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기독교로 읽는 세계사 (바티칸은 어떻게 역사에 군림했는가)
기독교로 읽는 세계사 (바티칸은 어떻게 역사에 군림했는가)
저자 : 나이토 히로후미
출판사 : 역사산책
출판년 : 20210125
ISBN : 9791190429085

책소개

◎ 기독교의 역사를 알면 세계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유럽의 역사는 교황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쟁의 역사였다.
◎ 이 책은 로마 교황의 역사에 초점을 맞추어 세계사를 탐구한다.

세계사를 이해하기 위한 비결 중 하나는 기독교의 역사를 아는 것이다. 기독교 역사가 유럽의 역사이자 바티칸에 있는 교황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기독교가 세속적 권력과 얽히게 되면 바로 인간적인 역사로 탈바꿈한다. ‘신의 대리인’인 교황이 정치와 연관되었을 때는 어마어마한 권력 투쟁의 역사로 바뀌었다.
중세 시대의 교황은 황제와 국왕 위에 있는 지배자였고, 유럽의 역사는 교황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쟁의 역사였다. 교황ㆍ황제ㆍ국왕이 서로 경쟁했으며 16세기에는 프로테스탄트가 교황에게 반기를 들었다. 과학이 진화하면서 국왕도 민중도 교황을 떠나갔다. 프랑스 혁명은 반가톨릭 운동이었고, 민주화와 근대화가 진행될수록 교황은 반근대의 상징이 되었다. 교황에게 거리를 두게 되면서, 정교분리를 택한 근대 국가가 형성되었다.

-서문 중에서-

●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기독교에 호의를 보인 이유
● 로마 황제의 ‘밑’이 되는 것을 거부하며 공의회에 결석하다
● 몰락한 서로마 황제를 대신해 교황이 로마의 수호자가 되다
● 이단인 아리우스파 게르만족을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다
● 교황 스테파노 2세의 속임수가 피핀의 기증을 탄생하게 했다!
● 마침내로마교황에게의존하기시작한카롤루스대제의자손들
● 황제가 없는 시대, 교황은 이탈리아 귀족의 꼭두각시가 되었다
● 유력가의 여자들이 교황을 차례로 갈아치우다
●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게 완전히 굴복한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4세
● 교황과 신성 로마 황제의 대결 제2라운드는 황제의 역전승으로 끝나다
● 교황청은 왜 로마와 아비뇽으로 분열되고 말았는가?
● 로마 교황청의 금고지기로 번영하기 시작한 메디치 은행
● 가장 타락한 교황이 이탈리아의 위기를 기적적으로 구하다
● 이탈리아 국민을 실망시킨 교황 비오 9세의 배신
● 교황과 나치의 연결고리는 반공주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본문 중에서]

초대 교황 베드로의 순교
- 로마 교황이 가톨릭에서 특별한 존재인 이유-

가톨릭의 총본산은 오랫동안 로마에 있었다. 시대에 따라 로마가 아닌 도시에 교황청이 있었던 적도 있지만, 그래도 로마는 기독교인에게 특히나 신성한 도시였다. 베드로가 순교한 땅이 바로 로마이기 때문이다.
베드로는 예수의 최초의 제자였으며, 예수를 따르는 제자 중에서도 각별한 존재였던 열두 제자, 12사도의 중심에 있었다. 그뿐 아니라 예수가 기독교를 맡긴 인물이기도 했다. ...

기독교 탄압
-왜 로마 황제들은 기독교인에게 위해를 가했는가?-

3~4세기 기독교가 로마 제국으로 퍼져나가던 무렵에 기독교는 자주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기독교를 탄압하던 막시미누스 트락스 황제(재위 235~238년), 발레리아누스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대에는 순교자가 끊이지 않았다.
로마 황제가 기독교를 탄압한 것은 황제 숭배에 방해가 되었기 때문이다. 기독교는 유일신을 믿는 종교이며, 다른 종교의 신들을 신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기존에 로마인들이 믿던 신들도 인정하지 않았다. 이것이 로마 황제 숭배에 대한 거부로 이어지자, 이에 격분한 로마 황제는 기독교인에게 보복을 가한 것이다. ...

