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정상회담으로 본 한중수교 30년
정상회담으로 본 한중수교 30년
저자 : 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
출판사 : 선인
출판년 : 2022
ISBN : 9791160687705

책소개

한중관계는 1992년 수교 이래 비약적으로 발전했고, 상호존중과 호혜에 기반한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그동안 양국은 체제와 제도 그리고 이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공동이익을 추구해왔고, 중국이 그 무렵 수교한 외교관계 중에서 가장 모범적 사례로 일컬어져 왔다. 실제로 한중관계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경제통상무역의 획기적 진전, 인문교류의 확대와 심화 등 성과를 보이며 전방위적이고 다층적으로 발전해 왔다. 이러한 관계발전에는 한중 양국의 국민, 기업인, 지방정부, 그리고 수많은 우호단체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다. 이 중에서도 훌륭한 리더십으로 한중관계 발전의 초석을 닦았던 양국 정상의 회담 성과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지난 시간 개최된 한중 정상회담은 실무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하기 어려웠던 현안을 보다 대승적 관점에서 논의하고 이를 다시금 양국관계 발전의 동력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양국은 오해가 오판을 부르는 상황을 극복할 수 있었다.
한중수교 이후 2022년 말까지 한국과 중국의 정상회담은 단독 정상회담과 다양한 다자무대를 포함해 모두 85차례나 열렸고, 양국관계는 ‘선린우호협력 관계’에서 ‘21세기를 향한 협력동반자 관계’, ‘전면적 협력동반자 관계’,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 점차 격상되어왔다. 이 노정에서 양국 정상이 차이를 두려워하지 않고 공동의 이익을 위해 노력한 결과, 정상회담은 한중관계 발전의 속도와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되었다. 그리고 각 회담마다 발표된 공동성명과 공동언론발표문 및 부속문서들에는 양국관계 발전을 위한 노력의 흔적들이 고스란히 배어 있다. 이 문건들은 현재에 이르러 양국관계를 공식적으로 해설할 수 있는 중요한 지침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책을 펴내며 中)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중관계는 1992년 수교 이래 비약적으로 발전했고, 상호존중과 호혜에 기반한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그동안 양국은 체제와 제도 그리고 이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공동이익을 추구해왔고, 중국이 그 무렵 수교한 외교관계 중에서 가장 모범적 사례로 일컬어져 왔다. 실제로 한중관계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경제통상무역의 획기적 진전, 인문교류의 확대와 심화 등 성과를 보이며 전방위적이고 다층적으로 발전해 왔다. 이러한 관계발전에는 한중 양국의 국민, 기업인, 지방정부, 그리고 수많은 우호단체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다. 이 중에서도 훌륭한 리더십으로 한중관계 발전의 초석을 닦았던 양국 정상의 회담 성과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지난 시간 개최된 한중 정상회담은 실무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하기 어려웠던 현안을 보다 대승적 관점에서 논의하고 이를 다시금 양국관계 발전의 동력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양국은 오해가 오판을 부르는 상황을 극복할 수 있었다.

한중수교 이후 2022년 말까지 한국과 중국의 정상회담은 단독 정상회담과 다양한 다자무대를 포함해 모두 85차례나 열렸고, 양국관계는 ‘선린우호협력 관계’에서 ‘21세기를 향한 협력동반자 관계’, ‘전면적 협력동반자 관계’,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 점차 격상되어왔다. 이 노정에서 양국 정상이 차이를 두려워하지 않고 공동의 이익을 위해 노력한 결과, 정상회담은 한중관계 발전의 속도와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되었다. 그리고 각 회담마다 발표된 공동성명과 공동언론발표문 및 부속문서들에는 양국관계 발전을 위한 노력의 흔적들이 고스란히 배어 있다. 이 문건들은 현재에 이르러 양국관계를 공식적으로 해설할 수 있는 중요한 지침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책을 펴내며 中)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펴내며

총론 한중수교 30년과 한중 정상회담 _이희옥
1. 한중수교 30년과 한중 정상회담의 의미
2. 한중 정상회담의 역사
3. 한중 정상회담과 한중관계의 성과
4. 미래 한중관계 발전을 위한 정상회담의 과제

