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사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사
저자 : 장세윤
출판사 : 선인
출판년 : 2021
ISBN : 9791160684810

책소개

독립운동이란 식민지 상태로 전락한식민지(준) 피압박 약소민족이 근대적 자주국가 수립과 자립경제 실현을 위해 제국주의 종주국의 지배와 침략상태를 전복하기 위해 노력·투쟁하는 근대의 총체적 민족저항운동을 말한다. 민족해방운동, 민족운동 등의 용어와 개념상의 차이가 있지만, 이 책에서는 일단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했다. 독립운동은 피압박·피지배 약소민족이 현실에서 모순되고 있는 식민지 종주국의 지배와 침략, 수탈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전개하는 다양한 형태의 종속해방운동, 저항운동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모순에 찬 현실을 변혁하기 위한 현실변혁운동으로서의 조직적 무력투쟁은 물론, 여러 가지 사회(주의)운동이나 농민·노동·문화운동 등 다양한 대중운동이나 조직운동의 형태로 전개되기도 한다. 특히 무장투쟁(독립전쟁)은 가장 어려우면서도 가장 효과적인 독립운동의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주로 20세기 전반 중국 동북지역, 즉 ‘만주’로도 알려졌던 지역에서 전개되었던 한인들의 일본제국주의 세력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독립운동을 중요한 고찰 대상으로 삼았다.
중국 동북지역에서 전개된 한인들의 독립운동, 민족(해방)운동은 기본적으로 종속과 굴종에서 벗어나기 위한 자유의 획득과 정의롭고 평등한 사회의 실현, 특히 만민이 평등한 법체계 속에서 여러 민족이 서로 평화롭게 어울려 잘 사는 사회와 체제(공화)를 지향했고, 그러한 이념과 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매우 어려운 투쟁의 과정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런 입장에서 이 책의 제목을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사』라고 정했지만, 부제를 붙인다면 “자유와 정의, 공화를 향한 험난한 여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20세기 전반 ‘파멸의 시대’에 온갖 곤경을 무릅쓰고 자신들의 신념과 새로운 가치체계를 실현하고자 했던 ‘창조적 소수자’들의 고난의 기록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독립운동이란 식민지 상태로 전락한식민지(준) 피압박 약소민족이 근대적 자주국가 수립과 자립경제 실현을 위해 제국주의 종주국의 지배와 침략상태를 전복하기 위해 노력·투쟁하는 근대의 총체적 민족저항운동을 말한다. 민족해방운동, 민족운동 등의 용어와 개념상의 차이가 있지만, 이 책에서는 일단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했다. 독립운동은 피압박·피지배 약소민족이 현실에서 모순되고 있는 식민지 종주국의 지배와 침략, 수탈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전개하는 다양한 형태의 종속해방운동, 저항운동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모순에 찬 현실을 변혁하기 위한 현실변혁운동으로서의 조직적 무력투쟁은 물론, 여러 가지 사회(주의)운동이나 농민·노동·문화운동 등 다양한 대중운동이나 조직운동의 형태로 전개되기도 한다. 특히 무장투쟁(독립전쟁)은 가장 어려우면서도 가장 효과적인 독립운동의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주로 20세기 전반 중국 동북지역, 즉 ‘만주’로도 알려졌던 지역에서 전개되었던 한인들의 일본제국주의 세력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독립운동을 중요한 고찰 대상으로 삼았다.

중국 동북지역에서 전개된 한인들의 독립운동, 민족(해방)운동은 기본적으로 종속과 굴종에서 벗어나기 위한 자유의 획득과 정의롭고 평등한 사회의 실현, 특히 만민이 평등한 법체계 속에서 여러 민족이 서로 평화롭게 어울려 잘 사는 사회와 체제(공화)를 지향했고, 그러한 이념과 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매우 어려운 투쟁의 과정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런 입장에서 이 책의 제목을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사』라고 정했지만, 부제를 붙인다면 “자유와 정의, 공화를 향한 험난한 여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20세기 전반 ‘파멸의 시대’에 온갖 곤경을 무릅쓰고 자신들의 신념과 새로운 가치체계를 실현하고자 했던 ‘창조적 소수자’들의 고난의 기록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내면서



서론 일본의 한국 식민지 통치와 한국인의 대응

1. 일본의 대한제국(한국) 강점과 식민지 지배, 한국인들의 저항

2.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에 대한 평가와 그 의미

3. 독립운동 연구의 의의 및 한국독립운동의 성격

4.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의 특징과 의의

5.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의 시사점과 교훈

6. 한민족 독립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7.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성격과 의의



제1부 중국 동북지역 독립군 기지 개척과 독립군의 형성



제1장 1910년대 남만주 독립군 기지 건설과 신흥무관학교

1. 안동 유림과 신흥무관학교

2. 신민회의 독립군기지 건설과 안동 유림의 남만주 이주

3. 남만주 신흥강습소의 건립과 안동 유림

4. 신흥무관학교에 대한 졸업생·교관·김구·일제의 인식

5. 신흥무관학교와 김대락·이상룡·김동삼의 활동

6. 남만주 독립군 기지 건설과 신흥무관학교의 의미



제2장 1910년대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 세력의 공화주의·공화제 수용 양상