교황 실베스테르 1세의 허영
-로마 황제의 ‘밑’이 되는 것을 거부하며 공의회에 결석하다-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니케아 공의회를 주최했을 때 로마 주교 실베스테르 1세는 출석하지 않았다. 그저 대리 특사를 보내는 데 그쳤을 뿐이다.
실베스테르 1세가 공의회에 출석하지 않았던 까닭은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회의의 주역이 되는 것이 싫어서였다. 만일 그가 출석한다면 로마 주교가 로마 황제의 아랫자리에 앉게 되어, 기독교 세계를 지배하는 자는 로마 황제라고 인정하는 셈이 된다. ...

로마 제국의 와해
-몰락한 서로마 황제를 대신해 교황이 로마의 수호자가 되다-

4세기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콘스탄티누스 대제, 율리아누스 황제 등 강한 힘을 가진 황제 덕분에 로마 제국의 해체에 일시적으로 제동이 걸렸다. 그러나 황제가 무력하면 해체는 한층 빨리 진전되는 법이다. 더구나 게르만족이 로마 제국을 향해 본격적인 침공을 시작하고, 발렌스 황제가 아드리아노플(현재 터키의 에디르네) 전쟁에서 고트족 군단에 패하여 사망하는 사태까지 일어났다.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사망한 뒤, 로마 제국은 동서로 분열되고 만다. ...

랑고바르드족의 침입
-로마 교회를 괴롭힌 두 개의 족쇄-

동로마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 의한 ‘로마 제국 회복 사업’은 그의 치세에서 끝난다. 서방 세계의 정복과 경영 사업은 크나큰 지출을 초래했고, 동로마 제국의 재정은 삐걱거렸다. 알보이노Alboino(*이탈리아를 정복하고 랑고바르드 왕국을 세운 전설적인 왕)가 이끄는 랑고바르드족(롬바르드족)은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사망한 틈을 타 다시 이탈리아반도를 침공했다. 랑고바르드족 역시 게르만족의 일파였으며, 568년 북이탈리아의 파비아를 수도로 삼아 랑고바르드 왕국을 건국했다. ...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교황 스테파노 2세의 속임수가 피핀의 기증을 탄생하게 했다!-

로마 교황 스테파노 2세는 ‘피핀의 기증’이라는 큰 수확을 얻는 과정에서 세기의 속임수를 썼다.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을 날조하여 피핀을 영향력 아래 둔 것이다.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이란, 4세기에 밀라노 칙령을 공표한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교황 실베스테르에게 보냈다는 서신이다. 콘스탄티누스의 서신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다. ...

시체 재판
-황제가 없는 시대, 교황은 이탈리아 귀족의 꼭두각시가 되었다-

카롤루스 대제가 카롤링거 제국을 세운 이래, 로마 교황의 권위는 전 유럽에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렇게 위엄을 갖춘 교황이었지만 9세기 중반부터 10세기까지는 수난의 연속이었다.
먼저 846년 교황 세르지오 2세 시대에는 이탈리아반도에 이슬람 세력이 상륙하여 로마를 습격했다. 성 베드로 대성당도 약탈의 대상이 되었다. 거기다 로마 교황들이 단명하기 시작했다. 891년 즉위한 교황 포르모소부터 931년 요한 11세까지 약 40년 동안 20명이 넘는 로마 교황이 등장했다. 심지어 살해당한 로마 교황도 여럿이었다. ...

노르만족이 날뛰다
-바이킹의 습격 때문에 신앙심이 깊어지다-

로마 교황의 수난이 이어지던 10세기, 유럽 전체를 공포의 밑바닥으로 몰아넣은 것은 노르만족이다. 다시 말해 바이킹의 습격이었다. 스칸디나비아반도나 유틀란트반도에서 살던 바이킹은 뛰어난 항해 기술을 이용해 동프랑크, 서프랑크, 대브리튼섬(영국 본도), 아일랜드 등을 습격하기 시작했다. 노르만족의 습격은 9세기부터 이미 시작되었으나, 동프랑크, 서프랑크의 황제와 국왕은 대부분 무력했다. 노르만족은 강을 거슬러 올라와 내륙 도시까지 습격했기에 안전지대는 어디에도 없었다. ...

