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삼계교 연구 : 삼계교의 성립과 전개, 문헌과 사상을 중심으로
삼계교 연구  : 삼계교의 성립과 전개, 문헌과 사상을 중심으로 / 서본조진 저  ; 박부자 역.
내용보기
삼계교 연구 : 삼계교의 성립과 전개, 문헌과 사상을 중심으로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88957464830 93220 : \35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DDC  
294.30952-23
청구기호  
294.30952 ㄴ316ㅅ
저자명  
Nishimoto, Teruma , 1962-
서명/저자  
삼계교 연구 : 삼계교의 성립과 전개, 문헌과 사상을 중심으로 / 서본조진 저 ; 박부자 역.
원서명  
[원표제]三階教の研究
발행사항  
서울 : 운주사, 2017.
형태사항  
713 p. : 삽화 ; 24 cm.
총서명  
프라즈냐 총서 ; 35
주기사항  
2018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임
주기사항  
대한민국학술원 기증
서지주기  
참고문헌 (p. [693]-700) 및 찾아보기 (p. [701]-713) 수록
일반주제명  
대승 기신론[大乘起信論]
일반주제명  
불교[佛敎]
기타저자  
박부자
통일총서명  
프라즈냐 총서 ; 35
전자적 위치 및 접속  
 원문정보보기
기타저자  
西本照真 , 1962-
기타저자  
니시모토 테루마 , 1962-
기타서명  
Sangaikyō no kenkyū
Control Number  
bwcl:106530
책소개  
삼계교三階敎는 불교학계에서도 익숙한 이름이 아니다. 한국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그래왔다. 남북조 후기에서 수대隋代에 걸쳐서 활동한 신행(信行, 540~594)에 의해 창시된 삼계교는 그 혁신성과 대중성으로 인해 수隋?당唐?송宋에 걸쳐 약 400년간 크게 번성하기도 하고, 엄청난 탄압으로 위축되기도 하면서 교세를 유지하다가 모습을 감추고 다시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 정토교와 심한 마찰을 빚기도 한 삼계교는 실로 중국불교사상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민중을 위한 혁신불교였으며,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불교에 끼친 영향력도 상당하였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여러 번의 탄압으로 사승관계나 교의 등 그 족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거의 인멸되어 잘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금세기 초 돈황 문헌이 발견된 이후로는 일본을 중심으로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왔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140217 학술  294.30952 ㄴ316ㅅ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140218 학술  294.30952 ㄴ316ㅅ c.2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