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지나간 길은 모두 그리워진다 (티베트 고원을 지나 히말라야를 넘어)
지나간 길은 모두 그리워진다 (티베트 고원을 지나 히말라야를 넘어)
저자 : 김규만
출판사 : 바보새
출판년 : 2010
ISBN : 9788990644411

책소개

MTB를 타고 티베트 고원을 지나 히말라야를 넘다!

MTB를 타고 티베트 고원과 중국을 들여다본 어느 한의사의 인문학적 에세이 『지나간 길은 모두 그리워진다』. 우리에게 생소한 티베트 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한의사 김규만의 티베트 원정기를 담은 책이다. 여러 철인들과 함께 라싸에서 티베트의 고원을 지나 히말라야를 넘어서 티베트의 국경 장무까지 MTB로 횡단하고, 에베레스트 북쪽 베이스캠프를 방문하면서 보고 듣고 느낀 것들을 풀어낸 다양한 주제의 글들이다. 그동안 '민족의학신문'과 월간 '사람과 산' 등에 연재했던 내용을 보완하여 펴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함께 원정에 참여했던 인물들을 소개해본다. 나이순으로 소개하면 국내에서 사병, 하사관, 장교를 거쳐 프랑스 외인부대 출신 철인 김연수, 사비를 들여 혼자 국제대회에 참가해 ‘애틀란타 올림픽’ 출전권이란 기적을 가져온 MTB 1호 국가대표 권영학, Little 대근(LD)이란 닉네임을 가진 단단한 철인 서성준, 프로 야구 MVP를 뽑는 ‘한국체육기자협회’ 회장인 권오상, 훤칠한 키와 미모에 강인한 여철 이경주, komsta(대한한방해외의료봉사단)의 명장 한의사 김병수, 에베레스트 등 원정 대장을 수차 역임한 산악인 오인환이 함께 했다. 이들이 모여서 라싸에서 티베트의 고원을 지나서 히말라야를 넘어서 티베트의 국경 장무까지 MTB(산악자전거)로 횡단하고, 에베레스트 북쪽 베이스켐프를 방문하면서 보고 듣고 느낀 다양한 주제의 글이다. 그동안『민족의학신문』과 월간《사람과 산》등에 절찬리에 연재했던 내용을 보안하여 출간하게 되었다.

필자는 중국 전문가도 티베트 전문가도 아니다. 여기에 쓰는 글은 지극히 지엽적이며 사적인 생각일 수 있다. 그러나 우리와 가장 인접해 있고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지만 실재로 잘 모르는 중국에 대한 진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중국이란 거대한 도가니 속에 들어가 있는 티베트와 히말라야를 주제로 개인적인 경험과 감상을 세탁하여 최대한 객관적인 관점으로 쓴 글이라는 사실을 밝혀둔다. 그래서 이 글은 단순한 여행기가 아니다. MTB(산악자전거)를 타고 티베트 고원과 중국을 들여다 본 자전적 인문학적 에세이(essay)이다.

만행(蠻行)의 한의사, ‘천상 시인’으로 돌아오다

그가 시인으로 데뷔한다는 전화를 받았을 때, 나는 그가 세 살짜리 아들을 무등에 태우고 북한산의 가파른 삿갓봉을 오르거나, 21세기 첫날 포경 수술 한 청년처럼 어기적어기적 찾아와 마라톤 완주를 했노라고 말하던 기억을 더듬었다.
그뿐이 아니다. 산악자전거로 타클라마칸사막을 횡단하고 왔다는 어느 가을이 생각났고, 서귀포에서 벌어진 철인3종 경기에서의 무용담(?)을 들으며 ‘똥꼬 시려오는’ 오싹한 추억을 반추해냈다. 또 있다. 100킬로미터 울트라마라톤을 완주했다는 얘기를 아무렇지도 않게 말하는 그에게서 전율을 느꼈던 기억이 생생히 떠올랐다. 나는 그의 이런 행각을 ‘만행’이라고 규정한 바 있다. 그는 시인으로서보다는 모험가나 만능레포츠맨 쯤이 더 어울릴 것일 터.