카노사의 굴욕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게 완전히 굴복한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4세-

1073년 이제까지 교회 개혁을 주도해온 힐데브란트가 교황 그레고리오 7세로 선임되어 대대적인 교회 개혁에 나선다. 이는 로마 교황과 신성 로마 황제의 본격 대결의 시작이었다. 1075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공의회를 개최하고, 일반인에 의한 성직자 임명을 성직 매매로 간주하여 세속 권력에 의한 성직자 서임을 금지했다. ...

십자군 파탄
-십자군의 잇따른 실패로 인해, 교황의 권위 상승도 한계에 부딪치다-

유럽을 열광시킨 제1차 십자군에 이어서 1147년부터 제2차 십자군이 시작된다. 제2차 십자군은 중동에서의 열세를 만회하려 했다. 제1차 십자군에서 탈환한 에데사 백국은 그 후 이슬람 세력에 다시 빼앗기고 말았으며, 안티오키아 후국도 위태로워졌다. 그래서 로마 교황 에우제니오 3세는 제2차 십자군을 일으키기로 했다. 제2차 십자군에서는 처음으로 유럽의 국왕급이 참전했다. 바로 신성 로마 황제 콘라트 3세와 프랑스 국왕 루이 7세다. 하지만 제2차 십자군은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하고 실패로 끝난다. ...
교황의 친족 경영
-타락과 절정을 동시에 의미하는 이유-

로마 교황 인노첸시오 3세 시대를 전후하여, 로마 교황을 둘러싸고 ‘네포티즘(친족 등용 정책)’이 두드러졌다. 네포티즘이란 교황이 추기경이나 대교회의 직책을 임명할 때 혈연관계가 있는 자를 등용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친족들로 요직을 채우는 바람에 한 집안에서 몇 명씩 되는 교황이 등장한다.
인노첸시오 3세 자신부터 그랬다. 그는 이탈리아 세니 백작가 출신이자 교황 클레멘스 3세의 조카였다. 숙부였던 클레멘스 3세가 그를 부제 추기경으로 지명하며 그는 교황 자리에 한 걸음 가까워졌다. 그 뒤 인노첸시오 3세 또한 추기경 자리에 조카를 앉혔고, 그 조카는 로마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되었다. ...

기벨린 대 겔프
-황제당과 교황당의 대립이 이탈리아를 내전으로 몰아넣다-

12세기에서 14세기에 걸쳐 프리드리히 2세를 비롯한 신성 로마 제국 황제들이 이탈리아 정복에 열중하던 무렵, 이탈리아 내부에서는 당파 대립이 심각했다. 바로 기벨린(황제당)과 겔프(교황당)의 대립이다.
이는 신성 로마 황제와 로마 교황의 대립에서 어느 쪽 정책을 지지하느냐를 뜻하기도 했다. 황제를 지지한 ‘기벨린’은 독일의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황제들이 거주했던 ‘바이블링겐(이탈리아어로 기벨리노)’에서 유래했다. 교황의 지지 세력인 ‘겔프’는 호엔슈타우펜 왕가에 대항했으며 교황에게 협조적이었던 바이에른의 ‘벨프’ 가문에서 유래했다. ...

