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노동법
노동법
저자 : 임종률
출판사 : 박영사
출판년 : 2018
ISBN : 9791130331607

책소개

▶ 이 책은 노동법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노동법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주요목차

제1편 총 론

제1장 노동법의 의의 3
제2장 헌법의 노동조항 18
제3장 노동법상 권리ㆍ의무의 주체 33

제2편 집단적 노동관계법

제1장 노동조합 47
제1절 노동조합의 조직형태 47
제2절 노동조합의 보호요건 49
제3절 노동조합의 운영 70
제4절 노동조합 조직의 변동 104
제5절 조합활동 110
제2장 단체교섭 117
제1절 단체교섭의 의의 117
제2절 단체교섭의 주체 120
제3절 단체교섭의 대상 135
제4절 단체교섭의 방법 145
제3장 단체협약 148
제1절 단체협약의 의의와 성립 148
제2절 단체협약의 효력 156
제3절 단체협약의 적용 175
제4절 단체협약의 실효 185
제4장 노동쟁의의 調整 192
제5장 쟁의행위 209
제1절 쟁의행위의 개념 209
제2절 쟁의행위에 대한 노동조합법의 규율 217
제3절 쟁의행위의 정당성 237
제4절 위법한 쟁의행위와 책임 귀속 254
제5절 쟁의행위와 근로계약관계 260
제6절 직장폐쇄 268
제6장 부당노동행위제도 276
제1절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 276
제2절 부당노동행위의 성립요건 279
제3절 부당노동행위의 행정적 구제 303
제4절 부당노동행위의 형사제재와 민사구제 323
제7장 교원ㆍ공무원의 단결활동 328

제3편 개별적 노동관계법

제1장 근로기준법 339
제2장 노동관계 규율의 기초 351
제1절 근로계약 351
제2절 취업규칙 359
제3절 노동관계의 기본원칙 375
제3장 노동관계의 성립 390
제4장 노동관계의 전개 403
제1절 임금 403
제2절 근로시간과 휴식 430
제3절 안전과 보건 477
제4절 재해보상 481
제5절 이동인사ㆍ휴직ㆍ징계 507
제6절 사업주변경과 노동관계 529
제5장 노동관계의 종료 536
제1절 해고 536
제2절 해고 이외의 노동관계 종료사유 559
제3절 노동관계 종료에 따른 법률관계 569
제6장 부당해고등의 구제 589
제7장 연소자와 여성 598
제8장 비정규근로자 614

제4편 노동법의 그 밖의 부문

제1장 노동위원회제도 645
제2장 노사협의제도 654
제3장 고용증진제도 664

세부목차

제1편 총 론

제1장 노동법의 의의_3

Ⅰ. 노동법의 개념 3
Ⅱ. 시민법과 노동법 4
1. 시민법과 노동문제 4
2. 노동법의 생성ㆍ발전 5
Ⅲ. 우리나라 노동입법 과정 7
1. 초기의 노동입법 7
2. 권위주의 시대의 노동입법 8
3. 민주화시대의 노동입법 9
4. 세계화시대의 노동입법 10
Ⅳ. 노동법의 체계 12
Ⅴ. 노동법의 법원 14
1. 법원의 의의와 종류 14
2. 법원 상호간의 충돌 16

제2장 헌법의 노동조항_18

Ⅰ. 근로의 권리와 의무 18
1. 근로의 권리 18
2. 근로의 의무 20
Ⅱ. 근로조건 법정주의 20
1. 기본원칙 20
2. 필수적 입법 21
Ⅲ. 노동3권 21
1. 개관 21
2. 단결권 25
3. 단체교섭권 28
4. 단체행동권 29