어쨌든 ‘만행의 한의사’ 김규만은 시인이 됐고, 이번에 『지나간 길은 모두 그리워진다!』는 서정적인 책을 낸단다. 그의 ‘만행(蠻行)의 기록’을 읽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MTB(산악자전거)를 타고 티베트 속살을 들여다본 자전적 에세이’는 ‘천학비재(淺學非才)’ 하다는 그의 겸손과는 달리 ‘박학다식’과 ‘재기발랄’로 넘쳐난다. 거기에 시적 감수성은 또 어떻고……

“라싸는 희박한 공기와 밝은 빛으로 와 닿는다. 이곳은 공기가 희박하지만 빛은 오히려 더 강하게 내리 비춘다. 티베트 사람들은 찬 공기와 건조하고 척박한 이 땅을 ‘포’(Poeㆍ자연의 나라),‘ 캉첸’(Kangtsenㆍ눈 덮인 나라)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묵을 숙소에서는 넓은 개활지 가운데 유장하게 흘러가는 라싸강(키츄강)이 보이고 그 뒤에는 어쩌면 풀 한포기 하나 없는 높은 산이 비정하게 가로 막고 서 있는 모습이 보인다. 그러나 새벽은 그 산을 넘어서 오고 강물도 그런 비정한 산 그림자를 헤치고 새벽을 태워서 온다. 라사의 아침은 그 산을 넘어서 그 강물을 타고 어렴풋이 밝아온다.”

강의 유장함과 산의 비정함을 대비시키며 신 새벽을 묘사하는 그에게서 시인 냄새를 흠뻑 맡았다. 산문에서 시적 언어를 이렇게 잘 조탁한 문장을 발견하기란 그다지 쉬운 일이 아니다. 다음과 같은 로맨티즘으로 무장한(!) 대목은 또 어떤가.

“순간순간 불어오는 바람에 가을 냄새가 강렬하게 후각을 자극한다. 샹송 ‘고엽’은 여러 사람에 의해서 불려졌다. 그 중에 내 마음 속에서는 파트리샤 카스의 ‘고엽’이 흘러나왔다. 그 시적인 가사에는 도회적인 사랑과 낭만, 신파극 같은 이별과 우울이 묻어 있다. 샹송의 음률이 참 강렬하게 나의 뇌리를 지배하고 있었다. 서늘한 바람이 불어올 때마다 백양나무의 노랗게 물든 이파리들이 멜로디가 되어 길바닥에 우수수 떨어지곤 한다. 아, 가을이었지!”

‘고행(孤行)’이자 ‘고행(苦行)’이라는 라이딩 중에도 그는 ‘어린 시절 이발소 액자 속에 키치(kitsch)풍 그림과 푸슈킨의 「삶」이란 시’를 떠올리는가 하면 ‘삭막하고 음산한 공간을 뚫고’ 달리면서도 ‘고원의 아름다움과 전율’에 대해 얘기한다.

“잿빛 하늘의 우울, 잠시도 잠들지 않는 바람의 노래, 희박한 공기 때문에 깊게 마셔지는 서늘한 한숨, 틈을 찾아 무법자처럼 쳐들어오는 한기가 어찌 아름다움이란 말인가? 너무 절박한 환경은 음미할 틈을 주지 않았다. 이 자유의 공간에서 우수와 감상에 젖을 잠시의 사치조차 없다면 너무 불행한 일이다.”

히말라야의 ‘험한 산과 거친 황무지 같은 요철(凹凸)에 마음이 빨려들어 가는 매혹(魅惑)’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는 대목에서는 독자들로 하여금 모험가보다는 시인의 영혼을 읽히게 한다.

