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인간에 대한 비전 (Vision of Man,미국소설)
인간에 대한 비전 (Vision of Man,미국소설)
저자 : 김일구
출판사 : 미래교육기획
출판년 : 2010
ISBN : 9788994102016

책소개

『인간에 대한 비전』에서는 Theodore Dreiser와 Bernard Malamud의 작품들과 그 안에 나타난 사상적 배경의 일환으로 설명되어 있는 생물학, 화학, 물리학, 사회학, 종교학 등을 비롯한 과학이론이나 실증주의 및 합리론, 불가지론, 인본주의 및 실존주의 등을 비롯한 철학이론이나 사상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또한 두 작가의 사상이나 작품세계의 특징, 또는 개별 작품 각각에 대한 연구 및 보고서 작성용도에 참고할 수 있도록 접근 가능성이 있는 주요 ‘논제들(Topics)’을 일괄해서 수록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인간에 대한 비전 (Vision of Man)은 영문학 전공도서로서, 위에서 언급한 두 작가Theodore Dreiser’s Mechanistic Self & Bernard Malamud’s Existential?Humanistic Self에 관심이 있거나 영문학이나 미국문학 및 미국소설 전공 또는 비전공 관련 학생들이나, 석사 및 박사학위 과정 선생님들의 이들과 관련된 학습이나 연구에 실질적이고 유용한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인간은, 마치, 우주와 자연이라는 기계적인 힘에 맞물려 통제되는 톱니바퀴와도 같이 자유의지를 상실한 존재인 듯, 근본적으로 나약한 존재일 수밖에 운명적 한계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유사 이래로 수차례에 걸친 생존에 대한 종말적인 위기를 거치면서, 주어진 운명의 한계 내에서 살아남은 생존투쟁의 역사 속에서 입증되고 있듯이, 그리고 실존주의 철학가인 Jean-Paul Sartre가 ‘태어날 때나 살아가는 동안이나 심지어 죽을 때마저도 시달려야 하는 고통’을 피력했듯이, 숙명에 무한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미약한 존재로서의 인간은, 역설적으로, 그러한 숙명적인 고통이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 것이고, 또한, 희랍의 철학자인 Aristotle이 남긴 명언대로, 유아독존적으로 혼자서만 살 수 없는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은, 실존주의 신학의 제창자인 Martin Buber가 ‘나-너(I-Thou)에 입각한 참된 인간관계론’을 강조했듯이, 세상과 더불어 살아가는 상생의 인본주의적인 가치들을 지향하는 삶의 참된 의미를 인식함이 없이는,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인 진정한 행복을 향유하기 어려울 것이다. 필자가 20세기를 통틀어 미국문학의 큰 틀, 특히 전반기의 미국소설과 중?후반기의 미국소설에 관심을 갖게 된 바는 대조적인 양면성을 보이면서도 주제적인 묘한 일치성을 보이는 두 소설가의 ‘인간을 바라보는 태도와 그 견지’에 대한 것이다. 미국문학상에서, 20세기 전반기를 대변하는 한 문학가로 미국 자연주의 소설을 확립한 Theodore Dreiser는 나름대로, 인간이 조종하거나 제어할 수 없는 ‘우주와 자연’이라는 거대한 원동기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에 맞물려 자유의지를 상실한 채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하나의 ‘톱니바퀴’처럼, 기계화 구조라는 운명 속에 조건 지워진 인간의 연약성과 왜소함과 미천함에 ‘운명’이라는 한계성의 멍에를 지워, 신화적 영웅들(heroes)과는 달리, 더 이상은 그 운명의 멍에를 거부하거나 거역할 수 없는 비(非) 영웅들(anti-heroes), 즉, 현대인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객관적이면서도 적나라하게 그려내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편, 20세기 중?