국왕의 신성과 민족의식이 싹트다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가 교황에게 굴복하지 않은 이유-

아나니 사건에서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가 교황 보니파시오 8세에게 치욕을 선사할 수 있었던 것은 프랑스 국왕을 지지하는 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유럽의 주교와 성직자들 사이에서는 로마 교황의 절대 권위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었다. 그들이 반드시 현역 교황의 절대적 지지자라고는 할 수 없었다.
교황을 대신해 성직자와 일반 민중의 지지를 얻었던 것은 국왕이었다. 10세기 후반 카롤링거 왕조의 로마 제국이 붕괴한 후에 생긴 프랑스에서, 처음에 왕은 무력한 존재였다(75페이지 참조).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의 왕들은 교황과 기독교의 권위에 기댈 수밖에 없었지만, 그들은 봉건 영주에게서 토지를 빼앗고 수면 아래로 힘을 길러 갔다. ...
메디치 가문과 유착하다
-로마 교황청의 금고지기로 번영하기 시작한 메디치 은행-

교황청의 아비뇽 시대와 교회 대분열의 시대는 14세기 초부터 15세기 전반까지 약 1세기 이상 이어졌다. 그 사이 이탈리아에서는 르네상스가 진행되었다. 도시 국가가 발달한 이탈리아에서도 특히 피렌체의 성장은 두드러져서, 초기부터 중기까지 르네상스의 역군이기도 했다. 그런 피렌체에서 권력을 쥔 것이 메디치 가문이었는데, 메디치가는 로마 교황과 결탁하면서 급부상하기 시작했다.
조반니 디비치 데 메디치의 시대에 이르러 메디치가는 로마 교황청을 잠식하는 데 성공한다. 조반니는 추기경 시대의 대립 교황 요한 23세(본명 발다사레 코사)에게 접근했다.

종교 개혁
-교회의 권위를 실추시킨 종교 개혁의 원동력은 인쇄 혁명이었다-

레오 10세는 교황이 되기 전 향락적인 생활을 하며 그리스 로마 문화에 대한 학식을 쌓았다. 이교 문화에 능통하고 향락을 즐긴다는 점에서 교황에 적합하지 않은 인물이라고도 할 수 있었지만, 그는 훌륭한 인품 덕분에 교황이 되었다.
레오 10세는 교황으로 선임되었을 때, “자, 신께서 내게 주신 교황의 자리를 마음껏 즐겨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고 한다. 실제로 그는 자신의 말대로 향락에 열중하고 문화에 투자했다. 당연히 교황청의 자금도 바닥이 드러났고, 면죄부나 추기경의 지위를 팔아 수입을 얻어야만 했다. ...

바티칸의 죄수
-이탈리아 왕국을 인정하지 않던 교황 비오 9세가 고립되어 바티칸에 틀어박히다-

이탈리아의 리소르지멘토는 한번 좌절을 겪지만, 1850년대가 되자 다시금 열기를 띠게 되었다. 그 중심에 선 것이 사르데냐 왕국의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다. 그는 재상 카보우르의 협력을 얻어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나폴레옹 1세의 조카)와 거래하여 오스트리아에 승리하고, 1861년 이탈리아 왕국을 건국한다.
이때 이탈리아는 완전한 통일을 이루지 못했고, 교황령과 베네치아는 포함되지 않은 상태였다. 왕국의 수도는 토리노였으며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국왕으로 즉위했다. ...

히틀러에게 접근하다
-교황과 나치의 연결고리는 반공주의였다!-

로마 교황 비오 11세는 무솔리니와 정교 조약을 맺은 후, 독일의 나치 정권에 접근한다. 세계 공황으로 인해 매우 혼란스러웠던 독일 사회에서는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스(국민 사회주의 독일 노동당)와 공산당이 크게 부상한다. 공산당과의 경쟁에서 승리한 히틀러는 1933년 수상으로 임명된다. 이후 히틀러는 일당 독재 체제를 굳혀가지만, 교황 비오 11세는 나치 정권을 승인한다.
이후 교황 비오 11세와 나치 정권은 정교 조약을 맺는다. 나치 정권이 국내 가톨릭을 보호하는 대신, 국내 가톨릭은 나치에 충성을 맹세한다는 내용이었다. ...