제3장 노동법상 권리ㆍ의무의 주체_33

Ⅰ. 근로자의 개념 33
1. 노동법상 근로자 개념의 유형 33
2. 근로자 개념에 관한 쟁점 37
Ⅱ. 사용자의 개념 42

제2편 집단적 노동관계법

제1장 노동조합_47

제1절 노동조합의 조직형태 47
제2절 노동조합의 보호요건 49
Ⅰ. 실체적 요건 49
1. 적극적 요건 49
2. 소극적 요건 54
Ⅱ. 절차적 요건 59
1. 설립신고제도 59
2. 노동조합의 설립 절차 60
3. 법외노동조합 66
제3절 노동조합의 운영 70
Ⅰ. 민주적 운영과 행정감독 70
1. 단체자치와 민주적 운영 70
2. 행정감독 71
Ⅱ. 조합원 지위의 취득과 상실 72
1. 조합원 자격 72
2. 조합원 지위의 취득 72
3. 조합원 지위의 상실 73
4. 조직강제 73
Ⅲ. 노동조합의 기관 82
1. 최고의결기관 82
2. 임원 87
3. 회계감사원 88
Ⅳ. 노동조합의 통제 88
1. 통제권의 근거와 한계 88
2. 통제처분의 대상 89
3. 통제처분의 내용과 절차 92
Ⅴ. 노동조합의 재정 93
1. 재정운영의 자주성ㆍ투명성 93
2. 조합비 징수와 재정지출의 한계 94
3. 노동조합의 재산 95
Ⅵ. 노동조합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제공 97
1. 노동조합 사무소 97
2. 조합비공제 조항 98
3. 노동조합 전임자 99
제4절 노동조합의 변동 104
Ⅰ. 합병 104
Ⅱ. 분할 104
Ⅲ. 조직변경 105
1. 조직변경의 요건ㆍ절차 105
2. 조직변경의 효과 107
Ⅳ. 해산 108
제5절 조합활동 110
Ⅰ. 조합활동의 의의 110
Ⅱ. 조합활동의 정당성 110
1. 조합활동의 주체와 정당성 110
2. 조합활동의 목적과 정당성 111
3. 조합활동의 방법과 정당성 112

제2장 단체교섭 _117

제1절 단체교섭의 의의 117
Ⅰ. 단체교섭의 방식 117
Ⅱ. 단체교섭의 개념 118
Ⅲ. 단체교섭의 기능과 법적 보호 119
제2절 단체교섭의 주체 120
Ⅰ. 단체교섭의 당사자 120
1. 근로자측 교섭당사자 120
2. 사업 내 복수노동조합과 교섭창구 단일화 122
3. 사용자측 교섭당사자 128
Ⅱ. 단체교섭의 담당자 130
1. 본래의 교섭담당자 130
2. 수임자 133
제3절 단체교섭의 대상 135
Ⅰ. 교섭대상의 의의와 범위 135
1. 교섭대상의 의의 135
2. 교섭대상의 일반적 범위 136
Ⅱ. 교섭대상에 관한 쟁점 138
1. 특정 근로자 개인에 관한 사항 138
2. 집단적 노동관계에 관한 사항 138
3. 권리분쟁사항 140
4. 경영사항 141
5. 인사사항 143
제4절 단체교섭의 방법 145
Ⅰ. 성실교섭 의무 145
1. 법적 근거 145
2. 성실교섭 의무의 내용 145
Ⅱ. 단체교섭의 절차와 태양 147

제3장 단체협약 _148

제1절 단체협약의 의의와 성립 148
Ⅰ. 단체협약의 의의 148
1. 단체협약의 기능 148
2. 단체협약의 법적 취급 148
3. 단체협약의 법적 성질 149
Ⅱ. 단체협약의 성립 152
1. 당사자 사이의 교섭상 합의 152
2. 합의 내용의 문서화 153
3. 체결 전후의 절차 154
제2절 단체협약의 효력 156
Ⅰ. 규범적 효력 156
1. 규범적 효력의 내용 156
2. 규범적 부분 158
3. 단체협약보다 유리한 근로계약 등의 효력 159
4. 근로조건 불이익변경과 규범적 효력 160
Ⅱ. 채무적 효력 161
1. 이행의무 161
2. 평화의무 165
3. 채무적 부분 168
Ⅲ. 단체협약의 문제 조항 169
1. 인사절차 조항 169
2. 정리해고제한 조항 172
3. 쟁의행위 관련 조항 173
제3절 단체협약의 적용 175
Ⅰ. 단체협약의 본래적 적용범위 175
Ⅱ. 단체협약의 일반적 구속력 176
1. 사업장단위 일반적 구속력 176
2. 지역단위 일반적 구속력 181
제4절 단체협약의 실효 185
Ⅰ. 단체협약의 실효 사유 185
1. 유효기간의 만료 185
2. 단체협약의 해지 187
3. 그 밖의 실효 사유 188
Ⅱ. 단체협약 실효 후의 근로조건 189