1. ‘공화’의 개념과 공화주의 수용

2. 신민회의 설립과 명망가들의 남만주 이주

3. 1910년대 주요 선언서류의 검토

4. 중국 동북지역 주요 독립운동 단체의 공화주의·공화제 수용 양상

5.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세력의 공화주의 수용과 독립전쟁 전개



제3장 중국 동북지역에서 한인 독립운동 조직·항일 유격대의 형성과 유형

1. 중국 동북 항일무장투쟁의 두 흐름-독립군과 항일유격대

2. ‘독립군’의 개념

3. 한국의 일반적 ‘독립군’ 개념과 용례

4. 1910~20년대 초 중국 동북지역 독립군의 형성

5. 중국 동북지역에서 당·정·군 체제 성립과 ‘당군’으로서의 독립군

6. 독립군의 1930년대 초 한·중 연대 실현과 공동 투쟁

7. 중국공산당 만주조직 산하 항일무장투쟁 세력의 형성과 발전

8. 1910~30년대 독립군·항일유격대의 형성과 유형



제2부 1920년대 초 독립전쟁과 1930년 전후 민족운동 세력의 동향



제1장 「홍범도일지」 재검토를 통해 본 봉오동전투·청산리독립전쟁

1. 만주 독립전쟁과 「홍범도일지」의 중요성

2. 홍범도의 군자금 모집과 독립군 부대의 형성

3. 독립군의 봉오동전투 개관

4. 「홍범도 일지」를 통해 본 봉오동전투

5. 청산리독립전쟁의 개요

6. 「홍범도 일지」를 통해 본 청산리독립전쟁

7. 청산리독립전쟁 전과의 검토

8. 1922년 1월 ‘극동민족대회’에서 보고된 만주 독립군의 활약상

9. 일본군의 패배와 북간도(중국 연변) 일대 초토화 작전

10. 봉오동전투·청산리독립전쟁의 의미와 시사점



제2장 대한민국임시정부대한민국임시정부 직할 참의부 자료의 검토

1. 자료 수집 경위

2. 중국 당안관 자료의 수집과 활용의 문제점

3. 대한민국임시정부대한민국임시정부와 참의부의 관계

4. 자료의 구성과 내용

5. 자료의 성격과 가치, 추후의 과제



제3장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중국 동북(만주)지역 확산과 한인 학생·민족운동 세력의 호응

1. 광주학생독립운동 연구의 필요성

2. 광주학생독립운동의 명칭과 연구현황 개관

3.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개와 전국적 확대

4. 광주학생독립운동에 대한 일제 당국의 인식과 문제점

5.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중국 연변지역(간도) 확산과 한인 학생·단체들의 호응

6.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중국 동북지역 확산과 민족운동 단체들의 호응

7.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중국 동북지역 확산과 그 의의



제4장 만보산사건 전후 시기 한인 민족운동 세력의 동향과 향후 민족운동

1. 문제의 제기

2. 1920년대 후반~30년대 초 중국군벌 정권과 일제의 한인정책

3. 1920년대 후반~30년대 전반 재만한인의 존재 형태

4. 만보산사건 직후 중국(정부)의 대응

5. 만보산사건 직후 한인 사회와 민족운동 세력의 동향

6. 만보산사건의 영향과 의미





제3부 일본의 중국 동북지방 침략과 한·중 연대 공동항전



제1장 일본의 ‘9·18사변(만주사변)’ 도발과 한·중 연대 공동항전(1931~1945)

1. 광복75주년과 대일항전 승전75주년의 시사점

2. 최근 중국 수뇌부의 항일전쟁 인식

3. 일본의 ‘9·18사변’ 도발과 동북의용군의 봉기

4. 조선혁명군의 한·중 연대 공동항전

5. 동북항일연군의 성립과 중국 동북지역 한인들의 활동

6. 김구·윤윤기의 동북항일연군 인식 ·

7. 1930년대 중국 동북지방 한중 연대 공동항전의 의의



제2장 해방 전후시기 만주지역 조선의용군과 동북항일연군의 동향

1. 연구 목적과 의의

2. 조선의용대·화북조선독립동맹·조선의용군의 성립과 활동

3. 동북항일연군의 성립과 한인들의 활동

4. ‘동북항일연군 교도려’의 성립과 활동

5. 해방 직전시기 동북항일연군의 중국공산당 중앙 인식과 종전 대책

6. 동북항일연군·조선의용군의 만주(연변) 진출과 연변 사회

7. 주보중의 ‘연변 조선민족보고’와 한인들의 정착

8. ‘동북항일연군 연변분견대’와 조선의용군 제5지대의 활동

9. 조선의용군과 동북항일연군의 상호인식

10. 1940년대 후반 조선의용군의 확대와 국공내전 참전, 북한 입국

11. 조선의용군·동북항일연군의 위상과 영향



참고문헌

본서 관련 저자 논저목록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