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철학자들의 신과 성서의 하나님 (신과 세계의 관계, 그 치열한 논쟁사)
철학자들의 신과 성서의 하나님 (신과 세계의 관계, 그 치열한 논쟁사)
저자 : 존 쿠퍼
출판사 : 새물결플러스
출판년 : 2011
ISBN : 9788994752020

책소개

서구 사상사와 현대 신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주제인 범재신론의 역사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기독교의 고전적 유신론과 비교한 책이다. 플라톤에서 시작하여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와 그 너머에 이르기까지 범재신론의 발흥과 확산을 추적한다. 그 흐름을 따라가면서 위르겐 몰트만,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필립 클레이튼, 존 폴킹혼과 같은 여러 현대 사상가들의 범재신론을 검토하고 범재신론이 어떻게 해방신학, 여성신학, 생태신학 등에 영향을 주었는가를 논한다. 또한 최근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소위 열린 신관이 과연 범재신론적인지도 살피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플라톤에서 현대까지 신의 존재를 탐구해온 사상가들의 역사!”
“서양 철학과 신학 전통에 드러난 범재신론의 역사를
이만큼 포괄적으로 다룬 책은 지금까지 없었다.”
강영안 교수(서강대 철학과), 우종학 교수(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송인규 교수(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필립 클레이튼, 폴 헬름, 앨런 패지트, 리론 슐츠 추천!

☞ 신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신은 우주를 어떻게 섭리하고 운행하는가? 신은 꼭 세계를 창조해야 했는가? 세계 속에서 신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악은 창조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생기는 것인가? 철학자들이 설명해낸 신은 성서의 하나님과 같은가? 서구 사상사와 현대 신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주제인 범재신론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전통적 기독교의 고전적 유신론과 비교하는 이 책은 이러한 중요한 질문들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해온 신학자, 철학자, 과학자들의 대답을 폭넓게 제시한다.

고전적 유신론의 하나님은 종종 "철학자들의 신"이라 일컬어진다. 그러나 오늘날의 신학적 풍경은 "철학자들의 다른 신"을 찾아서, 즉 범재신론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복잡다단하고 미묘한 세계관인 범재신론은 "만물이 신 안에 있다"는 이론으로, 하나님과 세계의 관계가 영혼과 몸의 관계와 마찬가지라고 이해한다.

범재신론이 새로운 신학 사상 체계는 아니지만, 근래에 특히 과학과 종교 양 분야를 연구하는 사상가들 사이에서 르네상스를 경험하고 있다. 철학자이자 신학자인 존 쿠퍼의 『철학자들의 신과 성서의 하나님』은 이 주제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다루는 영어로 씌어진 최초의 작품일 것이다. 쿠퍼는 플라톤에서 시작하여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와 그 너머에 이르기까지 범재신론의 발흥과 확산을 추적한다. 그 흐름을 따라가면서, 쿠퍼는 위르겐 몰트만,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필립 클레이튼, 존 폴킹혼과 같은 여러 현대 사상가들의 범재신론을 검토하고, 또한 범재신론이 어떻게 해방신학, 여성신학, 생태신학 등에 영향을 주었는가를 논한다. 또한 최근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소위 열린 신관이 과연 범재신론적인지도 살피고 있다.

이 책의 결론부에서 쿠퍼는 개혁주의 그리스도인 신학자의 입장에서 범재신론을 분석하고, 자신이 왜 범재신론이 아니라 수정된 고전적 유신론을 선택하는가를 설명한다. 쿠퍼는 "기독교 신학과 구원사 그리고 기독교 세계관에 대하여 성경적으로 충실하며 철학적으로 건전한 표명을 제공하는 면에서는" 고전적 유신론이 범재신론보다 더 적합하다고 믿는다. 쿠퍼 자신은 궁극적으로는 고전적 유신론을 자신의 입장으로 선택하지만, 그가 이 책을 쓴 전체적인 목적은 범재신론에 대한 “유익하고 공정하고 정확한” 개관을 제공하는 것이었음을 채 전반에 걸쳐 분명하게 보여준다.

