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시민성 이론과 시민교육 (시민교육핸드북)
시민성 이론과 시민교육 (시민교육핸드북)
저자 : 신지선^이범웅^변종헌^조주현^김형렬
출판사 : 하우
출판년 : 2020
ISBN : 9791190154758

책소개

이 책은 현대 사회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여러 가지 시민성 이론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그것의 시민교육적인 함의를 다룬 국내 최초의 이론서이다. 시민교육의 목표인 시민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전제되지 않고서는 제대로 된 시민교육의 실천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간 우리의 학계에서는 시민성 이론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에 다소 소홀하였다. 시민교육의 차원에서 민주 시민성에 관한 논의는 비교적 상세하게 이루어졌지만, 최근에 강조되는 다양한 시민성 개념에 관한 학문적 논의는 관심의 초점이 되지 못했다. 이 책에서 우리는 시민교육에 커다란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공화주의, 세계시민주의, 다문화주의, 젠더 관점에서 시민성 개념을 분석하고, 그것이 시민교육에 주는 함의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1장에서 조주현 교수는 자유주의가 높은 수준의 목표를 지향하는 공동체주의나 공화주의와 달리 현대 사회에서 실천 가능한 시민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한다.
2장에서 이범웅 교수는 공동체주의가 시민성의 실천에 대한 헌신을 통해 시민의 마음을 다시 깨우려는 사명이 있으며, 자유주의에 대한 이론적 비판과 그 대안으로 출발했다고 주장한다.
3장에서 추병완 교수는 공화주의가 시민성의 실천에 대한 헌신을 통해 시민의 마음을 다시 깨우려는 사명이 있고, 자유주의의 불간섭으로서 자유 모델이 제한적이라고 주장하면서 비지배로서 자유를 강조한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4장에서 변종헌 교수는 국가시민성과 세계시민성의 조화 가능성을 검토한 후 세계시민의 육성을 위한 시민교육의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성 관념의 토대인 세계시민주의의 연원과 전개 과정을 개관한 후, 세계화와 정보화에 따른 새로운 환경과 주권국가의 위상 변화 속에서 세계시민성 논의의 배경과 의의를 검토하고 있다.
5장에서 김형렬 교수는 문화를 민족(nation)이나 하나의 집단적 인민(people)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킴리카(Kymlicka, 1995)의 해석을 따라 민족적이고 인종문화적인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다문화주의에 초점을 맞춘다.
6장에서 박보람 교수는 성을 기반으로 하는 시민성 개념이 전통적인 시민성 개념에서 배제된 여성과 성 소수자(퀴어)의 시민성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더 포괄적인 시민성 개념이라고 강조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현대 사회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여러 가지 시민성 이론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그것의 시민교육적인 함의를 다룬 국내 최초의 이론서이다. 시민교육의 목표인 시민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전제되지 않고서는 제대로 된 시민교육의 실천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간 우리의 학계에서는 시민성 이론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에 다소 소홀하였다. 시민교육의 차원에서 민주 시민성에 관한 논의는 비교적 상세하게 이루어졌지만, 최근에 강조되는 다양한 시민성 개념에 관한 학문적 논의는 관심의 초점이 되지 못했다. 이 책에서 우리는 시민교육에 커다란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공화주의, 세계시민주의, 다문화주의, 젠더 관점에서 시민성 개념을 분석하고, 그것이 시민교육에 주는 함의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1장에서 조주현 교수는 자유주의가 높은 수준의 목표를 지향하는 공동체주의나 공화주의와 달리 현대 사회에서 실천 가능한 시민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한다.

2장에서 이범웅 교수는 공동체주의가 시민성의 실천에 대한 헌신을 통해 시민의 마음을 다시 깨우려는 사명이 있으며, 자유주의에 대한 이론적 비판과 그 대안으로 출발했다고 주장한다.

3장에서 추병완 교수는 공화주의가 시민성의 실천에 대한 헌신을 통해 시민의 마음을 다시 깨우려는 사명이 있고, 자유주의의 불간섭으로서 자유 모델이 제한적이라고 주장하면서 비지배로서 자유를 강조한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4장에서 변종헌 교수는 국가시민성과 세계시민성의 조화 가능성을 검토한 후 세계시민의 육성을 위한 시민교육의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성 관념의 토대인 세계시민주의의 연원과 전개 과정을 개관한 후, 세계화와 정보화에 따른 새로운 환경과 주권국가의 위상 변화 속에서 세계시민성 논의의 배경과 의의를 검토하고 있다.

