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딜레마와 교육정책 (한국 농촌학교의 딜레마 상황과 정책 대응)
딜레마와 교육정책 (한국 농촌학교의 딜레마 상황과 정책 대응)
저자 : 임연기
출판사 : 학지사
출판년 : 2021
ISBN : 9788999723582

책소개

『딜레마와교육정책』은 〈일상에서 딜레마 만나기〉, 〈한국교육의 딜레마 스쳐보기 I: 사교육의 딜레마〉, 〈한국교육의 딜레마 스쳐보기 II: 대학입학전형 정책의 딜레마〉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부 딜레마 관점

제1장 일상에서 딜레마 만나기

제2장 한국교육의 딜레마 스쳐보기 I: 사교육의 딜레마
1. 죄수의 딜레마와 교육
2. 도덕적 딜레마와 교육

제3장 한국교육의 딜레마 스쳐보기 II: 대학입학전형 정책의 딜레마
1. 대학입학전형 정책변화의 난맥상
2. 대학입학전형 정책환경의 특징
3. 대학입학전형 정책의 딜레마와 정부의 역할

제4장 농촌학교의 딜레마 들어가기

제2부 딜레마 발생 배경

제5장 농촌지역 교육기회 확대
1. 농촌지역 학교설립 확충
2. 농촌학교 교육여건 개선
3. 농촌지역의 각종 사회교육 활성화 추진
4. 농촌 교원의 안정적 확보

제6장 농촌학교의 인구통계학적 변화
1. 농촌지역 인구변화
2. 농촌 학령인구 변화추이와 전망
3. 농촌 학교·학생·학급 수 변화
4. 농촌학교 교육지표의 변화

제7장 도시와 농촌 간의 교육격차
1. 도·농 교육격차 분석 모형
2. 도·농 간 교육격차 수준과 내용
3. 시사점

제8장 소규모학교의 비용과 편익
1. 소규모학교의 의미
2. 소규모학교의 비용과 편익 논란

제3부 딜레마 관련 정책

제9장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
1. 학교 통폐합 추진
2. 사립학교 통폐합 추진
3. 통폐합의 산물로서 폐교의 활용

제10장 농촌학교 보전과 육성 정책
1. 소규모학교 내실화 대책
2. 주요 농촌교육 진흥 정책방안
3. 농촌교육 진흥을 위한 법률 제정
4.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시행
5. 농어촌학교 육성 재정지원 사업 추진

제11장 외국의 농촌학교 정책: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1. 벽지와 벽지학교의 특성
2. 벽지학교 육성 정책과 제도
3. 벽지학교 교원 정책
4. 벽지학교 학생복지
5. 벽지학교 통폐합 추진
6. 벽지학교 네트워크
7. 종합 및 시사점

제4부 딜레마 양상

제12장 딜레마 대응행동
1. 학교 통폐합 상황의 특성
2. 딜레마적 정책 추진

제13장 딜레마와 가치
1. 학교 폐교의 공리적 가치
2. 학교 보존의 보호된 가치
3. ‘보호된 가치’의 실제
4. ‘보호된 가치’를 지킨 학교 사례

제14장 딜레마 상황에서 행위자의 인식
1. 학생
2. 학부모
3. 학교 관리자 1
4. 학교 관리자 2

제15장 탈 딜레마 사례의 특성
1. 성공적인 작은 학교의 특성
2. 성공적인 작은 학교의 성과와 과제
3. 성공적인 작은 학교의 발전 요인

제16장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