“서늘한 달빛은 피조물에 부딪혀 미세하게 반사되면서 윤곽(輪廓)을 따라 Aura(물체가 발하는 기운)가 날을 세운다. 표정이 가려진 어둠 속에는 조락(凋落)한 풀과 나무와 흙먼지에서 나는 마르고 매운 후각(嗅覺), 차갑고 거칠며 선듯하게 와 닿는 촉각이 모여서 페이소스(Pathos)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어둠에 가려진 풍경(風景)은 깊어가고 검게 지워지고 있었다. 인생을 살면서 반드시 명현(明顯)하게 드러나야 하는 것도 있지만, 가려지고 숨겨지며 잊어지고 지워져야 하는 것도 필요하다. 세상에는 드러나게 해야 할 것도 있지만, 덮어 둬야 할 것이 더 많은지 모르겠다.”

티베트 횡단 당시가 가을이었기에 그의 가을 찬가는 다양하게 변주돼 나타난다.

“티베트의 중앙 건조지역으로 다가갈수록 가을은 피부에 선듯선듯하게 와 닿는다. 그 피부로 된 자루 안에 우수, 비애가 담긴다. -(중략)- 서늘하고 메마른 공간을 채우는 바람은 가슴을 저리게 한다. 우리의 영혼을 쥐어짤 때 저절로 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메마르고 서늘하며 단단하게 수렴될 때 충격이 가해지면 소리가 터져 나온다. 가을은 다른 계절보다 그런 조한(燥寒)한 기운이 많아서 수렴이 되었다가 유장한 소리가 되어 흘러나온다.”

히말라야의 가을바람에서 영혼의 소리를 듣는 시인은 “그래서 가을은 소리의 계절이 된다. 최고 절정(絶頂)으로 노래하다가 죽는 것을 ‘절창(絶唱)’이라고 한다. 가을의 결실(結實)에 대한 또 다른 얼굴인 숙살(肅殺)처럼 절창이라는 것은 슬프고도 아름답다.”고 탄식한다. 이런 그의 탄식에서 나는 이제 그는 ‘천상 시인’임을 발견한다.

“배우고 익히며 구하고 얻으며 사는 것이 인생이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죽이고 비우며 버려야 한다. 죽이고 비우며 버려야 할 때 노래가 나오고 시(詩)도 나온다.”
고 말하는 그의 다음 노래가 듣고 싶어진다.

“오래된 서책의 먼지를 털어내서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하고, 틀어진 관절과 틀어 진 자세가 만들어낸 여러 가지 질환을 다양한 방법으로 맞춰주어서 적극적이고 효과적이며 실용적인 ‘Mobile 한의학”을 재정립해보고 싶다는 한의사 김규만, “폼생폼사가 아니라 품생품사(品生品死)로 품위와 우아함을 지키며 살고 싶다”는 시인 김규만에게 그의 표현 방식을 빌린다.

글 그림자가 길어지고 있다. 어서 빨리 가자.
친구여! 그대가 따라주는 서늘한 소주 한잔이 사무치게 그립다.
- 이평식 저널리스트

추천사

우리 산악인들에게 티베트와 히말라야는 말만 들어도 반갑고 가슴 떨리는 곳이다. 이 글은 단순한 티베트 MTB 횡단기가 아닌 그의 사유와 감성의 깊이와 넓이를 새로이 가늠하게 한 인문학적 에세이이다. 登山은 궁극적으로 길 없는 길을 찾아 ‘下上下’를 잇는 Vertical 지향이라면, MTB는 사방으로 Horizontal을 지향해가는 것이다. 수직과 수평의 공간에서 그가 종횡무진하며 그린 도도(道圖:길과 그림)함은 기대할만하다.
-이인정 | 대한산악연맹회장, 아시아산악연맹회장

