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사상계, 냉전 근대 한국의 지식장
사상계, 냉전 근대 한국의 지식장
저자 : 김려실
출판사 : 역락
출판년 : 2020
ISBN : 9791162445808

책소개

“동서고금의 사상을 밝히고 바른 세계관 인생관을 확립하여 보려는 기도(企圖)”

『사상계』 는 1950, 60년대의 대표적인 월간 종합잡지이다. 이 잡지의 전신은 문교부 산하 국민사상연구원의 기관지였던 『사상』 (思想)으로, 1952년 여름에 임시수도 부산에서 처음 발행되었다. 이후 『사상』 의 편집자였던 장준하가 인수하여 1953년 4월호부터 『사상계』 (思想界)라는 제호로 발행했다. 전쟁과 빈곤으로 인해 지적인 읽을거리가 부족했던 상황에서 본격적인 종합교양지였던 『사상계』 는 식자층의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계속된 정권의 탄압으로 인해 1960년대 후반부터 발행부수가 급감했고 발행인 장준하가 정계에 진출하며 경영난은 가속화되었다. 1968년에 부완혁이 발행권을 넘겨받아 부활을 모색했으나 1970년 5월호에 김지하의 「오적」(五賊)을 게재한 것을 당국이 문제 삼아 통권 제205호로 정간되었다.
20년의 지령(誌齡)을 기록한 장수한 잡지인 만큼 『사상계』 는 한국 잡지사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자료이지만 한국 지성사의 본령을 알고자 한다면 반드시 살펴보아야할 자료이다.
총목록을 작성하면서 우리는 『사상계』 담론의 추이를 살펴볼 수 있었고, 기존 연구가 놓친 틈새를 발견했으며, 그 시대 지식인들의 사상적 궤적을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추구했던 ‘번역으로서의 근대’에 전율을 느끼기도 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1950~1960년대 한국 지식인들이 분단국가 한국의 근대에 대해 어떤 고민을 했는가?
지금 우리에게는 『사상계』 와 같은 공론장이 존재하는가?

선행 연구가 누누이 지적했다시피 『사상계』 지식인들은 대체로 서구적 근대와 민주주의를 도달해야 할 지향점으로 삼았던 계몽주의자들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냉전 근대(Cold War Modernity) 인식이 균일하지는 않았고 조국근대화를 슬로건으로 삼은 반공 개발주의 독재정권과 맞서면서 그들 내부에도 분화가 일어났다. 따라서 제1부는 『사상계』 지식인들이 선도했던 주요 담론을 다루면서 지면에서 펼쳐진 논쟁도 함께 정리하여 가급적이면 그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드러나게끔 했다.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사상계』 지식인들의 사고와 태도가 분화를 보인 기점은 4월혁명보다도 한일협정 반대운동부터였다. 제2부에서는 『사상계』 의 담론 지형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4·19와 6·3이라는 결정적인 두 사건에 대한 지식인들의 대응을 통해 보여주려고 했다.
제3부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연구가 소홀했던 화보, 연극, SF 문학 등을 조명함으로써 『사상계』 지식인의 냉전 근대 담론이 대중적 표상과 만나는 지점을 탐색했다. 이 책의 독자들은 문예란, 화보, 독자통신 등을 재음미함으로써 『사상계』 가 수용했던 서구의 냉전 문화뿐만 아니라 화해할 수 없는 정치적 현실에 대한 알레고리를 통해 냉전 근대를 극복할 전망을 제시하고자 했음을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냉전 근대와 『사상계』

