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식품안전관리지침 (2018)
식품안전관리지침 (2018)
저자 : 식품의약품안전처
출판사 : 진한엠앤비
출판년 : 2018
ISBN : 9791129003065

책소개

『식품안전관리지침(2018)』은 식품안전관리 목표 및 주요시책, 안전한 식품의 제조·유통기반 조성, 식품관련업체 안전관리, 건강기능식품, 수입 식품등 검사 및 사후관리, 유전자변형식품등 신소재식품 안전관리, 축산물 위생관리 제도 및 지도·점검, 농수산물 안전관리, 식중독 예방 및 관리,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식품안전관리지침(2018)』은 식품안전관리 목표 및 주요시책, 안전한 식품의 제조·유통기반 조성, 식품관련업체 안전관리, 건강기능식품, 수입 식품등 검사 및 사후관리, 유전자변형식품등 신소재식품 안전관리, 축산물 위생관리 제도 및 지도·점검, 농수산물 안전관리, 식중독 예방 및 관리,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식품안전관리 목표 및 주요시책
1. ’18년도 식품안전관리 정책 추진 전략
2. 식품안전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3. 통합식품안전정보망(식품행정통합시스템) 활용

Ⅱ. 안전한 식품의 제조·유통기반 조성
1. 식품등의 영업허가 등 관리
2. 식품 위탁 제조·가공업체 관리
3. 식품등의 자가품질검사 관리
4. 식품등의 표시 등 관리
5. 특수용도식품 표시 및 광고 관리
6. 가공식품의 영양 및 나트륨 함량 비교 표시
7. 의약품제조시설의 식품제조·가공시설 이용 기준
8. 해썹(HACCP) 제도 운영
8-1.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제도운영
9. 위해예방관리계획(HACCP Plan) 적용 내실화
10.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 운영
11. 식품분야 통계관리
12. 식품별 오염물질 오염도 조사
13. ’18년도『제17회 식품안전의 날』 기념행사 추진
14. ’17년도『식품위생법』주요 개정내용

Ⅲ. 식품관련업체 안전관리
1. ’18년 식품안전관리 기본방향
2. 식품안전관리 체계
3. 식품제조가공업체 등 안전관리
4. 식품접객업체 등 안전관리
5. 유통식품 등 안전관리
6. 부정·불량식품 등 특별 관리
7. 부정·불량식품 민원업무 처리
8. 주류 제조업체 등 안전관리
9. 기타사항

Ⅳ. 건강기능식품관리
1.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영업허가 및 관리
2. 건강기능식품 판매업 영업신고 및 관리
3.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 운영 관리 및 활성화
4. 건강기능식품 품질관리
5. 건강기능식품 사후관리
6. 의약품제조시설의 건강기능식품제조시설 이용 및 관리
7. 영업자 및 품질관리인 교육관리
8. 허위·과대광고 관리
9. 건강기능식품의 표시 관리
10. 건강기능식품 관련정보 공개
11. 건강기능식품 위해사실(이상사례 포함) 보고
12. ’17년도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주요 개정내용

Ⅴ. 수입 식품등 검사 및 사후관리
1. 수입식품 관련 영업의 등록 및 관리
2. 수입 식품등 사전 안전 관리
3. 수입식품등 검사
4. 수입식품 신속통관
5. 부적합 수입식품에 대한 신속 대응
6. 식품등에 대한 검사명령제 운영
7. 수입 식품등 사후관리
8. 수입자 등 교육·홍보 강화
9. 수입식품 현황(사진)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및 사진제출
10. 수입식품등의 수거·검사
11. 수입식품 업체 지도·점검 관리
12. 수입식품 유통이력추적 관리
13. 비정상 수입식품 등 안전관리
14. 허위·과대광고 관리
15. 지도·점검시 영업자별 교육·홍보 실시
16. ’17년도『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주요 개정내용

Ⅵ. 유전자변형식품등 신소재식품 안전관리
1. 수입단계 유전자변형식품등 안전관리
2. 제조·유통단계 유전자변형식품등 안전관리
3.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안전관리
4. 한시적 기준·규격 인정 식품원료 안전관리

Ⅶ. 축산물 위생관리 제도 및 지도·점검
1. 축산물 관련 영업허가 등 관리
2. 축산물의 기준 및 규격 관련 업무
3. 축산물 안전성 검사
4. 축산물 위생감시 중점 추진사항
5. 축산물 위생감시 요령
6. 허위표시 및 과대광고 단속
7. 축산물 수거검사
8. 위해 축산물 회수
9. 부적합 축산물 긴급통보시스템 운영 관리
10. 명예축산물위생감시원 운영
11. 축산물분야 통계관리
12. ’17년도『축산물 위생관리법』 주요 개정내용

Ⅷ. 농수산식품 안전관리
[ 농산물 안전관리 ]
1. 농산물 안전관리 개요
2. 생산단계 농산물 안전관리
3. 유통 농산물 안전관리
[ 수산물 안전관리 ]
1. ’18년도 수산물 안전관리 기본방향
2. 수산물 안전관리 체계
3. 생산단계 수산물 안전관리
4. 유통 수산물 수거·검사
5. 생산·유통단계 지도·점검 및 관계기관 협업
[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 ]
1.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 추진 방향
2. 식품 중 방사능 안전관리

Ⅸ. 식중독 예방 및 관리
1. 식중독 예방관리 체계
2. 식중독 발생·조사결과 보고
3. 식중독 원인·역학 조사
4. 식중독균 추적관리 사업
5. 노로바이러스 감시체계 사업
6. 식중독 예방 교육 및 홍보
7. 식중독 발생 우려 집단급식시설 집중관리
8. 지하수 살균소독장치 사후관리
9. 음식문화개선사업 관리
10. 음식점 위생등급제 운영
11. 주방문화 개선사업 운영

Ⅹ.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1.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지정
2.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안전관리
3.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제품 수거·검사
4. 어린이 기호식품 전담관리원 지정 및 운영
5. 어린이 기호식품 우수판매업소 지정
6. 고열량·저영양 식품 및 고카페인 함유 식품 등 관리
7. 식품접객업소의 영양성분 및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관리
8.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관리
9.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교육 및 홍보
10. ’17년『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령』 주요 개정내용

XI. 부 록
1. 식품제조·가공업체 등의 위생관리등급제운영지침
2. 축산물가공품 원재료 함량 표시(기재) 지침
3. 품목제조보고 원재료 입력 요령
4. 홍성군 농식품 제조·가공업 시설기준 특례규칙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