5장에서 김형렬 교수는 문화를 민족(nation)이나 하나의 집단적 인민(people)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킴리카(Kymlicka, 1995)의 해석을 따라 민족적이고 인종문화적인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다문화주의에 초점을 맞춘다.

6장에서 박보람 교수는 성을 기반으로 하는 시민성 개념이 전통적인 시민성 개념에서 배제된 여성과 성 소수자(퀴어)의 시민성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더 포괄적인 시민성 개념이라고 강조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1장. 자유주의 시민성과 시민교육 조주현 (목포대학교 교수)

1. 자유주의란 무엇인가?
2. 자유주의의 인간관: 원자적 개인과 수단적 공동체
3. 자유주의의 윤리관: 자유와 권리, 개화된 자기이익
4. 자유주의의 정의관: 상호 이익과 불편부당으로서의 정의
5. 자유주의의 국가관: 중립성과 관용, 반완벽주의
6. 자유주의 시민성 이론과 시민교육
7. 요약
참고 문헌

2장. 공동체주의 시민성과 시민교육
이범웅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1. 공동체주의의 출현
2. 공동체주의의 핵심 가치들
1) 초기 공동체주의의 핵심가치들
2) 신공동체주의의 핵심가치들
3. 공동체주의의 시민성
1) 공동체 시민 의식
2) 공동체주의의 미덕
3) 공동체에 대한 책무
4) 사회적 재화로서의 협동 능력과 집합적 효능감
5) 다원화 사회에서 공동선의 추구
6) 개인과 공동체의 공존 모색
7) 민주적 심의기제로서 도덕적 대화와 목소리
8) 공동체주의에서 민주적 절차
9) 공동체에의 적극적 참여
10) 공동체의 문화
4. 공동체주의의 시민교육
1) 시민교육의 필요성
2) 공동체주의의 시민교육 내용
3) 공동체주의의 시민교육 방법
5. 요약
참고 문헌

3장. 공화주의 시민성과 시민교육
추병완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1. 공화주의란 무엇인가?
2. 공화주의의 역사적 기원
3. 공화주의의 자유 개념
4. 공화주의 시민성의 가치
5. 공화주의 시민성 이론과 시민교육
1) 비지배로서 자유 개념의 중요성
2) 시민의 덕 함양
3) 시민 심의의 중요성
6. 요약
참고 문헌

4장. 세계시민성과 시민교육
변종헌 (제주대학교 교수)
1. 국가시민성과 세계시민성
2. 세계시민주의의 이념적 토대
1) 견유파의 세계시민주의
2) 스토아학파의 세계시민주의
3) 칸트의 영구평화론
3. 세계시민성 논의의 배경
1) 세계화와 상호의존의 심화
2) 지구촌 위기의 확산
4. 세계시민성 관념의 비판적 검토
1) 세계시민주의의 이념적 한계
2) 국가 없는 상태에 대한 우려
5. 세계시민성을 위한 시민교육
1) 세계시민주의의 갈래
2) 세계시민과 시민교육
6. 요약
참고 문헌

5장. 다문화주의 시민성과 시민교육
김형렬 (서울대학교 교수)
1. 다문화주의의 역사적 변천
2. 다문화주의 시민성의 이론적 토대
3. 다문화주의 시민성의 의의와 한계
4. 다문화주의 시민성의 모델들
1) 소수민족
2) 이민자
3) 고립주의적 인종 종교 집단
4) 인종적 카스트 집단
5. 다문화주의 시민성과 시민교육
6. 요약
참고 문헌

6장. 성적 시민성과 시민교육
박보람 (강원대학교 교수)
1. 시민권과 성적 시민성
2. 젠더 맥락에서의 시민성
1) 배제된 시민
2) 젠더 이분법과 이성애규범성
3) 젠더 시민성의 발달
3. 성적 개념으로서의 시민성
1) 성적 권리
2) 성적 시민성 정치
3) 성적 시민성 연구
4. 성적 시민성 개념에 대한 재고
1) 재생산 시민성
2) 성의 새로운 경계와 배제
3) 동성애 민족주의와 성 제국주의
5. 성에 대한 공적 담론과 시민교육
1) 성 선택에서의 제약
2) 성 사유화의 한계
3) 성적 시민성에 대한 공적 담론
4) 성적 시민성을 위한 시민교육
참고 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