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十三經注疏 譯註)論語注疏 : 附 索引. 3
(十三經注疏 譯註)論語注疏  : 附 索引. 3 / 河晏 注 ; 邢昺 疏 ; 鄭太鉉 譯註
내용보기
(十三經注疏 譯註)論語注疏 : 附 索引. 3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91157940769 94140 : \30000
ISBN  
9788991720930(세트)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chi
청구기호  
181.2183 ㄴ293ㅎ
서명/저자  
(十三經注疏 譯註)論語注疏 : 附 索引. 3 / 河晏 注 ; 邢昺 疏 ; 鄭太鉉 譯註
원서명  
[기타표제](譯註)論語注疏
발행사항  
서울 : 전통문화연구회, 2015
형태사항  
492p. ; 26cm
주기사항  
색인수록
기금정보  
이 책은 2014년도 교육부 고전문헌 국역지원사업 지원비에 의해 초판 간행
키워드  
논어 논어주소
기타저자  
하안
기타저자  
형병
기타저자  
정태현
가격  
기증
Control Number  
bwcl:100076
책소개  
“새로운 ≪논어≫를 만나다!”

≪논어論語≫는 인류의 위대한 스승으로 평가받는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대사상가인 공자孔子의 말과 행동을 기록한 언행록言行錄으로, 동양고전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동아시아 사회를 떠받치는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해온 ‘고전 중의 고전’이라 할 수 있다.

≪논어주소論語注疏≫는, 바로 이 ≪논어≫의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저술된 가장 오래된 주석서注釋書이다. 주희朱熹의 ≪논어집주論語集註≫와 함께 대표적인 ≪논어≫ 주석서로 일컬어지며, 중국 위魏나라 하안何晏(193~249)의 ≪논어집해論語集解≫에 송宋나라 형병邢昺(932~1010)이 소疏를 단 것이다. ≪논어≫의 해석에 있어서, ≪논어주소論語注疏≫와 ≪논어집주論語集註≫ 사이에는 일정한 차이가 있는데, 우리는 그동안 ≪논어집주≫에만 익숙해 있었고, ≪논어주소≫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편이었다. 아마도 번역된 책이 없었다는 데에 가장 큰 원인이 있을 터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142839 181.2183 ㄴ293ㅎ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