제4장 노동쟁의의 調整 _192

Ⅰ. 쟁의조정의 의의 192
1. 쟁의조정의 유형 192
2. 쟁의조정제도의 기초개념 193
3. 쟁의조정의 기본원칙 196
Ⅱ. 공적 調整의 절차 198
1. 調停 198
2. 조정전지원 및 사후조정 202
3. 중재 202
4. 긴급조정 206
Ⅲ. 사적 조정ㆍ중재 207

제5장 쟁의행위 _209

제1절 쟁의행위의 개념 209
Ⅰ. 광의ㆍ협의의 쟁의행위 209
1. 광의의 쟁의행위 209
2. 협의의 쟁의행위 210
Ⅱ. 준법투쟁 213
1. 준법투쟁의 의의 213
2. 준법투쟁과 쟁의행위 213
제2절 쟁의행위에 대한 노동조합법의 규율 217
Ⅰ. 쟁의행위 보호법규 217
1. 정당한 쟁의행위의 보호 217
2. 쟁의 기간에 대한 보호 219
Ⅱ. 쟁의행위 제한법규 221
1. 쟁의행위의 기본적 제한 221
2. 주체에 따른 제한 222
3. 목적에 따른 제한 223
4. 방법에 따른 제한 224
5. 절차에 따른 제한 232
제3절 쟁의행위의 정당성 237
Ⅰ. 정당성의 의의 237
Ⅱ. 쟁의행위의 주체와 정당성 238
Ⅲ. 쟁의행위의 목적과 정당성 240
1. 정치파업 240
2. 동정파업 242
3. 교섭대상과 정당한 쟁의목적 243
4. 쟁의목적에 관한 그 밖의 문제 245
Ⅳ. 쟁의행위의 시기ㆍ절차와 정당성 246
1. 쟁의행위의 시기와 단체교섭 246
2. 노동조합법상 절차 규정의 위반 247
Ⅴ. 쟁의행위의 방법과 정당성 248
1. 소극적 방법 249
2. 공정성의 원칙 250
3. 재산권과의 균형 250
4. 인신의 자유ㆍ안전의 보호 252
제4절 위법한 쟁의행위와 책임 귀속 254
Ⅰ. 손해배상 책임 254
1. 단체책임 254
2. 개인책임 254
3. 단체책임과 개인책임의 관계 256
Ⅱ. 징계책임 257
Ⅲ. 형사책임 259
제5절 쟁의행위와 근로계약관계 260
Ⅰ. 쟁의행위 참가자의 근로계약관계 260
1. 파업 참가자의 임금 260
2. 태업 참가자의 임금 263
3. 쟁의행위 종료와 직장복귀 264
4. 파업 기간과 출근율 265
Ⅱ. 근로희망자의 근로계약관계 265
1. 근로희망자의 임금 265
2. 근로희망자와 휴업수당 266
제6절 직장폐쇄 268
Ⅰ. 직장폐쇄의 의의 268
1. 직장폐쇄의 개념 268
2. 직장폐쇄의 인정 근거 268
Ⅱ. 직장폐쇄의 정당성의 한계 269
1. 대항성 270
2. 방어성 270
Ⅲ. 정당한 직장폐쇄의 효과 273
1. 임금지급 의무의 면제 273
2. 직장점거의 배제 274

