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지리산 . 5 : 회명의 군상
지리산 . 5  : 회명의 군상  / 이병주 지음.
내용보기
지리산 . 5 : 회명의 군상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88935659289 04810 : \12000
ISBN  
9788935659210(세트)
DDC  
895.734-22
청구기호  
811.32 ㅇ698ㅈㄹ
저자명  
이병주
서명/저자  
지리산 . 5 : 회명의 군상 / 이병주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길사, 2018
형태사항  
342 p. ; 23 cm
총서명  
이병주전집 ; 7
키워드  
한국소설
기타서명  
회명의 군상
가격  
\12000
Control Number  
bwcl:112582
책소개  
한국전쟁 무렵 지리산에서 활동했던 빨치산들의 이야기를 소재로 쓴 대하소설. 혼란기를 살아온 하준규라는 인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작가 이병주의 전성기였던 1978년에 처음 출간되었던 소설을 이병주 전집의 한 작품으로 새롭게 펴냈다.



작품의 중심에 놓인 하준규라는 캐릭터는 하준수라는 실재 인물을 모델을 바탕으로 만든 것이다. 하준수는 중앙대학 법학부 졸업반 시절에 학도병 지원(1943년 8월)을 거부하고 덕유산에 은신, 이후 덕유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가 보광당(普光黨)을 조직한다.



작가에 의해 포착된 하준규의 결정적인 판단은 세 단계로 나뉜다. 첫째는 일제의 항복을 알았을 때 보광당 두령으로서의 하준규의 태도다. 보광당에는 이현상과 권창혁이라는 두 고문이 있었는데, 이현상의 사상에서 역사에의 열정과 논리를, 권창혁의 사상에서 허무주의를 본 그는 공산당에 가입하기를 보류한다.



둘째는 해방된 지 1년만에 다시 지리산으로 도피해야 되었을 대의 하준규의 판단이다. 해방과 함께 공산당 조직책이 된 그는 하향식 지령에 반발했다. 무예를 몸에 익힌 하준규는 이지적이고 기민한 동작과 감각을 지녔지만, 역사적 상황 속에 놓인 현실적 조직 운용이나 제도적 장치로서의 당의 구조에 대해서는 무지했다.



셋째는 하준규의 내적 갈등의 극복과정이다. 당과의 갈등이 극에 달한 그는 탈당과 보광당으로의 복귀도, 공산당에의 굴복도 선택하지 못하는데, 이것을 해결한 것은 남로당 간부 김삼룡의 전략적인 판단이었다. 그는 하준규의 부대에 중앙당 지령 이외의 어떤 지령도 따를 필요가 없는 독립부대의 성격을 부여했던 것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141631 811.32 ㅇ698ㅈㄹ v.5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

QuickMenu