같은 길이의 거리를 걸어도 느끼는 바가 다름은 세상을 깨닫는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고도로의 여행은 늘 그에게 고통을 통해 삶의 존재 이유를 설명해주는 유일한 수단은 아니었을까? 히말라야의 자전거 체험을 이토록 다양하고도 심오하게 써내려가는 것은 그의 삶에 대한 태도와 직결된다. 거기에 우리의 인생이 담겨 있고, 세상에 대해 할 말이 있기에 이 책이 다시 손에 잡히는 까닭이다.
-권오상 | 한국스포츠기자협회 회장, 2011서울국제스포츠기자총회조직위원회 위원장

라싸에서 장무까지 MTB를 타고 달린 이 여행기는 황량한 티베트 풍경과 함께했다. 해발 4,000m를 넘나드는 세계의 지붕, 5,000m 넘는 고개를 몇 개나 넘은 길이었다. 중국에 합병되어 자존심과 문화재와 자원을 모두 빼앗긴 티베트인들, 돈키호테처럼 무모한 도전을 일삼아온 자신의 인생, 언뜻언뜻 떠오르는 노래, 삶과 죽음 등 모든 사유를 자전거의 은륜(銀輪)에 싣고 법륜(法輪:Mani wheel)처럼 돌려가며 가풀막을 오르고 내리막을 치달았다.
-박기성 | 전『사람과 산』편집장

[책속으로] 추가

티베트를 세계의 지붕이라고 한다. 바람이 몹시 불어 구름은 새털처럼 흩날려가고 잠시 세상은 온통 잿빛 하늘로 덥혀 있다. MTB는 그 음산한 공간을 뚫고 달리고 있다.
한때 그 을씨년스럽고 삭막하며 메마르고 거친 고원이 아름다움과 전율로 와 닿는 알 수 없는 정서적 야만(?)을 도대체 이해할 수 없었던 적이 있다. 잿빛 하늘의 우울한 심정은 잠시도 잠들지 않는 바람의 노래와 희박한 공기 때문에 깊게 마셔지는 서늘한 한숨들은 틈을 찾아 무법자처럼 쳐들어오는 한기가 어찌 아름다움이란 말인가? 너무 절박한 환경은 음미할 틈을 주지 않았다. 이 자유의 공간에서 우수와 감상에 젖을 잠시의 사치조차 없다면 너무 불행한 일이다. -210~211쪽

참 거칠고 험한 하루의 여정이었다. 이곳 롱북곰파가 있는 곳의 고도가 5,050m라고 한다. 이 주위에 텐트사이트를 물색하여 도착하자 말자 텐트를 쳐야 했다.
밤공기가 비정해 보인다. 오늘은 추석, “더도 말고 덜도 말라는 한가위”에 찬바람 속에서 바로 텐트를 치고 식사 준비에 들어갔다. 나머지 사람들은 짐정리와 잘 준비를 했다. 밥을 먹고 나니 벌써 11시가 넘은 것 같다. 다들 숨 쉬는 것이 몹시나 힘든 모양이다.
오인환 선배도 오늘은 술 이야기가 없다. 다들 저녁을 먹자 바로 누울 준비를 하지만 몹시 답답해한다. 후일담을 들어보니 대부분 대원들이 5,000m에서 잠을 잔 경험이 전무(全無)하여 이때 가장 힘들었다고 한다. 산소통(아쿠아렁) 한 개를 라싸의 여행사에서 빌려왔지만 쓰지 않았다. 그럭저럭 다 적응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322~323쪽