제6장 부당노동행위제도 _276

제1절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 276
Ⅰ. 구제제도와 처벌제도 276
Ⅱ. 우리 제도의 특색 277
Ⅲ. 제도의 목적 278
제2절 부당노동행위의 성립요건 279
Ⅰ. 부당노동행위의 주체ㆍ객체 및 유형 279
1. 부당노동행위의 주체 279
2. 부당노동행위의 객체 282
3. 부당노동행위의 유형 282
Ⅱ. 불이익취급 284
1. 근로자의 정당한 단결활동 등 284
2. 사용자의 불이익처분 287
3. 이유로 하는 것 288
Ⅲ. 반조합계약 291
1. 단결방해의 반조합계약 291
2. 단결강제의 반조합계약과 유니언숍 292
Ⅳ. 단체교섭거부 293
Ⅴ. 지배ㆍ개입 294
1. 지배ㆍ개입 일반 294
2. 운영비원조 296
3. 반조합적 발언과 지배ㆍ개입 298
4. 시설관리권 행사와 지배ㆍ개입 300
5. 특수한 형태의 지배ㆍ개입 300
제3절 부당노동행위의 행정적 구제 303
Ⅰ. 초심의 절차 303
1. 구제신청 및 당사자 303
2. 조사 305
3. 심문 306
4. 판정 308
5. 판정 이외의 사건 종결 314
Ⅱ. 재심의 절차 314
1. 재심의 신청 314
2. 재심의 판정 315
3. 그 밖의 재심 절차 316
Ⅲ. 행정소송 317
1. 행정소송의 제기 317
2. 이행명령 317
3. 본안 심리 319
4. 판결의 종류와 효력 321
제4절 부당노동행위의 형사제재와 민사구제 323
Ⅰ. 부당노동행위의 형사제재 323
Ⅱ. 부당노동행위의 민사구제 324
1. 민사구제의 법적 근거 324
2. 민사구제의 독자성 325
3. 단체교섭거부와 민사구제 326

제7장 교원ㆍ공무원의 단결활동 _328

Ⅰ. 교원 329
1. 노동조합의 조직과 운영 329
2. 단체교섭과 단체협약 330
3. 노동쟁의 調整과 쟁의행위 332
Ⅱ. 공무원 332
1. 노동조합의 조직과 운영 333
2. 단체교섭과 단체협약 334
3. 노동쟁의 調整과 쟁의행위 336

제3편 개별적 노동관계법

제1장 근로기준법 _339

Ⅰ. 노동관계의 특성과 근로기준법 339
1. 노동관계의 특성 339
2. 노동보호법과 근로기준법 340
Ⅱ. 근로기준법의 적용 340
1. 적용범위 340
2. 적용 제외 342
3. 영세사업장의 부분적 적용 343
4. 적용대상으로서의 근로자와 사용자 344
Ⅲ. 근로기준법의 실효성 확보 346
1. 근로계약에 대한 효력 346
2. 벌칙 347
3. 근로감독관 347
4. 감독행정에 관련된 사용자의 의무 348

제2장 노동관계 규율의 기초 _351

제1절 근로계약 351
Ⅰ. 근로계약의 의의 351
Ⅱ. 근로계약 당사자의 권리ㆍ의무 352
1. 근로계약상의 주된 의무 352
2. 근로계약상의 부수적 의무 354
3. 근로자의 취업 청구권 357
제2절 취업규칙 359
Ⅰ. 취업규칙의 의의와 법적 성질 359
1. 취업규칙의 의의 359
2. 취업규칙의 법적 성질 359
Ⅱ. 취업규칙의 작성ㆍ변경 362
1. 작성 362
2. 의견청취 363
3. 불이익변경 365
4. 신고 371
5. 감급의 제한 371
Ⅲ. 취업규칙의 효력 372
1. 근로계약에 대한 효력 372
2. 취업규칙의 주지와 효력 372
3. 법령ㆍ단체협약 위반의 취업규칙 373
제3절 노동관계의 기본원칙 375
Ⅰ. 근로조건 대등결정의 원칙 375
Ⅱ. 평등대우의 원칙 376
1. 성차별 금지 377
2. 국적 등에 따른 차별 금지 381
Ⅲ. 공민권 행사 보장의 원칙 382
Ⅳ. 인격 존중의 원칙 384
1. 강제근로의 금지 384
2. 폭행의 금지 384
3. 기숙사 생활의 보호 384
4. 성희롱의 방지 385
Ⅴ. 취업 개입 금지의 원칙 388
1. 중간착취의 배제 388
2. 기피 명부의 금지 389

