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현장의 유아 교사를 위한 유아 교육프로그램
현장의 유아 교사를 위한 유아 교육프로그램
저자 : 비피교육연구소
출판사 : 비피기술거래
출판년 : 2018
ISBN : 9791161821313

책소개

▶ 현장의 유아 교사를 위한 유아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서론



Ⅱ. 프로젝트 접근법

1. 프로젝트 접근법의 개념 및 배경

1) 개념

2) 프로젝트접근법의 배경

2.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적

1) 프로젝트 접근법의 궁극적 목적

2) 프로젝트 접근법의 구체적 목적

3) Katz & Chard의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적

4) Katz & Chard의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적 가치

3.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

1) 단원중심 교육과정과 프로젝트 접근법의 비교

2) Katz & Chard의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

3)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

4) 프로젝트 접근법의 다섯 가지 특성

5) 프로젝트 접근법의 일반적 실천 원리

6) 만 1, 2세 영아반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징

4. 프로젝트 접근법과 교사와 부모의 역할

1) 교사의 역할

2) 프로젝트 수업 시 부모 유의점

5. 프로젝트 접근법의 절차

1) 프로젝트 준비 단계

2) 프로젝트 시작 단계

3) 프로젝트 전개 단계

4)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

6. 우리나라 프로젝트 접근법의 최근 경향



Ⅲ.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1.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배경

2. 레지오 에밀리아 유아교육의 특징

3.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교육과정의 운영

1) 발현적 교육과정

2) 학습 도구로서의 프로젝트

3) 유아들의 수많은 언어

4) 하루의 일과

5) 물리적 환경

6) 지역 사회 중심의 운영과 부모의 참여

4. 교육의 원리

1) 투명성의 원리

2) 순환성의 원리

3) 기록의 원리

5. 물리적 환경구성

1) 피아자

2) 실내정원

3) 삼각거울

4) 편지쓰기 영역

5) 아뜰리에

6) 영유아 센터

7) 공학적인 교수매체

8) 레지오 에밀리아 유치원 환경특징요약

9)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젝트 접근법 적용 사례 ‘사과 프로젝트’



Ⅳ.발도로프 프로그램

1. 발도로프 접근법의 배경

2. 슈타이너의인지학

3. 슈타이너의 유아교육 과정

1) 발도로프 유아교육의 목표

2) 3단계 발달론 (교육의 단계)

3) 기질론

4) 발도로프 프로그램의 운영

5) 발도로프 유아교육과정의 원리

6) 발도로프유치원의교육

7) 발도로프 학교

4. 발도로프 프로그램에의 제언



Ⅴ.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1. 세계시민교육의 개념 및 배경

1)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

2) 세계시민교육의 등장배경

3) 세계시민교육의 개념

2.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3. 세계시민교육의 내용과 현황

1) 세계시민교육의 향후과제

2)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소개

4.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1) 다문화 교육의 개념

2) 유아기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3) 유아기 다문화 교육의 방향

4)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5) 다문화교육의 중요성

6) 다문화교육의 내용

7)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연구

8) 유아 다문화교육에의 제언



Ⅵ. 몬테소리 프로그램

1.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기본개념 및 특성

1)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기본개념

2)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특성

2. 몬테소리프로그램의 목표 및 내용

1)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목표

2)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내용 및 활동방법

3.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교육이론

4. 몬테소리 교육과정

1) 교육목적

2) 교육 내용 : 일상생활, 감각교육, 수학교육, 언어교육, 문화교육

5. 준비된 환경

1) 준비된 환경의 특징

2) 교육방법 99

6. 몬테소리 교사의 역할

1) 영유아 관찰자

2) 환경제공자

3) 촉진자

7. 몬테소리 이론의 비판점

1) 교구 사용 과정에서 자유를 제약하였다

2) 읽기와 쓰기의 학습 과정에서 문제가 야기된다

3) 환상적, 상상적 놀이를 어린이에게서 빼앗았다

4) 어린이들의 사회화에 소홀하였다

5) 어린이의 자기표현을 위한 교구가 부족하다

6) 자기 교육을 위한 실천이 부족하다

8. 유아교육에의 시사점

1) 유아교육 방법은 자발성의 원리에 따라야 한다

2) 유아교육은 유아들에게 적합한 환경을 마련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3) 유아들의 조력자가 되어야 한다

4) 교구의 적용

5)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상호작용

9. 몬테소리 교육의 실제

1) 일상생활 연습

2) 감각교육

3) 언어교육

4) 수학교육

5) 문화교육



Ⅶ.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1. 생태유아교육의 개념

1) 생태유아교육의 의미

2) 생태유아교육과 유아생태교육의 구분

2. 생태유아교육의 본질

1) 아이, 생명의 본질

2) 아이, 삶 그리고 살림의 원리

3) 아이 ? 생명의 살림살이

3. 생태유아교육의 기본체계

1) 기본체계도의 구상

2) 기본체계도로서의 생명나무(生命樹)

4. 생태유아교육의 이념 및 방향

1) 생태유아교육의 이념

2) 생태유아교육의 방향

5. 생태유아교사

1) 생태유아교사의 참모습

2) 생태유아교사의 역할

6. 생태유아교육의 특성

1) 자생적 한국 유아교육

2) 보편적 세계 유아교육

3) 생명위기 극복을 위한 유아교육

4) 삶으로 실천하는 유아교육

5) 연구와 실천이 함께 가는 유아교육

7. 생태유아교육의 실제

1) 생태유아교육과정의 구성체계

2)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요



Ⅷ.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

1. 유아 경제·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배경

1) 경제·소비자교육의 개념

2) 유아 경제·소비자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2.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개요

1) 프로그램 목표

2) 프로그램 내용

3) 경제·소비자교육 개념요소

4) 경제·소비자교육 활동 구성 차원

5) 경제·소비자교육 활동 내용 구성

6) 프로그램 교수학습 방법

3. 유아 경제교육의 내용

4. 유아 경제교육의 교수방법

5. 해외 경제프로그램 사례

6.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및 제언



Ⅸ. 결론



Ⅹ. 참고자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