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사의 찬미와 함께 난파하다 (윤심덕과 김우진)
사의 찬미와 함께 난파하다 (윤심덕과 김우진)
저자 : 유민영
출판사 : 푸른사상
출판년 : 2021
ISBN : 9791130817811

책소개

한국 최초의 소프라노 윤심덕과 근대 연극의 선구자 김우진의 열정적인 삶과 비극적인 사랑을 재조명한다. 예술 조선을 꿈꾸며 불꽃처럼 타오르다 시대의 한계에 부딪혀 안타까운 선택을 한 두 선각자의 인생을 추적하며 그들의 영혼을 위무한다.



저자는 식민지 치하라는 암울한 시대, 새로운 정신을 접한 근대 지식인들과 낡은 전통 윤리의 충돌, 그 속에서 개화기의 신문화 운동에 앞장섰던 두 선각자의 비극적인 사랑과 삶의 여로를 추적한다. 유족들이 증언한 새로운 사실과 미공개 사진이 수록되어 더욱 주목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1926년, 개화기 신여성을 대표하는 성악가 윤심덕과 청년 문사 김우진은 현해탄 정사라는 돌발적인 행적으로 세간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양악의 불모지였던 조선에서 최초의 소프라노 가수로 활동한 윤심덕의 연인이 유부남이자 사대부집 장남이었음이 알려지고 게다가 동반 자살로 끝난 그들의 비극이 당시 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켰던 것이다. 저자는 식민지 치하라는 암울한 시대, 새로운 정신을 접한 근대 지식인들과 낡은 전통 윤리의 충돌, 그 속에서 개화기의 신문화 운동에 앞장섰던 두 선각자의 비극적인 사랑과 삶의 여로를 추적한다. 유족들이 증언한 새로운 사실과 미공개 사진이 수록되어 더욱 주목된다.
근대적 사실주의 문예가 겨우 실험되던 시절, 표현주의 극을 처음 시도한 김우진은 당시 촉망받던 극작가였다. 어려서부터 부친의 엄격한 유교 교육을 받았기에 봉건체제와 새로운 서구사상 사이에서 고뇌하기도 했다. 한편 눈에 띄는 재능을 인정받아 관비로 일본 유학을 다녀온 윤심덕은 한 시대를 풍미한 스타였지만, 여자라는 이유로 근거 없는 모욕과 추문에 시달리기도 했다. 더구나 유부남이었던 극작가 김우진과 사랑에 빠지면서 세상의 비난과 질시를 한몸에 받았다.
두 남녀의 비극적인 사랑은 많은 시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많은 관심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인습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뜻을 펼쳐 나가고자 했던 그들이었지만, 결국 시대에 잠식되어 예술적 혼을 실현할 수 없었다. 최초의 소프라노 가수인 윤심덕이 세상을 떠남으로써 양악의 발전이 지연되었고, 서구 연극을 우리나라에 수용하고자 했던 김우진이 사라짐으로써 신극 발전이 주춤하였기 때문이다. 이 책은 시대를 앞장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고 조선의 예술을 일으키고자 불꽃처럼 타올랐지만 결국 난파하고 만 윤심덕과 김우진의 삶을 재조명함으로써 그들의 영혼을 위무한다.

[머리말]
필자가 김방한 교수(김우진의 아들)가 가져온 곰팡이가 잔뜩 슨 원고 뭉치를 털어 선구적인 연극인 김우진에 관해서 처음 논문을 쓴 것이 1971년이었으므로(『한양대논문집』) 벌써 50년이라는 긴 시간이 흘렀다. 그런데 김우진을 연구하면서 그와 함께 자살한 선구적 음악가 윤심덕을 알게 된 것도 실은 그때였다. 그런데 김우진을 연구하면서 윤심덕 또한 우리나라 근대 음악사의 초두를 장식할 만큼 뛰어난 활동을 한 인물이며 그녀야말로 반드시 다루고 넘어가야 한다는 생각을 굳히게 되었다.
문제는 연극학자로서 음악가를 본격적으로 연구한다는 것이 마음에 내키는 일은 아니라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그녀에 대한 연구를 저버릴 수가 없었던 것은 그녀의 생사가 김우진의 생사와 많이 겹친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따라서 필자는 차제에 김우진과 윤심덕을 함께 다룬 책을 구상하게 되었는데, 그 모델은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프랑스 소설가 르클레지오의 역저 『프리다 칼로와 디에고 리베라』(다빈치, 2001)였다. 읽은 분들은 알겠지만, 그 책은 현대 멕시코의 대표적 여류화가 프리다 칼로의 파란만장한 삶과 그에 절대적 책임이 있는 당대의 화가 디에고 리베라를 연결시켜 그들의 슬픈 여정을 담담하게 그려낸 명저다.
물론 윤심덕이 프리다 칼로와 동시대에 살았지만 조국이 달랐고, 전자가 음악가였던 데 반해 후자는 화가였으며, 전자의 동반자가 극작가였다면 후자의 반려자는 화가였다. 이들이 더 달랐던 점은 전자가 젊은 나이에 자살함으로써 뜻을 다 펴지 못했던 데 반해 후자는 병고 속에서도 작품 활동만은 충분히 했을 뿐만 아니라 천수마저 어느 정도 다 누렸다는 사실이라 하겠다.
더욱이 윤심덕은 연인 김우진과 불미스럽게 생각되는 정사(情死)라는 죽음의 방식을 택함으로써 세간의 부정적 오해와 의문이 오늘날까지도 가시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로 인하여 개화기에 누구보다도 어렵게 살다 간 두 선각자가 사후에도 불운한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그들의 진정한 삶의 행로를 추적하면서 두 슬픈 영혼을 위무해주고 싶었다. 그렇기 때문에 필자는 솔직히 졸저를 통해서 독자들로 하여금 궁극적으로 위대한 ‘예술 조선’을 꿈꾸면서 삶다운 삶을 추구하다가 좌절한 그들의 참모습을 알게 함으로써 세간의 오해가 어느 정도라도 해소되었으면 하는 생각이 간절하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 책머리에 : 선구적 예술인 김우진과 윤심덕



프롤로그



1

윤심덕의 어린 시절

짧은 교사 생활과 일본 유학

동우회에서의 첫 만남

적극적인 윤심덕과 과묵한 김우진

목포에서 열린 가족음악회



2

섬세한 문학청년 김우진

운명의 이끌림

젊은 예술가의 지적 여정

악단의 신데렐라

가정이라는 이름의 감옥

사랑은 최후의 도피처

하얼빈의 겨울



3

귀향과 상실

도전과 실패

절망 속에서 꿈꾼 근대극 운동

김우진의 결심

재기를 위한 노력

운명의 일본행



4

투신

그들의 죽음을 바라보는 시선

후일담 세 가지



에필로그



?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