제3장 노동관계의 성립 _390

Ⅰ. 채용의 자유 390
1. 채용 준비 단계 390
2. 채용 마무리 단계 391
Ⅱ. 근로계약 체결에 따르는 사용자의 의무 392
1. 근로조건의 명시 392
2. 위약금 예정의 금지 395
3. 강제저축의 금지 396
Ⅲ. 채용내정 397
1. 채용내정의 의의 397
2. 채용내정의 취소 398
Ⅳ. 시용 399
1. 시용의 의의 399
2. 본채용의 거절과 시용기간 경과 401

제4장 노동관계의 전개 _403

제1절 임금 403
Ⅰ. 임금의 의의 403
1. 임금의 개념 403
2. 평균임금 406
3. 통상임금 408
Ⅱ. 임금 수준의 보호 413
1. 최저임금 413
2. 휴업수당 416
3. 성과급근로자의 보장급 419
Ⅲ. 임금의 지급 420
1. 전차금 상계의 금지 420
2. 임금 지급의 방법 421
3. 비상시의 선지급 426
4. 도급사업 근로자의 임금 보호 426
5. 임금채권의 시효 429
제2절 근로시간과 휴식 430
Ⅰ. 법정근로시간 430
1. 일반 근로자의 법정근로시간 430
2. 연소자의 법정근로시간 431
3. 고기압 작업 종사자의 법정근로시간 431
Ⅱ. 법정근로시간의 유연화제도 432
1. 탄력적 근로시간제 432
2. 선택적 근로시간제 437
Ⅲ. 연장근로 440
1. 합의연장 440
2. 응급연장 443
3. 특례연장 445
Ⅳ. 근로시간의 산정 446
1. 기본 원칙 446
2. 외근 간주시간제 449
3. 재량근로 간주시간제 451
Ⅴ. 휴게시간 및 유급주휴일 452
1. 휴게시간 452
2. 유급주휴일 454
Ⅵ. 가산임금 457
1. 지급 대상 457
2. 가산임금의 지급 및 보상휴가 459
3. 포괄임금제 460
Ⅶ. 유급연차휴가 461
1. 휴가권의 발생 462
2. 휴가의 시기 466
3. 휴가의 사용 469
4. 휴가의 대체ㆍ소멸ㆍ사용촉진 471
Ⅷ. 근로시간 규정의 적용 제외 474
1. 대상 근로자 474
2. 적용 제외 규정의 범위 476
제3절 안전과 보건 477
Ⅰ. 산업안전보건법 477
Ⅱ. 안전ㆍ보건 관리체제 477
Ⅲ. 유해ㆍ위험 예방조치 478
Ⅳ. 근로자의 보건관리 479
제4절 재해보상 481
Ⅰ. 재해보상제도의 의의 481
1. 근로기준법상의 재해보상 481
2. 산재보험법 481
3. 산재보험법과 근로기준법상의 재해보상 482
Ⅱ. 업무상 재해 483
1. 업무상 재해의 개념 484
2. 업무상 재해의 개별적 판단 485
Ⅲ. 재해보상의 종류와 내용 492
1. 요양급여ㆍ간병급여ㆍ요양보상 492
2. 휴업급여ㆍ상병보상연금ㆍ휴업보상ㆍ일시보상 493
3. 장해급여ㆍ직업재활급여ㆍ장해보상 495
4. 유족급여ㆍ유족보상 496
5. 장의비 498
Ⅳ. 재해보상의 실시 499
1. 재해보상의 절차 499
2. 재해보상에 대한 이의 절차 500
3. 재해보상 권리의 보호 501
Ⅴ. 재해보상과 손해배상 502
1. 사용자의 고의ㆍ과실에 따른 재해 503
2. 제3자의 고의ㆍ과실에 따른 재해 505
제5절 이동인사ㆍ휴직ㆍ징계 507
Ⅰ. 전직 507
1. 전직의 의의 507
2. 전직의 제한 508
Ⅱ. 전출과 전적 511
1. 전출ㆍ전적의 의의 511
2. 전출ㆍ전적의 제한 511
3. 전출ㆍ전적 후의 노동관계 513
Ⅲ. 휴직과 직위해제 514
1. 휴직 514
2. 직위해제 517
Ⅳ. 징계 519
1. 징계의 의의 519
2. 징계의 제한 520
제6절 사업주변경과 노동관계 529
Ⅰ. 사업주변경과 노동관계의 승계 529
1. 사업의 합병과 분할 529
2. 사업의 양도 530
Ⅱ. 노동관계 승계의 효과 533
1. 개별적 노동관계 533
2. 집단적 노동관계 535