티베트의 천장(天葬)은 만물의 영장으로 태어나 살다 떠나는 사람들이 온몸을 다 바쳐 다른 중생(독수리나 까마귀 등)에게 하는 마지막 최고의 보시이다. “내 피를 마시고 내 살을 먹어라” 하신 예수의 말씀이 생각난다. 죽은 자의 살과 비계가 다른 중생의 피가 되고 살이 되게 하는 의식이다. 몸을 토막 내는 이 천장은 잔인해 보이지만 가장 아름답고 깊은 슬픔을 느끼게 한다. 몸을 불태우는 화장은 마지막 순간에도 또 다른 무엇인가를 죽이고 소모하는 것이다. 매장은 몸을 썩게 하여 대지의 자양분(거름)이 되게 한다. 그러나 이것은 단연코 직접 육식동물에게 몸을 주는 것보다 비경제적인 경제학이다. -329쪽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부 멀고 험한 티베트 가는 길
꿈은 이루어지는가?
안일한 삶에 필요한 소금과 소스
고난에 살고 안락에 죽는다
버리고 떠나기
일의일발,(一衣一鉢)의 자전거 세계일주
멀고 험한 티베트 가는 길
장거리는 복도쪽, 단거리는 창문쪽
정신의 고양(高揚) -꿈이 되어 나비처럼
아! 풍경(風景) -바람과 빛
입덧 같은 통과 의식 -고소 증세
티베트 저항의 근원 중국의 소수 민족
원정은 동중정!(動中靜)
원정을 위한 변명
중국 위정자들의 티베트관

제2부 잠들지 않는 티베트
너무 어설프면서 몹시 잔인한 홍위병
너무 커서 괴롭고 힘든 나라
잠들지 않는 티베트
큰 것만이 아름다운가?
작은 것도 아름답다.
패기와 박력이 넘치는 중국인들!
만만디인가 콰이콰이인가?
중국인은 만만디인가?
중국인은 콰이콰이인가?
위험한 국가주의, 과격한 중국인

제3부 돈키호테 라체에 입성하다!
프롤레타리아트들에게 조국은 없다!
행복하고 낭만적인 바이캠핑(Bikcamping)!
수인(囚人)에서 탈출 -자유인으로
얄룽창포강의 서정적인 곡
바람처럼 자유롭게
물(?)이 흘러가는 것(去)을 보고 법(法)을 배운다.
물처럼 담백하게, 꿀처럼 달콤하게
라체를 향하여 달린다!
돈키호테 라체에 입성하다!
낙엽이 발을 끄는 소리를 아는가?

제4부 지고이지고이지고이!
장거리 여행을 꿈꾸는 라이더
지고이지고이지고이!
가는 것만이 아름답다!
오르는 것도 아름답다!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지나간 것은 모두 그리워진다!
바람 부는 날이면 언덕에 올라!(La: 고개)
영혼을 선동하는 깃발 -룽따와 타르쵸
바람이 흔들리는가, 깃발이 흔들리는가?
잿빛하늘,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제5부 영원을 건너는 만트라
고행은 때 묻은 영혼에 대한 정화의식이다
차안(此岸)에서 피안(彼岸)으로
영원을 건너는 만트라 -옴마니 반메훔
슬픈 서정시 -시애틀 추장의 편지
은혜를 원수로 갚는 변종 바이러스
단순 무식 지존무상 -단무지한 치료법
일의일발(一衣一鉢), 일장일랑(一杖 一囊)
내가 사랑한 올리브
오호! 부르다 죽을 이름이여, 절창(絶唱)이여
어찌하여 이리 얄궂은 역사란 말이냐

제6부 꿈꾸고 탐험하며 발견하라!
너무나 빨리 달구어지는 도가니
소리의 끝은 어디인가?
기억들이 역사가 될 때
꿈꾸고 탐험하며 발견하라!
벌레 먹은 서정과 잔인한 순정
아직 나의 노래는 계속되고 있다.
티베트에서 7년
산을 오를 때는 오산(惡山), 내려갈 때는 요산(樂山)
수트라와 탄트라
노래는 시공을 초월한다.

제7부 남은 길은 더 아름답게 가라!
바람과 물이 흐르는 산고수장(山高水長)
부인은 혼자인데 남편은 여럿이라고?
마지막은 다운힐로
국경의 밤 -장무의 푸른 밤
쵸모랑마(에베레스트)와 베이스캠프 가는 길
마지막 야영과 베이스캠프 나들이
고행
마지막 남은 길은 더 아름답게 가라!

부록
나의 젊은 날을 지배하던 MTB
자전거 타기
안전한 MTB 라이딩을 위한 팁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