순례자 교황
-교황의 부정적 이미지를 새롭게 바꾼 바오로 6세의 세계 순례-

요한 23세의 사망 후, 새 교황이 된 바오로 6세도 교회의 근대화를 추진했다. 그리하여 바오로 6세 때부터 교황의 세계 순례가 시작되었다.
그전까지 교황들은 대개 교황궁 안에 틀어박혀 있었고, 외국으로 순례를 다닌 교황은 거의 없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세계 각지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종종 순례 여행을 떠났다. 과거 초대 교황 바울이 여러 지역으로 전도 여행을 떠났던 이야기를 본받은 것이기도 했다. ...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장 박해로부터의 출발 편
약소했던 기독교가 어떻게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될 수 있었는가

17 초대 교황 베드로의 순교 ● 로마 교황이 가톨릭에서 특별한 존재인 이유
20 [칼럼] 바티칸의 의문 ①
22 교세의 확장 ● 3세기에 황제의 구심력이 약해진 제국에 기독교가 전파되다
25 기독교 탄압 ● 왜 로마 황제들은 기독교인에게 위해를 가했는가?
28 밀라노 칙령 ●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기독교에 호의를 보인 이유
31 [칼럼] 바티칸의 의문 ②
33 니케아 공의회 ● 황제가 제1차 공의회를 주최하다
35 교황 실베스테르 1세의 허영 ● 로마 황제의 ‘밑’이 되는 것을 거부하며 공의회에 결 석하다
36 콘스탄티노플 천도 ● 동쪽으로 수도를 옮기며 로마 교회에 강력한 맞수가 등장하다
38 라틴어 성경 번역 ● 로마 제국에 기독교를 뿌리내리게 한 언어 전략
40 국교화 ● 기독교가 국가의 핵심이 되며 로마 신들에 대한 신앙이 금지되다
43 로마 제국의 와해 ● 몰락한 서로마 황제를 대신해 교황이 로마의 수호자가 되다
46 아리우스파 테오도리크 대왕 ●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뒤 이탈리아를 지배한 이단의 왕
48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간섭 ● 동로마 제국이 세력을 회복하며 로마 교황을 지배하다
51 랑고바르드족의 침입 ● 로마 교회를 괴롭힌 두 개의 족쇄
53 베네딕토파의 활약 ● 이단인 아리우스파 게르만족을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다
56 이슬람의 침공 ● 이교도 전쟁의 승리는 무엇을 가져왔는가
57 갑작스러운 성상 파괴령 ● 로마 교회가 동로마 제국에서 벗어나기로 결심한 계기가 되다

2장 교회 권력의 확립 편
카롤루스 대제의 대관식으로 우월함을 드러내지만, 로마 교황의 수난은 계속된다

63 피핀의 프랑크 왕국 왕위 찬탈 ● 교황은 왜 프랑크 왕국에 접근했는가?
66 피핀의 기증 ● 프랑크 국왕에게 받은 토지가 교황령의 시작이 되다
68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 교황 스테파노 2세의 속임수가 피핀의 기증을 탄생하게 했다!
70 카롤루스 대제의 성전 ● 영토에 대한 욕심과 교황을 지키려는 마음이 합쳐져 정복에 열중하다
71 카롤루스 대제의 대관 ● 레오 3세가 집전한 대관식과 서로마 제국의 부활이 서유럽의 원점이 되다
75 카롤링거 왕가의 내분 ● 마침내로마교황에게의존하기시작한카롤루스대제의자손들
78 시체 재판 ● 황제가 없는 시대, 교황은 이탈리아 귀족의 꼭두각시가 되었다
80 도색 정치 ● 유력가의 여자들이 교황을 차례로 갈아치우다
83 오토 1세의 대관 ● 서로마 제국과 카롤링거 제국을 계승한 신성 로마 제국의 탄생
86 신성 로마 황제 대 로마 교황 ● 황제는 교황의 수호자이며 파괴자였다
88 사유 교회 제도 ● 봉건 영주가 세운 교회와 수도원이 기독교를 전파하다 
90 제국 교회 정책 ● 성당과 수도원을 신성 로마 황제의 직속으로 삼은 이유 
92 노르만족이 날뛰다 ● 바이킹의 습격 때문에 신앙심이 깊어지다
95 [칼럼] 바티칸의 의문 ③