제5장 노동관계의 종료 _536

제1절 해고 536
Ⅰ.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의 금지 537
1. 정당한 해고 사유의 유형 538
2. 취업규칙의 해고 사유 541
Ⅱ. 정리해고의 제한 542
1. 정리해고 제한의 의의 542
2. 정리해고의 요건 543
3. 그 밖의 제한과 사후조치 550
Ⅲ. 해고 시기의 제한 550
1. 해고 금지 기간 550
2. 해고 시기 제한의 예외 552
Ⅳ. 해고 절차의 제한 553
1. 해고의 예고 553
2. 해고의 서면 통지 556
제2절 해고 이외의 노동관계 종료사유 559
Ⅰ. 사직 및 합의해지 559
1. 사직 통고와 합의해지 청약 559
2. 사직원의 효력 발생 560
Ⅱ. 계약 기간 만료 및 정년 도달 562
1. 계약 기간의 만료 562
2. 정년의 도달 565
Ⅲ. 당사자의 소멸 567
제3절 노동관계 종료에 따른 법률관계 569
Ⅰ. 퇴직급여 569
1. 퇴직급여법 569
2. 퇴직급여제도의 설정ㆍ변경 570
3. 퇴직금제도 572
4. 퇴직연금제도 579
Ⅱ. 퇴직에 따른 금품 청산 582
1. 청산 기한 582
2. 특별지연이자 583
Ⅲ. 임금 청산의 특례 584
1. 임금채권의 우선변제 584
2. 사회보험 방식의 청산 587

제6장 부당해고등의 구제 _589

Ⅰ. 노동위원회를 통한 행정적 구제 589
1. 구제신청 589
2. 조사와 심문 590
3. 판정 590
4. 소급임금과 중간수입 591
5. 구제명령 등의 확정 및 효력 594
Ⅱ. 사법적 구제 595

제7장 연소자와 여성 _598

Ⅰ. 연소자의 보호 598
1. 근로계약 체결에 대한 보호 598
2. 업무에 대한 보호 600
3. 근로시간에 대한 보호 601
Ⅱ. 여성의 보호 601
1. 업무에 대한 보호 601
2. 근로시간에 대한 보호 602
3. 생리휴가 605
4. 출산휴가와 유사산휴가 605
Ⅲ. 일과 가정의 양립 지원 609
1. 육아휴직 609
2. 육아기 단축근무 610
3. 배우자 출산휴가 612
4. 난임치료휴가 613
5. 가족돌봄휴직 613

제8장 비정규근로자 _614

Ⅰ. 기간제근로자 614
1. 기간제법 614
2. 기간제근로자의 사용 기간 615
3. 차별의 금지 617
4. 그 밖의 보호 619
5. 기간제 근로계약의 종료 620
Ⅱ. 단시간근로자 621
1. 단시간근로자와 적용 법령 621
2. 근로기준법 적용의 특례 621
3. 기간제법에 따른 특별 보호 624
Ⅲ. 사내도급근로자 626
Ⅳ. 파견근로자 627
1. 적용 법률 627
2. 근로자파견의 개념 627
3. 파견의 규제 629
4. 파견근로자의 지위 634
Ⅴ. 비정규근로자에 대한 차별의 시정 636
1. 시정신청 637
2. 심사와 조정ㆍ중재 637
3. 판정 638
4. 절차의 실효성 제고 640

