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50문 50답으로 풀어 쓴 궁금한 AI와 법
50문 50답으로 풀어 쓴 궁금한 AI와 법
저자 : 이유정^조광희^정석윤^박창환^오정익
출판사 : 한국경제신문
출판년 : 2021
ISBN : 9791185272733

책소개

OPENING
언어 처리, 금융, 로보틱스, 헬스, 모빌리티 등 빠르게 변화하는 분야별 AI 산업 현황과 미래 AI 트렌드 전망을 짚었다. 미국, 유럽, 프랑스, 영국, 일본 등 각국의 AI 전략 동향은 물론, 기술이 발전할수록 부각되는 개인정보보호 문제에 대한 칼럼도 함께 담았다.

Section 01
일상으로 들어온 AI - DEVICE
“로봇청소기가 해킹 당해 사고가 나면 누구의 책임일까?”, “완전자율주행차 시대에 운전면허증이 필요할까?”, “드론의 주변 촬영이 법적 문제가 되지는 않을까?” 등 헬스케어,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드론 분야의 AI 활용 기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의문이 들 수 있는 법률 문제에 대한 자문 내용을 Q&A로 풀어 썼다.

Section 02
일상으로 들어온 AI - LIVING
“AI의 조언을 믿고 투자해도 될까?”, “무인화 상점을 운영할 때 꼭 알아야 할 법률은?”, “스마트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개인 간 전력 거래가 가능할까?” 등 에너지, 교육, 무인화 상점, 로보어드바이저와 같이 이미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녹아 있는 AI 기술을 사용하면서 알아두면 좋을 법률 자문 내용을 Q&A 형식으로 안내한다.

Section 03
일상으로 들어온 AI - CITY
“AI 기술을 활용해 범죄 의심자를 판별할 수 있을까?”, “채용 과정에서 AI를 통해 면접자를 차별한 기업을 처벌할 수 있을까?”, “AI가 창작한 예술 작품에 대한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을까?” 등 치안, 자원 재활용, 스마트시티도시에서 많은 이들과 어우러져 살아가면서 마주하게 되는 AI 기술 관련 분쟁 상황 혹은 AI 기술을 연계해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이 숙지하면 좋을 자문 내용을 Q&A로 풀어 썼다.

ISSUE
AI 산업 발전을 돕는 국내 규제샌드박스 사례를 비롯, AI를 활용한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인 스타트업이 알아두면 좋을 규제샌드박스 지정 절차 등 AI 산업 동향과 이슈를 소개한다. EU(유럽연합)가 제시한 AI 윤리 가이드라인과 AI와 공존하며 살아가게 될 시대에 나타나는 윤리·규범적 문제 등 미래 전망도 함께 담았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OPENING
언어 처리, 금융, 로보틱스, 헬스, 모빌리티 등 빠르게 변화하는 분야별 AI 산업 현황과 미래 AI 트렌드 전망을 짚었다. 미국, 유럽, 프랑스, 영국, 일본 등 각국의 AI 전략 동향은 물론, 기술이 발전할수록 부각되는 개인정보보호 문제에 대한 칼럼도 함께 담았다.

Section 01
일상으로 들어온 AI - DEVICE
“로봇청소기가 해킹 당해 사고가 나면 누구의 책임일까?”, “완전자율주행차 시대에 운전면허증이 필요할까?”, “드론의 주변 촬영이 법적 문제가 되지는 않을까?” 등 헬스케어,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드론 분야의 AI 활용 기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의문이 들 수 있는 법률 문제에 대한 자문 내용을 Q&A로 풀어 썼다.

Section 02
일상으로 들어온 AI - LIVING
“AI의 조언을 믿고 투자해도 될까?”, “무인화 상점을 운영할 때 꼭 알아야 할 법률은?”, “스마트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개인 간 전력 거래가 가능할까?” 등 에너지, 교육, 무인화 상점, 로보어드바이저와 같이 이미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녹아 있는 AI 기술을 사용하면서 알아두면 좋을 법률 자문 내용을 Q&A 형식으로 안내한다.

Section 03
일상으로 들어온 AI - CITY
“AI 기술을 활용해 범죄 의심자를 판별할 수 있을까?”, “채용 과정에서 AI를 통해 면접자를 차별한 기업을 처벌할 수 있을까?”, “AI가 창작한 예술 작품에 대한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을까?” 등 치안, 자원 재활용, 스마트시티도시에서 많은 이들과 어우러져 살아가면서 마주하게 되는 AI 기술 관련 분쟁 상황 혹은 AI 기술을 연계해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이 숙지하면 좋을 자문 내용을 Q&A로 풀어 썼다.

ISSUE
AI 산업 발전을 돕는 국내 규제샌드박스 사례를 비롯, AI를 활용한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인 스타트업이 알아두면 좋을 규제샌드박스 지정 절차 등 AI 산업 동향과 이슈를 소개한다. EU(유럽연합)가 제시한 AI 윤리 가이드라인과 AI와 공존하며 살아가게 될 시대에 나타나는 윤리·규범적 문제 등 미래 전망도 함께 담았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04 PROLOGUE
인공지능 시대, 법률의 역할은 어디까지일까요?