추천의 글
서양 철학과 신학 전통에 드러난 범재신론의 역사를 이만큼 포괄적으로 다룬 책은 지금까지 없었다. 고전적 유신론을 옹호하면서도, 범재신론적 사상을 펼친 철학자와 신학자들을 매우 공정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은 이 책이 지닌 큰 미덕일 것이다.
강영안, 서강대 철학과 교수

왜 대부분의 현대 신학자들이 기독교 정통 유신론의 울타리를 마다하고 “철학자들의 신” 구역에서 서성거리는지 궁금하다면, 자연과학과 신학의 상관관계를 설정함에 있어서 왜 그토록 양극적 신 개념에 집착하는지 이유를 알고 싶다면, 존 쿠퍼의 『철학자들의 신과 성서의 하나님』은 필독서 중의 필독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송인규,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과학을 통해 창조세계를 점점 더 깊이 이해하게 된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신과 창조세계의 관계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일은 빼놓을 수 없는 과제다. 이 책은 그 중요한 작업을 폭넓게 담아내고 있으며, 범재신론에 대한 균형 잡힌 개관과 더불어 그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우종학,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20세기 신학 운동 중 가장 중요한 운동이라 할 수 있는 범재신론에 대한 복음주의 학자의 묵직한 대답이 마침내 나왔다. 존 쿠퍼는 이 주제를 다루면서 인상적인 학문적 자질과 능숙한 정리, 잘 정제된 판단을 보여준다.…이 책이 오늘날의 기독교 지성인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자료라는 점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필립 클레이튼, 클레어몬트 신학교 신학 교수

지극히 명료하면서도 아주 열정적으로 씌어진 이 책은 고전적 기독교 유신론과 다른 견해들 사이의 여러 차이점을 명료하게 구별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이 책은 명료성과 공정한 태도의 귀감이다.
폴 헬름, 리젠트 칼리지 신학 교수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감사의 말|약어



제1장 범재신론: 철학자들의 다른 신

고전적 유신론, 관계적 신학, “철학자들의 신”|철학자들의 다른 신: 범재신론 전통|이 연구의 두 가지 목적|대상 독자들: 신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예비적 개관|범재신론의 기본 용어들과 구별



제2장 플라톤에서 기독교 신플라톤주의까지의 범재신론

플라톤주의: 두 가지 신학 전통의 원천|플라톤|스토아주의: 자연주의적 범신론|신플라톤주의|위-디오니시우스와 기독교 신플라톤주의|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마이스터 에크하르트|니콜라우스 쿠자누스|야콥 뵈메|결론



제3장 르네상스에서 낭만주의까지의 범신론과 범재신론

조르다노 브루노|바뤼흐 스피노자|17세기 신플라톤주의|조나단 에드워즈|초기 독일 낭만주의: 레싱과 헤르더|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결론



제4장 셸링과 헤겔: 현대 범재신론의 대부들

배경: 칸트와 피히테|셸링|헤겔|결론



제5장 19세기 동안의 확산

독일|영국|미국|프랑스|결론



제6장 테이야르 드 샤르뎅의 그리스도 중심적 범재신론

오메가 포인트로의 우주 진화|테이야르의 신학: 오메가는 우주적 그리스도 안의 하나나님이다|테이야르의 범재신론: “기독교 범신론”|결론: 이단자에서 선지자로



제7장 과정신학: 화이트헤드, 하트숀, 캅, 그리핀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찰스 하트숀|존 캅과 데이비드 그리핀의 기독교 과정신학|과정신학과 자유 의지(열린) 유신론|결론



제8장 폴 틸리히의 실존주의적 범재신론

틸리히가 말하는 철학과 신학의 상관성|틸리히의 실존주의적 존재론|틸리히의 하나님과 세계에 대한 이론|틸리히의 범재신론



제9장 20세기 철학, 신학, 종교에서의 다양성

기독교 전통에 속한 철학자들|기독교 전통에 속한 신학자들|비기독교 범재신론자들|결론



제10장 몰트만의 상호 내재적 범재신론

개관|변증법적 존재론과 희망의 신학|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삼위일체와 하나님 나라|『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 보편화되는 상호 내재성|『오시는 하나님』|기독교 신학으로서 몰트만의 범재신론



제11장 판넨베르크의 범재신론적 힘의 장

판넨베르크는 범재신론자인가?|판넨베르크의 삶과 신학에 대한 개관|판넨베르크의 범재신론: 신적인 힘의 장|판넨베르크의 역사적-삼위일체적 범재신론|결론



제12장 범재신론적 해방신학과 생태신학

제임스 콘의 흑인 신학|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여성-생태신학|결론



제13장 신학적 우주론 안의 범재신론

바버의 조건부 과정 범재신론|데이비스의 단일 과정적 범재신론|피코크의 자연주의적 성례전적 범재신론|클레이튼의 창발적 인격적 범재신론|폴킹혼의 종말론적 범재신론|결론



제14장 나는 왜 범재신론자가 아닌가

대답의 성격|성경의 하나님|교리적이며 신학적인 쟁점들|철학적 쟁점들|성경적 세계관과 구속사|결론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