제4편 노동법의 그 밖의 부문

제1장 노동위원회제도 _645

Ⅰ. 노동위원회제도의 의의 645
Ⅱ. 노동위원회의 종류와 관할 646
1. 위원회의 종류 646
2. 위원회의 업무와 관할 646
Ⅲ. 노동위원회의 조직 647
1. 노동위원회 위원 647
2. 위원장ㆍ상임위원ㆍ조사관 649
Ⅳ. 노동위원회의 업무 처리 649
1. 전원회의와 부문별 위원회 649
2. 위원회의 사건 처리 651
3. 재심과 행정소송 653

제2장 노사협의제도 _654

Ⅰ. 노사협의제도의 의의 654
1. 제도의 성립 과정과 성격 654
2. 단체교섭과 노사협의 655
Ⅱ. 노사협의회의 설치와 구성 656
1. 노사협의회의 설치 656
2. 노사협의회의 구성 657
Ⅲ. 노사협의회의 임무와 운영 658
1. 노사협의회의 임무 658
2. 노사협의회의 운영 660
3. 고충처리 662

제3장 고용증진제도 _664

Ⅰ. 직업안정법 664
1. 직업소개와 직업정보제공 664
2. 근로자 모집 및 근로자공급 사업 666
Ⅱ. 고용보험법과 실업급여 667
1. 고용보험법 667
2. 실업급여 668
Ⅲ. 외국인고용법 672
1.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672
2. 외국인근로자의 지위 673

사항색인 675
판례색인 684

인용약어

저 서
김유성, 노동법 Ⅰ, 법문사, 2005 김유성 Ⅰ
김유성, 노동법 Ⅱ, 법문사, 2001 김유성 Ⅱ
김치선, 노동법강의, 박영사, 1994 김치선
김형배, 노동법, 박영사, 2010 김형배
김형배, 근로기준법, 박영사, 1999 김형배, 기준
박상필, 한국노동법, 대왕사, 1993 박상필
박홍규, 노동법론(1) 고용법ㆍ근로조건법, 삼영사, 2002 박홍규(1)
박홍규, 노동법론(2) 노동단체법, 삼영사, 2002 박홍규(2)
심태식, 노동법개론, 법문사, 1989 심태식
이병태, 노동법, 현암사, 2001 이병태
이상윤, 노동법, 법문사, 2003 이상윤
임종률, 쟁의행위와 형사책임, 경문사, 1982 임종률, 쟁의
하갑래, 근로기준법, (주)중앙경제, 2011 하갑래, 근기
菅野和夫, 勞?法, 弘文堂, 2008 菅野和夫
下井隆史, 勞使關係法, 有斐閣, 1995 下井隆史

법 령
고용보험법 고보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공무원노조법’으로 약칭) 공노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교원노조법’으로 약칭) 교조
근로기준법 근기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근로자참여법’으로 약칭) 근참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퇴직급여법’으로 약칭) 퇴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기간제법’으로 약칭) 기간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남녀고용평등법’으로 약칭) 남녀
노동위원회법 노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동조합법’으로 약칭) 노조
산업안전보건법 산안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산재보험법’으로 약칭) 산재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외국인고용법’으로 약칭) 외고
임금채권보장법 임채
직업안정법 직안
최저임금법 최임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파견법’으로 약칭) 파견

시행령(대통령령) 영
시행규칙(고용노동부령) 칙
노동위원회규칙 노위칙

*각 법률의 약칭은 최대한 법제처가 부여한 것에 따름
*법령의 내용은 2018. 1. 31. 현재 공포된 법령에 따름

판 례
헌법재판소 헌재
대법원 대법
고등법원 고법
지방법원 지법
민사지방법원 민지법
중앙지방법원 중지법
행정법원 행법
전원합의체 (전합)

*판결과 결정의 구분은 생략
*판례 인용은 가급적 헌법재판소(http://www.ccourt.go.kr), 대법원 종합법률정보(http://glaw.scourt.go.kr), 한국노동연구원(http://www.kli.re.kr), 중앙경제(http://www.elabor.co.kr)의 각 홈페이지와 한국노 동법학회의 학회지 ?노동법학?, 한국노동연구원의 간행물 ?노동리뷰?에 수록된 것으로 한정.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