OPENING
08 INFOGRAPHIC
AI 혁신 돕는 머신러닝
010 TREND
AI가 구축하는 산업 대전환
016 FOCUS 1
‘진흥’과 ‘규제’의 AI 전략 동향
020 FOCUS 2
기술이 발전할수록 부각되는
개인정보보호 문제

SECTION 1
AI - DEVICE
헬스케어
026 의료진 의사결정 정확도 높이는 AI 헬스케어
028 QUESTION 1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필요 절차는?
030 QUESTION 2
AI 활용 애플리케이션, 의료법상 문제는?
032 QUESTION 3
병원을 통해 환자의 기록을 제공받을 수 있을까?
034 QUESTION 4
원격진료 애플리케이션, 의료법상 문제는 없을까?
036 QUESTION 5
우울증 진단 애플리케이션,
의료기기법상 허가 필요할까?
사물인터넷
038 AI와의 결합으로 폭발적 시너지 내는
사물인터넷
040 QUESTION 6
사물인터넷의 실제 사례는?
042 QUESTION 7
AI 스피커의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은?
044 QUESTION 8
로봇청소기 해킹으로 인한 사고, 누구의 책임일까?
046 QUESTION 9
개인정보 유출 막기 위한 노력은?
자율주행차
048 운전대, 브레이크, 가속페달 필요 없는 자율주행차 나온다
050 QUESTIO 10
자율주행차 사고, 누구의 책임일까?
052 QUESTION 11
완전 자율주행차 시대, 운전면허증이 필요할까?
054 QUESTION 12
완전 자율주행차 교통사고 발생 시 제조회사의 책임은?
056 QUESTION 13
완전 자율주행차 시대, 교통사고 문제 판단 기준은?
058 QUESTION 14
자율주행차의 개인정보 수집, 문제 없을까?
060 QUESTION 15
완전 자율주행차의 상용화가 가능할까?
드론
062 도시락 배달부터 재난·재해 감시까지 전방위 활용 가능한 드론
064 QUESTION 16
드론의 주변 촬영, 법적 문제는?
066 QUESTION 17
드론으로 남의 집 내부를 촬영하는 행위, 처벌 가능할까?
068 QUESTION 18
AI 드론의 사고, 누구의 책임일까?
070 QUESTION 19
사람을 태우고 나는 드론,
교통수단이 될 수 있을까?

SECTION 2
AI - LIVING
에너지
074 전력 운용 최적화에 기여하는 스마트그리드
076 QUESTION 20
AI를 활용해 전력 소비량을 줄인 사례는?
078 QUESTION 21
스마트에너지저장 시스템으로
개인 간 전력 거래 가능해질까?
080 QUESTION 22
스마트그리드 산업에서
사이버보안이 중요한 이유는?
082 QUESTION 23
스마트그리드 활용 시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은?
교육
084 학생의 진로 설정까지 돕는 AI 튜터
086 QUESTION 24
AI 튜터의 수준별 교육, 가능할까?
088 QUESTION 25
화상강의 중 표정 수집하는 AI,
법적 문제는?
090 QUESTION 26
웹상 정보를 AI 학습에 활용해도 될까?
무인화 상점
092 이미 우리 생활에 녹아든 무인화 상점
094 QUESTION 27
무인화 상점 관련 정부 정책은?
096 QUESTION 28
무인화 상점 운영 시 알아야 할 법률은?
098 QUESTION 29
무인화 상점을 잘 운영하려면?
100 QUESTION 30
무인화 상점의 개인정보 수집,
법적 문제 없을까?
로보어드바이저
102 투자 목적 분석부터 리밸런싱까지, 로보어드바이저
104 QUESTION 31
AI의 조언을 믿고 투자해도 될까?
106 QUESTION 32
로보어드바이저의 검증 방법은?
108 QUESTION 33
AI의 조언을 믿고 투자했다가 입은 손실의 책임 소재는?

SECTION 3
AI - CITY
치안
112 범죄 예방과 인권침해, 양날의 검 쥔 치안용 AI
114 QUESTION 34
AI 기술로 범죄자 판별이 가능할까?
116 QUESTION 35
AI CCTV 설치 조건은?
118 QUESTION 36
몽타주 판별 AI의 오류,
누구의 책임일까?
120 QUESTION 37
AI 기술을 수사에 활용할 때
점검해야 할 법률은?
자원재활용
122 사물 인식 센서와 GPS 기술로 지구를 지키는 폐기물처리 AI
124 QUESTION 38
AI 활용 재활용품 분리수거 사업 시 점검해야 할 법률은?
126 QUESTION 39
AI CCTV 개발 시 법률 문제는?
스마트시티
128 국가의 미래, 도시의 미래 스마트시티
130 QUESTION 40
국내 스마트시티 단계는?
132 QUESTION 41
스마트시티 관련 별도의 법률은?
134 QUESTION 42
국내 스마트시티 관련 법률은?
136 QUESTION 43
AI 사이니지 서비스에 필요한 절차는?
138 QUESTION 44
AI 기술을 활용해 면접자 차별한 기업을 처벌할 수 있을까?
140 QUESTION 45
음성 합성 기술 속 음성이 범죄에 이용되면 누구의 책임일까?
142 QUESTION 46
공개된 자료의 AI 학습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은?
144 QUESTION 47
AI 로봇으로 인한 상해의 책임 소재는?
146 QUESTION 48
자동완성기능으로 인한 모욕적 상황, 누구의 책임일까?
148 QUESTION 49
AI 판사가 재판하는 날이 올까?
150 QUESTION 50
AI가 창작한 예술 작품은
누구의 것일까?

ISSUE
152 GLOBAL
AI 국제적 기준 제시로
미·중 견제하는 EU
156 CASE
자율주행로봇부터 금융까지
AI 산업 발전 돕는 규제샌드박스
160 FUTURE
AI와의 공존을 위해
심도 깊은 고민이 필요한 때
162 INSIGHT
AI가 가져올 미래,
낙원인가, 파멸인가
164 INTRODUCTION
법무법인 원 인공지능대응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