 양상, 고소설에 투영된 사회규범과 성에 대한 욕망의 길항 관계 등이 해명되며, 고소설 개별 작품에 나타나는 섹슈얼리티 또는 고소설과 인접하는 설화에 나타나는 섹슈얼리티의 실상을 드러낸다.

이 책은 총 12편의 논문을 3부로 나누어 실었다. 1부에서는 ‘섹슈얼리티와 고소설의 양식ㆍ등장인물의 성ㆍ사회규범’이라는 제목 아래 4편의 논문을 묶었다. 2부에서는 ‘섹슈얼리티와 고소설의 작품 형상’이라는 제목 아래 5편의 논문을 묶었으며, 3부에서는 ‘섹슈얼리티와 고소설의 인접 장르’로 3편의 논문을 묶었다. [양장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섹슈얼리티(sexuality)’에 대한 문학계의 재조명
언제부터인가 여성에게 “섹시(sexy)하다”고 말하는 것이 욕이 아니라 칭찬으로도 받아들여지게 되었듯이, 우리 사회에서 성(性) 문제는 더 이상 금기(禁忌)적이거나 내밀하게 이루어져야 할 담론이 아니다. 그러나 학술대회에 참가한 어느 원로 교수가 ‘섹슈얼리티(sexuality)’란 용어의 선정성 문제를 들어 학술대회의 주제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던 것처럼, 성애(性愛) 문제를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일반 사회의 흐름을 우리 고소설학계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지 못해왔던 것도 사실이다. 그간 고소설 연구에서 ‘섹슈얼리티(sexuality)’ 문제를 다룬 경우가 없지는 않았지만, 이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지 못한 건 이러한 우리 학계의 정서 때문이었다.

그러나 우리 고소설에서 ‘섹슈얼리티(sexuality)’ 문제는 핵심적 제재에 해당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성적 욕망이 강하게 억압된 유가 사회의 산물이기 때문에 고소설과 섹슈얼리티가 무관하리라 생각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상층 지식인에 의해 배격을 받았던 고소설이 성적 욕망의 분출구 역할을 하기도 했던 것이다. 예컨대, 대부분의 애정 전기 소설에서 남녀 주인공이 만나는 순간 성애를 갖는 것으로 형상화되는 것은, 그것들이 현실 세계에서 억압된 성적 욕망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양식임을 뜻한다.

그리고 비록 희곡 형식이긴 하지만 최근에 발견된 「북상기」 「백상루기」 등의 작품으로 미루어볼 때,‘섹슈얼리티(sexuality)’ 문제 자체에 대한 관심을 다룬 소설이 존재했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그 밖에 영웅소설 판소리계소설 장편 가문소설 등에서도 ‘섹슈얼리티(sexuality)’ 문제가 작품 이해에서 간과할 수 없는 요소임을 익히 알면서도 우리 학계에서는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본서의 발간을 계기로 이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서에는 총 12편의 논문을 3부로 나누어 실었다. 제1부에는 “섹슈얼리티와 고소설의 양식·등장인물의 성(性)·사회 규범”이라는 제목 아래 4편의 논문을 묶었고, 제2부에는 “섹슈얼리티와 고소설의 작품 형상”이라는 제목 아래 5편의 논문을 묶었으며, 제3부에는 “섹슈얼리티와 고소설의 인접 장르”라는 제목 아래 3편의 논문을 묶어 실었다. 이들 논문을 통해 고소설 양식과 섹슈얼리티의 관계, 고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에 따른 섹슈얼리티의 양상, 고소설에 투영된 사회규범과 성에 대한 욕망의 길항 관계 등이 해명되며, 고소설 개별 작품에 나타나는 섹슈얼리티 또는 고소설과 인접하는 설화에 나타나는 섹슈얼리티의 실상이 드러나고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_섹슈얼리티와 고소설의 양식·등장인물의 성·사회 규범
규범과 욕망의 틈새:조선시대 문학 속의 섹슈얼리티- [서지영](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조선시대 애정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성- [김지영](서강대 강사)
19세기 소설에 나타난 여성 섹슈얼리티- [김경미](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고소설에 나타난 남성 섹슈얼리티의 재현 양상- [조혜란](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학술교수)

제2부_섹슈얼리티와 고소설의 작품 형상
「최치원」의 성적 욕망과 자기 정체성 확립- [정규식](동아대학교 초빙교수)
「소현성록」에 나타난 성적 태도와 그 의미- [전성운](순천향대학교 교수)
「옥루몽」에 나타난 성애 표현의 의미- [유광수](연세대학교 강사)
「변강쇠가」 성담론의 기능과 의미- [정하영](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사랑가」의 변모 양상과 성적 주체의 문제- [박상란](동국대학교 강사)

제3부_섹슈얼리티와 고소설의 인접 장르
「각수록」 나타난 성과 그 의미- [김준형](고려대 강사)
‘관계성’으로서의 섹슈얼리티:성, 사랑, 권력- [최기숙](연세대 교수)
조선 후기 문헌 설화의 여성 전형 연구- [윤예영](대림대학 강사)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