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 (성격 재조명 및 절차 역주)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 (성격 재조명 및 절차 역주)
저자 : 김종명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출판년 : 2018
ISBN : 9791158662912

책소개

고려시대는 한국 역사상 불교와 불교의례가 가장 성행한 시대였고, 중국과 일본에 비해서도 유례가 없을 정도로 다양한 종류의 불교의례를 여러 차례, 대규모로 개최했다. 이 책은 고려의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의 성격을 재조명하고, 『고려사(高麗史)』 「가례잡의(嘉禮雜儀)」에 기록되어 있는 두 의례의 절차를 역주했다.

이 책에서 다루는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는 고려의 대표적인 정규의례이다. 상원연등회는 정월 보름이나 2월 보름에 연등했던 불교의례이고, 중동팔관회는 고려의 수도 개경에서 중동(仲冬)인 11월 보름에 개최되었던 불교의례이다.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가 왕실의례임을 여러 근거를 바탕으로 역설한 이 책은 고려시대 불교의례에 대한 이해를 확장·심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이 책의 역주 부분 가운데 주석은 용어 설명 중심이었던 선행 역주서와는 달리, 연구사 위주를 지향했다. 이 점은 국내 학계에 새로운 역주의 내용과 방법론을 제시할 것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고려시대는 한국 역사상 불교와 불교의례가 가장 성행한 시대였고, 중국과 일본에 비해서도 유례가 없을 정도로 다양한 종류의 불교의례를 여러 차례, 대규모로 개최했다. 이 책은 고려의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의 성격을 재조명하고, 『고려사(高麗史)』 「가례잡의(嘉禮雜儀)」에 기록되어 있는 두 의례의 절차를 역주했다.

고려의 불교의례는 시기적으로 정규의례와 특설의례로 구분되며, 다시 정규의례는 국가의례 및 개인의례로 구분된다. 이 책에서 다루는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는 고려의 대표적인 정규의례이다. 상원연등회는 정월 보름이나 2월 보름에 연등했던 불교의례이고, 중동팔관회는 고려의 수도 개경에서 중동(仲冬)인 11월 보름에 개최되었던 불교의례이다.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가 왕실의례임을 여러 근거를 바탕으로 역설한 이 책은 고려시대 불교의례에 대한 이해를 확장·심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이 책의 역주 부분 가운데 주석은 용어 설명 중심이었던 선행 역주서와는 달리, 연구사 위주를 지향했다. 이 점은 국내 학계에 새로운 역주의 내용과 방법론을 제시할 것이다.

의례는 인류의 대부분의 행위가 의례화되어 있기 때문에 인류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공통분모일 뿐 아니라 이를 통해 당대인의 삶의 모습을 밝힐 수 있다. 의례 연구는 최근 세계 학계에서 연구 분야로서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그동안 세계 학계에서 불교의례, 특히 한국 불교의례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그러한 가운데 고려시대의 불교의례를 다룬 이 책은 한국학의 세계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고려 불교의례 연구의 이해



제1부 고려 불교의례의 성격 재조명

1장 상원연등회의 성격 재조명

2장 중동팔관회의 성격 재조명

3장 『고려사』 및 「예지」의 한계성

4장 종합 분석

5장 맺음말



제2부 「상원연등회의」와 「중동팔관회의」 역주

1장 「상원연등회의」 역주

2장 「중동팔관회의」 역주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