1장 노태우 정부 시기(1988~1992)의 한중 정상회담 _이동률
1. 노태우 정부 시기 한중관계 개괄
2. 노태우 정부 시기 한중관계의 주요 쟁점 및 사안
3. 한중수교 협상 과정
4. 노태우 정부 시기 개최된 정상회담 : 1992년 9월 베이징 회담
5. 소결 : 한중수교라는 역사적 서막을 올리다

2장 김영삼 정부 시기(1993~1997)의 한중 정상회담 _이율빈
1. 김영삼 정부 시기 한중관계 개괄
2. 김영삼 정부 시기 한중관계의 주요 쟁점 및 사안
3. 김영삼 정부 시기 개최된 정상회담 (1) : 1994년 3월 베이징 회담
4. 김영삼 정부 시기 개최된 정상회담 (2) : 1995년 11월 서울 회담
5. 소결 : 본격적인 한중 협력관계의 출발

3장 김대중 정부 시기(1998~2002)의 한중 정상회담 _신종호
1. 김대중 정부 시기 한중관계 개괄
2. 김대중 정부 시기 한중관계의 주요 쟁점 및 사안
3. 김대중 정부 시기 개최된 정상회담 : 1998년 11월 베이징 회담
4. 소결 : 21세기를 향한 협력동반자 관계

4장 노무현 정부 시기(2003~2007)의 한중 정상회담 _양갑용
1. 노무현 정부 시기 한중관계 개괄
2. 노무현 정부 시기 한중관계의 주요 쟁점 및 사안
3. 노무현 정부 시기 정상회담 (1) : 2003년 7월 베이징 회담
4. 노무현 정부 시기 정상회담 (2) : 2005년 11월 서울 회담
5. 소결 : ‘전면적 협력동반자 관계’의 수립과 발전

5장 이명박 정부 시기(2008~2012)의 한중 정상회담 _김한권
1. 이명박 정부 시기 한중관계 개괄
2. 이명박 정부 시기 한중관계의 주요 쟁점 및 사안
3. 이명박 정부 시기 개최된 정상회담 (1) : 2008년 5월 베이징 회담
4. 이명박 정부 시기 개최된 정상회담 (2) : 2008년 8월 서울 회담
5. 이명박 정부 시기 개최된 정상회담 (3) : 2012년 1월 베이징 회담
6. 소결 :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수립

6장 박근혜 정부 시기(2013~2017)의 한중 정상회담 _이기현
1. 박근혜 정부 시기 한중관계 개괄
2. 박근혜 정부 시기 한중관계의 주요 쟁점 및 사안
3. 박근혜 정부 시기 개최된 정상회담 (1) : 2013년 6월 베이징 회담
4. 박근혜 정부 시기 개최된 정상회담 (2) : 2014년 7월 서울 회담
5. 소결 : 최상의 우호관계 지향과 사드 이후 노정된 한계

7장 문재인 정부 시기(2017~2022)의 한중 정상회담 _장영희
1. 문재인 정부 시기 한중관계 개괄
2. 문재인 정부 시기 개최된 정상회담 : 2017년 12월 베이징 회담
3. 정상회담에 대한 중국 내 평가
4. 소결 : 한중관계 회복의 디딤돌

[부록] 공동성명 및 공동언론발표문 목록
1.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
2. 김대중 대통령 국빈 방중 계기 한·중 공동성명
3. 노무현 대통령 국빈 방중 계기 한·중 공동성명
4. 후진타오 주석 국빈 방한 계기 한·중 공동성명
5. 이명박 대통령 국빈 방중 계기 한·중 공동성명
6. 후진타오 주석 국빈 방한 계기 한·중 공동성명
7. 박근혜 대통령 국빈 방중 계기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
8. 시진핑 중국 주석 국빈 방한 계기 한·중 공동성명
9. 노태우 대통령 공식 방중 계기 한·중 공동언론발표문
10. 이명박 대통령 국빈 방중 계기 한·중 공동언론발표문
11. 문재인 대통령 국빈 방중 계기 한중 정상회담 언론발표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