『사상계, 냉전 근대 한국의 지식장』 이라는 제목에 드러난 바대로 우리의 문제의식은 1950~1960년대 한국 지식인들이 분단국가 한국의 근대에 대해 어떤 고민을 했는지를 읽어내는 것이었다. 선행 연구가 누누이 지적했다시피 『사상계』 지식인들은 대체로 서구적 근대와 민주주의를 도달해야 할 지향점으로 삼았던 계몽주의자들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냉전 근대(Cold War Modernity) 인식이 균일하지는 않았고 조국근대화를 슬로건으로 삼은 반공 개발주의 독재정권과 맞서면서 그들 내부에도 분화가 일어났다. 따라서 제1부는 『사상계』 지식인들이 선도했던 주요 담론을 다루면서 지면에서 펼쳐진 논쟁도 함께 정리하여 가급적이면 그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드러나게끔 했다.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사상계』 지식인들의 사고와 태도가 분화를 보인 기점은 4월혁명보다도 한일협정 반대운동부터였다. 제2부에서는 『사상계』 의 담론 지형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4·19와 6·3이라는 결정적인 두 사건에 대한 지식인들의 대응을 통해 보여주려고 했다. 1950~1960년대의 편집위원회의 구성과 잡지의 지향점을 비교한 다음, 한일협정 반대운동이라는 실천의 영역에서 『사상계』 지식인들이 대학생층과 연대하여 대항 담론의 공간을 만들어가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가를 다루었다. 제3부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연구가 소홀했던 화보, 연극, SF 문학 등을 조명함으로써 『사상계』 지식인의 냉전 근대 담론이 대중적 표상과 만나는 지점을 탐색했다. 이 책의 독자들은 문예란, 화보, 독자 통신 등을 재음미함으로써 『사상계』 가 수용했던 서구의 냉전 문화뿐만 아니라 화해할 수 없는 정치적 현실에 대한 알레고리를 통해 냉전 근대를 극복할 전망을 제시하고자 했음을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사상계』 냉전 근대 담론의 추이
제1장 『사상』 에서 4월혁명까지:1952년 9월호~1960년 4월호
1. 『사상계』 그리고 지적 공론장의 형성
2. 1950년대 『사상계』 의 주요 담론

제2장 4월혁명부터 판권 양도까지:1960년 5월호~1967년 12월호
1. 4월혁명에서 5·16군사 쿠데타까지
2. 군사 쿠데타에서 한일협정까지
3. 한일협정 이후 『사상계』 의 대외 담론 동향
4. 한일협정 이후 『사상계』 의 국내 담론 동향

제3장 부완혁 체제에서 휴간까지:1968년 1월호~1970년 5월호
1. 부완혁 체제 이후 『사상계』 의 수난사
2. 1968년부터 휴간까지 『사상계』 의 담론 양상
3. ‘불온시’ 논쟁과 4월혁명 문학론
4. 김지하 「오적」과 『사상계』 의 휴간, 그리고 그 이후

제2부 『사상계』 지식인의 냉전 근대와 참여의 논리
제4장 1950년대 『사상계』 의 편집체계와 지향점
1. 편집위원회 결성과 「사상계헌장」
2. 편집위원회의 추이와 공식 편집진
3. 『사상계』 편집위원의 게재 빈도
4. 중점주의 편집체계와 『사상계』 의 지향점

제5장 『사상계』 지식인의 한일협정 반대운동
1. 한일협정 반대운동의 거점으로서 『사상계』
2. 『사상계』 의 한일협정 반대운동의 경과
3. 지식인 운동의 좌절과 한계
4. 포스트냉전시대 지식인의 몫

제6장 1960년대 『사상계』 의 대학생 담론
1. 『사상계』 의 대학생 담론과 학생 주체의 형성
2. 낭만적 혁명의 상상력과 대학생 표상
3. ‘정치’의 외연을 둘러싼 각축
4. 투쟁적 주체로의 변모와 좌절
5. 『사상계』 , 그 너머의 미래

제3부 『사상계』 의 냉전 근대 표상
제7장 화보로 읽는/보는 『사상계』
1. 『사상계』 담론의 비언어적 토대
2. 『사상계』 에 화보가 편성된 배경
3. 1960년대 『사상계』 의 포토저널리즘
4. 극한상황, 그리고 비폭력혁명의 가능성

제8장 『사상계』 와 냉전기 극예술
1. 연극전문지 공백기의 『사상계』
2. 『사상계』 의 문학관과 문예 전략
3. 서구 연극의 수용
4. 대학극과 번역극의 선도

제9장 『사상계』 의 냉전 서사와 SF적 상상력
1. 『사상계』 판 걸리버 여행기, 「아이스만 견문기」
2. 냉전 과학에 대한 양가감정
3. ‘미숙한 결말’이 내포한 당대의 증상
4. 전유의 상상력과 냉전의 알레고리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