3장 절정의 십자군 편
신성 로마 황제가 족쇄에서 벗어나자, 교황은 ‘신의 적’이라며 배격하기 시작했다

99 클뤼니 수도원의 개혁 ● 교회의 신성화에 기여한 반부패 운동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101 황제 하인리히 3세 ● 황제가 교회 개혁에 공감하며, 기이한 3인 교황의 시대를 끝내다
103 노르만족의 남이탈리아 침공 ● 노르만족과의 전쟁이 동로마 제국과의 결별로 이어지다
106 그레고리오 개혁 ● 신성 로마 황제로부터 자립하고자 한 교황의 개혁
108 [칼럼] 바티칸의 의문 ④
109 노르만 정복 ● 교황의 권위를 드러내는 역사적 대사건
111 카노사의 굴욕 ●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게 완전히 굴복한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4세
114 황제 하인리히 4세의 반격 ● 교황과 신성 로마 황제의 대결 제2라운드는 황제의 역전승으로 끝나다
117 교황 우르바노 2세의 십자군 ● 십자군 성공이 교황의 권위를 절정으로 끌어올리다
121 보름스 협약 ● 성직 서임권 투쟁이 끝을 맺고, 그레고리오 개혁의 목적도 달성하다 
125 바르바로사의 압력 ● 왜 황제 프리드리히 1세는 이탈리아 제패에 나섰는가?
128 십자군 파탄 ● 십자군의 잇따른 실패로 인해, 교황의 권위 상승도 한계에 부딪치다 
130 교황 인노첸시오 3세 ● 강한 권력을 휘둘러 세 명의 황제와 왕을 파문하다 
132 프란치스코 수도회와 도미니코 수도회 ●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절정을 뒷받침한 새로운 수도회
134 알비주아 십자군 ● 이교도도 아닌데 왜 탄압을 당했는가? 
136 유대인 박해 ● 나치의 ‘다비드의 별’로 이어지는 기독교의 불관용과 차별 의식 
138 이단 심문 ● 일류 교양인조차도 이단을 적시하고 탄압했다
141 교황의 친족 경영 ● 타락과 절정을 동시에 의미하는 이유
142 이색 황제 프리드리히 2세 ● 중세 교황에게 최후의 위협이 되었던 신성 로마 황제 
143 기벨린 대 겔프 ● 황제당과 교황당의 대립이 이탈리아를 내전으로 몰아넣다
146 북방 십자군 ● 독일 기사 수도회에 의한 동방 식민이 새로운 독일을 탄생시키다

