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방송의 성장과 미국의 대한선전
한국 방송의 성장과 미국의 대한선전
저자 : 장영민
출판사 : 선인
출판년 : 2020
ISBN : 9791160683721

책소개

도서출판 선인의 현대사총서 57번째 책으로, 저자 장영민은 방송을 중심으로 미디어 역사를 연구해 왔으며 미국이 한국을 대상으로 전개한 선전, 심리전, 문화전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전공자이다. 이 책에서는 해방 이후 근 20년 동안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이 대중매체로 성장해 가던 과정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며, 미국 정부의 선전정책 아래 지원과 간섭을 받은 경위를 알아보았다.



미군정 이래 정부의 KBS 관리와 운영 정책을 비롯하여 민영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사 설립, 편성과 프로그램, 방송설비 확충, 라디오 수신기의 생산과 보급, 청취실태, 미국공보원의 방송선전에 이르기까지 방송 전반을 다루었다. 정부는 방송을 반공, 친미, 정권수호, 경제개발에 국민을 동원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았고, 미국은 대한정책 목적을 달성할 선전매체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방송은 물적 기술적 발전과는 달리 언론으로서 독립성과 공공성은 현저히 낮았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1945년부터 약 20년에 걸친 한국 방송의 성장 역사를 살펴본 ‘한국 방송의 성장과 미국의 대한선전’이 도서출판 선인에서 출간되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이 대중매체로 발전해 나가던 경과를 실증적으로 고찰하며, 미국정부가 한국 방송을 지원하고 통제한 사실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그 동안 학계에서 발표된 언론매체의 역사는 주로 신문에 국한되었으며, 1977년 ‘한국방송사’가 간행된 이래 종합적인 방송사 저서는 오랫동안 나오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책은 연구자는 물론 언론계 종사자와 일반인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이미 알려진 사실을 한층 정확하고 자세하게 설명하였고, 전혀 새로운 사실을 다수 찾아내어 제시하였다. 이에 자극을 받아 방송 개시 100주년이 되는 2027년을 앞두고 많은 저술이 쏟아질 것 같다.

저자는 미국의 대한선전정책과 미국의 소리(VOA) 한국어방송 관련 논문을 꾸준히 발표하였으므로, 주제를 깊게 이해한 바탕 위에 사실을 꼼꼼히 실증할 수 있었다. 한국사 전공자로서 실증과 객관을 중시하는 연구방법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미국정부문서를 주로 이용하여 600쪽이 훨씬 넘는 분량으로 한국 방송사의 중요 부분을 집필하였다는 것은 미국의 영향 아래 전개된 우리 현대사의 특질을 잘 보여준다.

모두 6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미군정기부터 1960년대 전반까지 방송사의 중요한 주제를 다룬다. 그중에서 첫 장은 전체 분량의 30%를 차지할 만큼, 미군정의 방송관리를 비롯해서 방송설비, 편성과 프로그램, 청취에 이르기까지 한국 방송의 토대 형성을 자세히 서술하였다. 전쟁이 일어나자, 유엔군사령부 심리전국이 방송주권을 무시하고 KBS를 철저히 통제하며 심리전 방송 네트워크의 하나로 운영하였다는 것은 처음 알았다. 전후에 송신시설 등 방송설비가 확충된 경위와 미국 원조기관의 기술지원을 기술하였고, 언론의 독립성이란 관점에서 국영 KBS의 방송과 민영방송사의 설립을 비판적으로 접근하였다. 최초의 국산 라디오는 금성사가 아니라 천우사가 제작하여 판매하였다는 사실을 미국정부문서로 확실히 밝혔다. 코카드 텔레비전 방송국은 최초 텔레비전 방송이었음에도, 화재로 자체 자료를 거의 남기지 못한 까닭에 알기 어려웠던 설립과 개국, 경영, 방송에 관해서도 적지 않은 분량으로 서술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미국공보원의 보고서를 이용하여 한국 방송을 이용한 미국의 대한선전을 여러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저자가 이 책 전체의 결론을 명시한 부분은 없지만, 해방 후 20년 동안 한국 방송은 물적 기술적으로 발전하였으나, 한국 정부와 미국정부의 방송정책 때문에 언론으로서 독립성과 공공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였다고 보는 것 같다. 이런 성과와 한계는 현재 우리 방송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은 방송사 연구로서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할 수 있다. 앞으로 한국 방송을 통해서 미국의 선전과 문화전파 등이 어떻게 전개되었고, 그 결과와 영향이 무엇인지 사실을 더욱 자세히 밝히고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펴내며





