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우리나라 전통 무늬. 3(나전 화각)
우리나라 전통 무늬. 3(나전 화각)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출판사 : 눌와
출판년 : 2009
ISBN : 9788990620392

책소개

'우리나라 전통 무늬'시리즈의 나전·화각 편이다. 조개껍질과 소뿔을 얇게 갈아 붙이는 나전.화각 공예는 세계적으로 그 유례가 적고, 우리나라에서 크게 발달한 독자적인 공예 기법이다. 특히 고려시대 나전 공예의 정교함은 높게 평가받아 고려청자와 함께 고려를 대표하는 주요 교역품으로 자리 잡기도 했다.



나전과 화각은 나무 바탕에 재질이 다른 장식 재료를 붙여 아름답게 꾸민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제작 과정 자체가 무늬를 시문施文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무늬를 통해 당시 사회의 일면과 시대상을 보여준다. 이 책에 수록된 무늬는 나전.화각 공예품에 표현된 대표적인 무늬 110점을 가려 뽑은 것이다. 특히 이 가운데 개인소장 유물 3점은 처음 공개된다.



책의 구성은 크게 개관, 유물 편, 그리고 무늬 활용 편으로 나누었다. 유물 편에는 유물의 기형이 드러난 사진과 여러 측면에서 본 유물의 무늬 사진을 실었다. 유물 뒷면이나 안쪽에 숨겨진 무늬를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무늬 활용 편에는 각각 무늬를 재해석하여 만든 무늬 일러스트를 실어 무늬의 형태와 구성을 가늠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무늬들을 조합해 패턴화하여 현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우리나라 전통 무늬 시리즈, 그 세 번째 책 발간하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한국전통문양원형기록화’ 사업을 통해 각종 재질별 문화재에 나타난 우리나라 전통 무늬를 기록 연구하여 그 원형을 집대성하고, 우리 정신문화의 상징적 의미를 체계화하는 뜻 있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이 연구 작업을 통해 쌓인 성과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과 동시에 ‘우리나라 전통 무늬’ 시리즈의 책자로 위탁 출판하여 일반에 선보이고 있다.
이 연구 작업의 일환으로 2006년 12월에 첫 번째《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이 발간되었으며, 두 번째로 2008년 3월에 《우리나라 전통 무늬 2, 도자기》가 발간되었다. 그리고 이제 세 번째로 2009년 6월에 《우리나라 전통 무늬 3, 나전ㆍ화각》이 발간되었다.

나전ㆍ화각 공예는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공예 기법이다
조개껍질과 소뿔을 얇게 갈아 붙이는 나전ㆍ화각 공예는 세계적으로 그 유례가 적고, 우리나라에서 크게 발달한 독자적인 공예 기법이다. 특히 고려시대 나전 공예의 정교함은 높게 평가받아 고려청자와 함께 고려를 대표하는 주요 교역품으로 자리 잡기도 했다.

나전ㆍ화각 공예의 미려한 무늬 110점을 가려 뽑다
나전과 화각은 나무 바탕에 재질이 다른 장식 재료를 붙여 아름답게 꾸민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제작 과정 자체가 무늬를 시문施文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무늬를 통해 당시 사회의 일면과 시대상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동안 나전ㆍ화각 공예는 목칠 공예의 일부분으로 다룬 경우가 많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무늬를 집중적으로 다룬 연구 성과로는 《우리나라 전통무늬 3, 나전ㆍ화각》이 처음이다. 이 책에 수록된 무늬는 나전ㆍ화각 공예품에 표현된 대표적인 무늬 110을 가려 뽑은 것이다. 특히 이 가운데 개인소장 유물 3점은 처음 공개된다.

무늬를 부각시킨 유물 사진과 일러스트로 구성하다
책의 구성은 크게 개관, 유물 편, 그리고 무늬 활용 편으로 나누었다. 유물 편에는 유물의 기형이 드러난 사진과 여러 측면에서 본 유물의 무늬 사진을 실었다. 유물 뒷면이나 안쪽에 숨겨진 무늬를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무늬 활용 편에는 각각 무늬를 재해석하여 만든 무늬 일러스트를 실어 무늬의 형태와 구성을 가늠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무늬들을 조합해 패턴화하여 현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나라 전통 무늬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다
무늬를 재해석하여 만든 일러스트는 디자인 산업 분야 등에서 전통문화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나전ㆍ화각 공예 무늬 일러스트 디지털 데이터는 직물 무늬, 도자기 무늬에 이어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http://www.culturecontent.com)를 통해 서비스될 예정이다.

나전ㆍ화각 공예품을 모아놓은 책 중 백미다
지금껏 나전 공예품을 모아놓은 도록은 많지 않고, 더구나 화각 공예품을 모아놓은 도록은 아직 없다. 전해오는 유물의 수도 많지 않거니와 이제껏 목칠 공예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상당한 수의 나전ㆍ화각 공예품을 한 곳에 모아 보여준다는 의미만으로도 가치가 충분한 책이다.

우리나라 전통 무늬 시리즈는 계속된다
앞으로도 ‘우리나라 전통 무늬’ 시리즈는 유물 재질별로 목칠공예, 금속공예, 회화, 기와, 단청, 석조물 등등 계속 출간할 예정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 우리나라의 나전과 화각 무늬에 담긴 독자성
우리나라의 나전과 화각 공예

● 식물무늬
꽃무늬
모란무늬 / 국화무늬 / 연꽃무늬 / 매화무늬 / 사군자무늬 / 넝쿨무늬
나무무늬
과실무늬

동물무늬
상상동물무늬
용무늬 / 봉황무늬 / 괴수무늬
길짐승무늬
호랑이무늬 / 사슴무늬 / 토끼무늬 / 다람쥐무늬 / 십장생무늬
날짐승무늬
학무늬 / 원앙무늬 / 그 밖의 새무늬
곤충무늬
물고기무늬

자연산수무늬
산수무늬
구름무늬
물속풍경무늬

기물무늬
문자무늬
기하무늬
인물무늬

● 무늬 활용
식물무늬 / 동물무늬 / 자연산수무늬 / 기물무늬 / 문자무늬 / 기하무늬 / 인물무늬

○ 부록
용어 설명
유물 수록 목록·INDEX
소장처 목록
참고 문헌
ABSTRACT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