4장 교회 대분열에서 종교 개혁까지 편
프랑스의 간섭, 흑사병, 부패로 인해 몰락하는 가톨릭과 급부상한 신교

153 샤를 당주의 압력 ● 독일의 위협을 없애려는 교황이 프랑스 세력을 끌어들이다
156 아나니 사건 ● 교황의 절대 우위를 목표하지만, 프랑스 국왕과의 투쟁에서 패배하다
159 국왕의 신성과 민족의식이 싹트다 ●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가 교황에게 굴복하지 않은 이유
161 교황의 아비뇽 유수 ● 약 70년 동안 교황청을 프랑스에 두다
164 대분열 ● 교황청은 왜 로마와 아비뇽으로 분열되고 말았는가?
167 콘스탄츠 공의회 ● 오스만 제국의 위협이 교회의 대분열을 종식시키다
169 후스 전쟁 ● 종교 개혁의 선구자 후스의 처형에 보헤미아 주민이 봉기하다 
171 메디치 가문과 유착하다 ● 로마 교황청의 금고지기로 번영하기 시작한 메디치 은행
173 동로마 제국 멸망 ● 콘스탄티노플의 함락이 로마의 안정과 르네상스를 가져왔다
175 파치가의 음모 사건 ● 메디치가의 포위망을 구축하다 로렌초에게 역습당한 교황 식스토 4세
177 사보나롤라 대 알렉산데르 6세 ● 가장 타락한 교황이 이탈리아의 위기를 기적적으로 구하다
181 체사레 보르자의 야심 ● 교황의서자는강력한세속군주에의한이탈리아통일을목표했다
183 교황 율리오 2세의 모순 ● 교황의권위는재건되었으나이탈리아는열강의각축장이되다
186 [칼럼] 바티칸의 의문 ⑤
187 중남미로의 확대 ● 스페인의 신대륙 진출과 연결된 가톨릭 선교
190 종교 개혁 ● 가톨릭이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최후의 군사적 대승리를 거두다
193 로마 약탈 ● 로마 교황은 이제 세계의 중심이 아니다
196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 프로테스탄트와 타협 끝에 맺은 평화 조약에 종교의 자유는 없었다
198 칼뱅파 ● 근대화의 엔진이 된 강한 직업의식과 축재 의식
200 영국 국교회의 성립 ● 로마 교회의 족쇄에서 풀려난 헨리 8세의 잉글랜드
202 가톨릭 개혁과 예수회 ● 로욜라와 사비에르에 의한 수도회가 가톨릭의 재부흥에 앞장서다
203 레판토 해전 ● 가톨릭이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최후의 군사적 대승리를 거두다
205 위그노 전쟁과 네덜란드 독립 전쟁 ● 프로테스탄트와의종교전쟁에서열세가된가톨릭 
207 일본 기독교의 탄압 ● 에도막부는가톨릭의침략을두려워해신분증명제도를실시했다
210 청교도 혁명과 30년 전쟁 ● 영국과 독일에서 피가 피를 부르는 종교 대립이 일어나다
213 [칼럼] 바티칸의 의문 ⑥
214 베스트팔렌 조약 ● 신성 로마 제국의 사망 진단서는 로마 교황의 무력화를 의미했다

5장 이탈리아 통일과 정교분리 편
국가의 시대에 저항한 교황은 신뢰를 잃고, 스스로를 죄인으로 여겼다

219 갈리아 주의 ● 국왕이 가장 존엄한 존재라고 주장한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
222 명예혁명의 진상 ● 가톨릭 왕을 추방한 종교 사건
223 청나라 제사 문제 ● 가톨릭의 집안싸움으로 중국 선교에 실패하다 
226 예수회의 절멸 ● 어째서 가톨릭 전도의 일등공신이 해산하게 되었는가?
228 [칼럼] 바티칸의 의문 ⑦
230 프랑스 혁명 ● 이성이 절대시되며 반가톨릭 운동이 과열되다
232 나폴레옹의 폭풍 ● ‘혁명의 아들’의 등장으로 교황 존립의 최대 위기가 닥치다
236 이탈리아 통일 운동 ● 이탈리아 국민을 실망시킨 교황 비오 9세의 배신
239 바티칸의 죄수 ● 이탈리아 왕국을 인정하지 않던 교황 비오 9세가 고립되어 바티칸에 틀어박히다
242 프랑스의 정교분리 ● 프랑스 혁명으로부터 약 1세기 뒤, 정교분리가 확립되다
243 바티칸 시국 ● 무솔리니의 체제 유지를 위한 이해타산이 바티칸 시국을 탄생시키다
246 히틀러에게 접근하다 ● 교황과 나치의 연결고리는 반공주의였다!
248 제2차 세계대전 ● 유대인을 보호하면서도 나치에 대한 비판을 꺼린 교황 비오 12세

마치며 평화의 사도 편
세계는 왜, 다시금 로마 교황을 필요로 하는가

255 교황 요한 23세 ● 미국과 소련의 냉전 아래 시작된 교황의 새로운 시도
257 순례자 교황 ● 교황의 부정적 이미지를 새롭게 바꾼 바오로 6세의 세계 순례 
260 폴란드의 연대 ● 교황의 모국 방문이 냉전 종식에 공헌하다
262 세계의 필요 ● 많은 정보력과 신자 덕분에 존경받다
264 [칼럼] 바티칸의 의문 ⑧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