?제1장 미군정기 방송체제의 확립과 운영

1. 머리말

2. 방송 정책과 제도

가. 방송의 군정기구화

나. 방송관리체제의 확립과 운용

다. 방송 통제

라. 호출부호 개정

3. 방송 활동

가. 방송선전정책

나. 편성

다. 프로그램

4. 방송 설비

가. 송신시설의 복구와 강화

나. 정치교육 및 선전 강화 계획에 따른 방송설비 확충

다. 방송 기자재의 보강

5. 방송 청취

가. 라디오 수신기의 보급 실태

나. 전력공급

다. 방송 수용 양상

6. 맺음말





?2장 한국전쟁기 전시방송과 유엔군사령부의 KBS 통제 및 운영

1. 머리말

2. 전쟁 초기 전시방송

가. 전쟁 발발과 전시방송

나. 이승만 대통령의 ‘대전방송’

다. 서울 후퇴 이후 전시방송

3. 유엔군사령부의 KBS 통제

가. 미군의 통제권 장악

나. 한국정부의 통제권 양여

다. 통제권의 행사, 갈등, 회수

4. 전시방송

가. 편성

나. 프로그램

5. 방송설비 확충과 수신기 보급

가. 방송설비 복구와 확충

나. 라디오 수신기의 보급

6. 맺음말





?3장 전후 방송의 발전과 미국의 지원

1. 머리말

2. 방송설비 확충사업과 민영방송사의 탄생

가. 방송설비 확충사업

나. 민영방송사의 탄생

3. 방송 운용 역량의 강화

가. 한미 정부의 협력 증진

나. 기술정보업무개선사업

다. 방송인 도미연수

라. 1959년 제네바 주파수 배정 회의 준비

4. 방송청취조사의 실시

가. 미국공보원의 조사와 원조기관의 후원

나. CBS와 KBS의 청취조사

5. 맺음말





?4장 라디오 수신기의 생산과 보급

1. 머리말

2. 수신기의 보급과 한·미 정부의 정책

가. 수신기 보급의 실태

나. 한국정부의 수신기 보급 정책

다. 미국정부의 수신기 보급 정책

3. 천우사의 수신기 생산

가. 수신기 사업의 개시와 OEC 정책

나. 수신기 생산과 판매

4. 미국 정부기관의 저가 라디오 수신기 프로젝트

가. 프로젝트의 추진

나. 프로젝트의 무산

5. 금성사의 수신기 생산과 보급

가. 수신기 개발과 생산의 초기 단계

나. 수신기 보급의 확대

6. 맺음말





?5장 코카드 텔레비전 방송국의 설립과 방송

1. 머리말

2. 코카드 텔레비전 방송국의 설립과 주체

가. RCA 투자설의 검토

나. 코카드의 방송국 설립

3. 문화적 냉전설과 미국정부의 역할

4. 한국정부의 허가와 그 배경

5. 방송국 경영과 폐국

가. 코카드의 경영과 수상기 보급

나. 대한민간텔레비전방송국(DBC-TV)의 인수와 폐국

6. 텔레비전 방송과 미국 영상물

가. 편성과 프로그램

나. 미국공보원 제공 미국 영상물

7. 맺음말





?6장 한국 방송을 통한 미국공보원의 선전

1. 머리말

2. 미국공보원의 방송 선전 활동

3. 이념의 선전 : 반공과 민주주의

가. 반공

나. 민주주의

4. 정치적 선전 : 미국정부의 정책

5. 경제적 선전 : 원조와 근대화

가. 원조

나. 경제개발과 근대화

6. 문화적 선전 : 미국문화와 영어

가. 교육과 학술

나. 미국 역사와 인물

다. 문학과 연극

라. 음악

마. 영어

7.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