후반기의 유대계 미국문학의 르네상스(Jewish-American Renaissance)를 대변하는 인본주의 소설가로서, 보편적인 ‘인간조건’의 한계성, 고통의 숙명성, 인간의 ‘자유의식’의 추구성, ‘자기도약’에 대한 열망의 무한성, 인본주의적 미덕들이나 가치들의 지향성, ‘더 나은 실존’에 대한 잠재성 등을 그의 작품세계에 담고 있는 Bernard Malamud는 나름대로, 평범한 인간으로서의 불운한 인간조건과 현실적인 취약성을 지녔으면서도, 동시에 재생에 대한 강한 잠재력을 지닌 ‘Schlemiel’ 유형의 등장인물들을 통해, 우리에게 인간정신의 존엄성과 그 위엄성을 강하게 암시해주고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Dreiser와 Malamud 두 작가 모두는 보편적인 인간조건을 타고난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삶의 역경과 고뇌에 직면한 ‘고통 받는 인간상’을 제시하면서, 그들로 하여금, 궁극적으로는,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인본주의적인 미덕들을 추구하도록 장치함으로써, 인간성의 가치를 하락시키고, 인간정신의 존엄성을 도외시하는 경향이 있는 우리 현대인에게 하나의 경종과 경각심을 일깨워주고 있는 점 등이 공통적임을 엿볼 수 있다. 궁극적으로, Dreiser나 Malamud가 바라보는 인간에 대한 견지에 관한 한, 그것이 비관적인 것이든 낙관적인 것이든 간에, 역설적으로, 고통 없이는 존재하는 의미나 목적이 없는 것과도 같은 숙명적인 전제에 입각해, 고통이 닥쳤을 때, 그 고통을 회피함은 곧 인간조건을 거부함과 같으므로, 이러한 숙명적인 고통을 어떻게 승화시키고, 이러한 고통과 더불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의 방법을 우리에게 제시해주고 있는 것 같다. 다시 말해, 함께 더불어 삶을 영위해가는 우리 인간 상호간의 진실한 사랑과 이해가 최선의 구원의 미덕이라는 엄연한 사실, 즉, 세파에 찌들고 때 묻고 비인간적인 세계에서의 애타성과 책임감을 역설하면서, 사랑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과 이에 동반되는 필연적인 고통을 승화시켜 나아가는 과정이 곧 도덕적 인간으로 되는 인간성 회복의 길임을 우리들에게 역설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세기 미국문학, 특히, 전반기의 Theodore Dreiser나 중?후반기의 Bernard Malamud의 주요 소설들의 등장인물들을 통해, 이들의 삶과 동시에 떠안은 숙명적인 고통의 참의미와 더불어 긍정적인 인간의 비전을 제시하면서, 시련과 정신적 불모성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 현대인들에게 동병상련의 인간존재성을 공유할 수 있는 인본주의적인 가치를 지향하는 삶의 진정한 의미와, 상생할 수 있는 포괄적인 방법론, 즉, 인본주의적인 가치들의 실행으로 ‘더불어 사는’ 긍정적인 삶의 좌표와, 그럼으로써, ‘더 나은 인간실존’의 궁극적인 목적을 제시해주고 있음이 무엇보다도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점이라 할 것이다. 이 책에서 두 작가의 사상적 배경의 일환으로 설명되어 있는 생물학, 화학, 물리학, 사회학, 종교학 등을 비롯한 과학이론이나 실증주의 및 합리론, 불가지론, 인본주의 및 실존주의 등을 비롯한 철학이론이나 사상 등에 관한 개론적인 내용들은 본문에서 서술하거나 각주로 처리해 심화학습에 참고하도록 했고, 이 책의 「부록(Appendix)」에는 “Vision of Man”의 영문초록 결론부분에 두 작가의 사상이나 작품세계의 특징, 또는 개별 작품 각각에 대한 연구 및 보고서 작성용도에 참고할 수 있도록 접근 가능성이 있는 주요 ‘논제들(Topics)’을 일괄해서 실어놓았으며, 또한 “선별된 참고문헌(Selected Bibliography)”란에는 두 작가 및 작품세계와 관련하여, 선별된 국내?외의 비평서나 비평(논)문에 대한 ‘색인목록’을 등재해, 역시 연구목록 작성에 최대한 참고가 되도록 편성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머리말
1. Theodore Dreiser 소설의 양면적 특징
2. Bernard Malamud 소설의 양면적 특징

Ⅱ. Theodore Dreiser의 소설에 나타난 ‘기계론적 자아상’
1. ‘욕구 본능적 자아’의 이미지
2. ‘우연성의 희생자’ 이미지
3. ‘환경성의 희생자’ 이미지

Ⅲ. T. Dreiser 소설의 ‘인도주의(Humanitarianism)’의 양상
1. 동정.연민성
2. 인간의 존엄성
3. 삶의 신비성.가치성

Ⅳ. Bernard Malamud의 소설에 나타난 ‘보편적 인간상’
1. 불운의 ‘Schlemiel’ 이미지
2. 과거자아.부정자아의 이미지

Ⅴ. B. Malamud의 소설에 나타난 ‘실존적.인본주의적 자아상’
1. 환상?의식을 통한 자기도약의 ‘실존적 자아상’
2. 재생과 구원의 ‘인본주의적 자아상’
3. 여성에 대한 비전



Ⅶ. Appendix
1. Articles in English:
(1) Vision of Man:
Theodore Dreiser’s Mechanistic Self
&
Bernard Malamud’s Existential?Humanistic Self
(2) A Moral Self in Bernard Malamud’s Novels
2. Selected Bibliography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