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기로에 선 이성 (셸링 철학)
기로에 선 이성 (셸링 철학)
저자 : 이광모
출판사 : 용의숲
출판년 : 2016
ISBN : 9788993703429

책소개

『기로에 선 이성』은 크게 4부로 구성된 책이다. 1부 이성의 전개, 2부 이성의 위기, 3부 이성의 몰락, 4부 셸링 철학의 영향으로 구성되어, 셸링 철학에 대해 고찰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론



1부 이성의 전개

1_ 철학의 원리와 자아

1. 칸트 철학의 문제와 셸링 철학의 과제

2. 칸트적 및 피히테적 '자아철학'에 대한 비판

3. 철학의 원리로서 '무제약자'

4. '절대적 자아'의 근원 형식

5. 철학의 시원(Anfang)과 그 한계

6. '자연철학'으로의 이행



2_ 가시적 정신으로 자연

1. 표상에 관한 인식론적 물음의 의미

2. 스피노자 및 라이프니츠 철학의 의미와 한계

3. '가시적 정신'으로서의 자연과 '바가시적 자연'으로서의 정신

4. '절대적 관념'으로서의 자연철학



3_ 자연철학의 체계

1. 사변적 자연학의 과제

2. 사변적 자연학과 경험적 자연학의 관계

3. 생산물로서의 자연(natura naturata)의 성립

4. 질료의 구성

5. 유기물의 구성

6. 사변적 자연학의 의미



4_ 개념화된 자연(헤겔)과 자연화된 개념(셸링)

1. 셸링의 1799/1800년 철학 체계

2. 자연 개념과 자연철학의 과제

3. 사변적 자연학(spekulative Physik)으로서의 자연철학

4. 헤겔의 1830년 철학 체계

5. 헤겔의 자연 개념과 자연철학의 과제

6. 셸링과 헤겔의 자연철학의 차이와 전망



5_ 쟈연과 정신의 동일성에 대한 증명과 예술 직관

1. 선험철학의 원리와 '자기의식의 역사'

2. 이론철학과 실천철학의 구분

3. 이론철학의 한계

4. 실천철학의 한계

5. 자연과 정신의 동일성에 대한 지로서의 '예술 직관'



6_ 헤겔의 『정신현상학』과 셸링의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

1. 칸트와 '인식의 맹점'

2. 『정신현상학』과 진리의 척도

3. 칸트의 '관념론 반박'

4. 헤겔의 재반박

5. 빛과 '순수 존재'

6. '선험적 관념론'의 원리로서 자기의식

7. 행위와 의식의 근거로서 '운명'과 '신화'



7_ 동일성 철학의 체계

1. 동일성 철학의 전제(혹은원리)와 그에 대한 연역

2. 지적 직관과 동일성으로서의 절대자

3. 하나이며 모든 것(hen kai pan)인 절대자

4. 현상으로서 유한자

5. 현상세계의 두 영역: 자연과 정신



2부 이성의 위기

1_ 인간의 자유

1. 체계와 자유의 문제

2. 자유의 형식적 가능성

3. 피조물과 인간정신의 탄생

4. 보편적 악과 '악으로의 성향'

5. '근본악'과 인간의 실제적 자유



2_ 관념론적 자유에 대한 ?리의 비판

1. 헤겔에게 있어서 자유와 체계

2. 관념론적 자유 이해의 한계

3. 악의 실재성

4. 실재론과 이이성적인 것의 힘

5. 실존과 실존의 근거

6. 영원한 시원과 자유

7. 자유의 존재론과 '결코 다 밝혀질 수 없는 잔여'



3_ 세계의 시원과 이성의 근원

1. 세계의 시원에 대한 인식 가능성과 학의 방법

2. 신의 본성(Natur)과 대립하는 두 힘

3. 힘들의 맹목적적 순환운동과 그 시원

4. '영원한 자유'와 말씀(logos)의 출현

5. 풀리지 않은 문제들



4_ 이성의 근거와 그 타자

1. 철학의 원리로서의 '절대적 주체'

2. '절대적 주체'에 대한 인식으로서 탈각(Extase)

3. 탈각의 구조와 '반성'

4. 이성에 ?나 존재론적 해명

5. 이성의 근거와 타자



3부 이성의 몰락

1_ '이성학문'의 한계와 부정철학

1. 셸리의 문제 제기

2. 헤겔 '논리학'에 대한 비판

3. '이성학문'(vernunftswissenschaft)의 체계와 그 한계

4. 새로운 철학의 출현



2_ 새로운 철학의 원리로서 '사유 이전의 존재'와 긍정철학

1. 신의 실존에 관한 '존재론적 논증'의 한계

2. 긍정철학의 원리(Anfang)에 이르는 길

3. '사유 이전의 존재'(Unvordenklichessein)로 부터 철학의 가능성

4. 긍정철학에서 이성과 경험의 역할

5. 자유의 철학으로서 긍정철학



3_ 반성적 사유(헤겔)와 비합리적 실존(셸링)

1. '부정철학'과 '기독교 신론'으로서의 헤겔 철학

2. '논리학'의 시원(Anfang)에 대한 비판

3. '논리학'의 방법에 대한 비판

4. '논리학'으로부터 자연철학으로의 이행에 대한 비판

5. 셸리의 헤겔 비판에 대한 평가

6. 헤겔인간 아니면 셸링인가?



4부 셸링 철학의 영향

1_ 셸링과 아도르노

1. 존재와 개념의 동일성과 이성의 체계

2. 매개와 사유의 제약성

3. '비개념적인 것'(das Begrifflose)의 의미

4. 화해의 방법으로서 자기반성과 탈각(Extase)



2_ 셸링과 하이데거

1. 진리의 근거로서 '존재'와 '자기의식'

2. 『정신현상학』과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에서 제시되는 철학의 필연성

3. 『진리의 본질』에서 제시되는 철학의 필연성

4. 부정성과 철학의 근거 지움

5. 예술직관 및 '전회'와 철학의 근거 지움

6. 헤겔과 셸리의 진리 근거에 대한 하이데거 비판의 타당성



참고문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